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두개천골요법이 폐경기 여성의 안면홍조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허순영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aniosacral therapy on hot flushes and the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menopausal symptoms. Women aged 45~60 years who are experiencing hot flushes were recrui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n=20) and an experimental group (n=17).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60-minute craniosacral therapy (10-step protocol) once a week for 8 week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by menopause rating scale (MRS) and menopause- specip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MENQOL), respectively. Hot flush diary was recorded including severity; frequency, and duration of hot flush, sweats, palpitation and sleep disturbance.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within-group difference, the paired t-test was performed. The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between-group difference in changes from baseline. After 8 weeks of intervention, MRS, MENQOL, sweats, palpitation, and sleep disturbance had significantly in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changes from baseline in these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ol group. There were no changes in frequency, and duration of hot flush in both groups. Severity of hot flush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In conclusion, craniosacral therapy appears to be effective for improving overall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associated with menopausal symptoms. However, it does not seem to improve hot flushes. 폐경기 전후 여성의 건강은 여성호르몬의 저하로 인하여 혈관계, 자율신경계, 내분비계, 근·골격계 등 모든 신체적, 심리적 부분에서 급격한 이상 징후가 발현되고, 그 폐경기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호르몬대체요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호르몬대체요법이 갱년기 여성의 삶의 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고 많은 부작용이 보고되면서 폐경기증상 완화를 위한 대체치료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완대체요법중 하나인 두개천골요법이 폐경기 여성의 폐경기 증상 중 가장 많은 여성이 경험하는 안면홍조와 폐경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45~60세 까지의 폐경기 증후군중 안면홍조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면서 호르몬대체요법 치료 경험이 없고 상용하는 약물이 없는 중년여성 40명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20명씩 무작위 배정하였다. 실험군중 3명은 중도 탈락하였고, 실험군에 대한 처치는 두개천골요법(10-step protocol) 주1회 60분씩 8회 실시하였다. 폐경증상은 폐경증상 척도(menopause rating scale, MRS)와 갱년기 관련 삶의 질(menopause-specipic quality of life, MENQOL)로 평가하였고, 안면홍조는 일지로 측정 하였다. 대조군은 최초 설문지 작성 후 8주 후에, 실험군은 두개천골요법 8회 처치 후 일주일 후에 다시 측정하였다. 두 집단 간 체질량지수 및 초경과 폐경의 차이는 독립 t-test로 검정 결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 내 사후값이 사전값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했는지에 대한 대응표본 t-test 결과 실험군에서 MRS와 MENQOL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안면홍조변화에서는 안면홍조정도, 발한, 두근거림, 수면장애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안면홍조 빈도와 지속시간은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사전ㆍ사후 변화량의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test로 검정한 결과 MRS, MENQOL은 유의하게 나타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면홍조정도, 빈도, 지속시간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면홍조에서는 두 집단 간 처치 전·후 변화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안면홍조와 동반되는 발한, 두근거림, 수면장애의 사전·사후변화량에 대한 독립 t-test 결과는 유의하게 나타나 실험군의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개천골요법은 폐경기 여성의 폐경증상의 개선에 효과가 있고 안면홍조 감소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안면홍조와 함께 수반되는 발한, 두근거림과 수면장애의 감소시킴으로 폐경기 여성의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기요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전력 수요량에 대한 다변량 시계열 군집 분석

        김인희 徳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스마트 그리드의 발전으로 인해 전력 데이터에 접근이 쉬우며, 방대한 양의 전력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전력 수요는 일반적으로 패턴이 존재하기 때문에 수요 패턴별로 군집화하여 예측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용도가 비슷한 건물이나 장치들은 전력사용량에서도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력 장치들의 전력 수요량에 대한 시계열 군집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전력 수요량 데이터를 군집화하기 위해 5가지의 거리 측도와 3가지의 군집화 방법을 이용한다. 군집 분석 후 4가지의 군집 유효성 평가 지표를 계산한다. 여러 패턴의 시계열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의실험으로 군집 분석을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실제 전력 수요량 데이터에 대해 군집 분석을 수행한다. 최종 군집 분석 방법의 선택은 군집 유효성 평가 지표를 이용하고자 한다.

      • 멀리건 관절유동술과 치료적 마사지의 복합처치가 경부통 환자의 통증과 경추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김용오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멀리건 관절유동술과 치료적 마사지의 병행처치가 치료적 마사지의 단독처치와 비교하여 경부통 및 경추관절가동범위에 더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부통이 있는 여성을 무처치 대조군(n=13), 치료적 마사지 단독처치군(n=13) 및 치료적 마사지와 멀리건 관절유동술의 복합처치군(n=13)에 무선 할당하여, 처치 전후의 경부통의 강도, 경부장애지수, 경추관절가동범위 및 악력을 측정하였다. 단독처치와 복합처치는 주 2회, 4주간 총 8회 실시하였다. 집단 내 사전ㆍ사후 차이의 유의성은 종속 t-test를 시행하였고, 집단 간 차이의 유의성은 사전 측정값을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값에 대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 t-test로 집단 내 사전ㆍ사후 차이의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단독처치군과 복합처치군에서 통증강도와 경부장애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굴곡, 신전, 좌·우측 굴곡 및 좌·우측 회전 시 경추관절가동범위와 악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조군에서는 모든 변인들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공분산분석 결과 모든 변인들에서 무처치 대조군과 비교하여 단독처치군과 복합처치군의 변화가 모두 유의하였으며, 복합처치는 단독처치와 비교하여 굴곡, 신전, 좌우 측굴, 우측 회전 시 경추관절가동범위의 증가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강도와 경부장애지수에 대한 효과는 복합처치와 단독처치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치료적 마사지의 단독처치와, 멀리건 관절유동술과 치료적 마사지의 복합처치 모두 경부통 완화와 경추관절가동범위 향상 및 악력 증가에 효과적이었으며, 멀리건 관절유동술과 치료적 마사지의 병행처치는 경추 기능향상에 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의 스마트혁신 사례

        진재석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 출범으로 자유무역의 기초가 수립되었고 2001년 중국의 WTO 가입과 시장개혁 그리고 개방으로 글로벌 무역은 본격적인 세계화에 돌입하였다. 선진국과 신흥국간 임금 수준과 생산원가의 격차는 글로벌 기업의 해외직접투자를 촉발하였고, 이들 글로벌 제조기업들은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전을 적극 도입하여 선진국 본사에서 핵심 역량(디자인, R&D, 자원관리 및 통제, 표준화 등)을 유지한 채 생산시설만을 개발도상국으로 이전하였다. 신흥국의 풍부한 생산가능인구와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건비에 기반한 생산거점 활용은 국가간 분업구조가 확립으로 이어져 GVC(Global Value Chain)체제가 구축되었다. 하나 근래의 GVC는 신흥국의 성장둔화와 지속적인 인건비 상승, 그리고 G2의 통상분쟁으로 촉발된 자국우선주의와 국소지역 정정불안, 2019년 질병 및 자연재해에 의한 공급망 Risk 확대로 관리 효율성과 수익성 저하가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기존 자동차부품업계는 소품종 대량생산을 목표로 원가절감과 품질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TPS(Toyota Production System)을 추구하였으나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적시적량 생산이 가능한 다품종 대량생산을 새로운 목표로 종래의 개념보다 확장되거나 진보된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의 접목 필요성이 강제되고 있다. 진보된 ERP는 스마트팩토리의 핵심 운영체계(OS, Operation System)이며 Iot(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와 센서를 통한 데이터 수집 그리고 데이터 처리로 공장이 맞닥뜨리는 상황별 자원의 투입 조정이 능동적이고 유연하게 변경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본고서는 제조산업에 ICT가 접목된 4차 산업혁명, 독일과 한국의 국가 정책을 개념 정리하고 자동차부품 중소제조기업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례를 통하여 한국의 자동차부품 제조기업들이 앞으로 제품 유연성과 공정 유연성을 확보해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검토해보고자 한다.

      • 근막이완마사지가 여성 노인의 체력과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지경습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yofascial relaxation massage on physical fitne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Thirty elderly women without functional disorder for living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massage therapy group (n=15) or an untreated control group (n=15). The massage group received a total of 16 sessions of myofascial relaxation massage therapy 2 times per week for 15 minutes per session for 8 weeks. For all subjects, the physical fitness was measured using the senior fitness test (SFT) battery an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evaluated before and after 8 weeks. The SFT consists of six tests designed to evaluate lower body strength, upper body strength, aerobic endurance, lower body flexibility, upper body flexibility, and agility/dynamic balance.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was evaluated with the short-form 36-item health survey (SF-36) version 2 in Korean. The SF-36 consists of eight dimensions: physical functioning, role limitation due to physical health problems, bodily pain, general health, vitality, social functioning, role limitation due to emotional health problems, and mental health. Two summary measures were further calculated: a physical component score (PCS) and a mental component score (MC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 between and within the groups was tested using 2-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and paired t-test. Lower body strength and flexibility in the massage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upper body strength and aerobic enduranc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reatment in the massage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upper body flexibility and agility/balance in both groups. The PCS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massage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The MCS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both groups. In the massage group the mean score for the bodily pain dimens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mean score for the role limitation due to physical health problems tended to improve after treatment. The mean scores for physical functioning, general health, vitality, social functioning, role limitation due to emotional health problems, and mental health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after treatment. In conclusion, the myofascial relaxation massage may be effective for improving physical fitness including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aerobic endurance and quality of life related to physical health in elderly women. 근막이완마사지는 신체를 이완시켜 내장기관이 적절하게 기능을 할 수 있게 하며, 통증 완화와 근육 이완에 효과적이다. 근막이완마사지가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근막이완마사지가 여성 노인의 체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일상생활에 기능적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은 활동 가능한 여성노인 30명을 실험군 15명과 무처치 대조군 15명에 무작위 할당하여 실험군에는 주2회(회당 15분), 8주간 총 16회 근막이완마사지를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평상시와 같은 생활을 하도록 하였다. 모든 피험자를 대상으로 사전과 8주 후 체력을 측정하였고, 건강관련 삶의 질을 평가 하였다. 노인체력측정은 하체근력, 상체근력, 전신지구력, 하체유연성, 상체유연성, 민첩성과 동적평형성을 측정하였고, 건강관련 삶의 질은 short-form 36-item health survey (SF-36) version 2의 한국어판으로 평가 하였다. SF-36은 8개 의 차원(신체기능, 신체적 역할 제한, 통증과 일반적인 건강, 활력, 사회적 기능, 정서적 역할 제한과 정신적 건강)과 2개의 요약지표(신체건강요소와 정신건강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측정시기(처치 전․후)와 집단(대조군과 처치군)에 따른 체력과 SF-36 변인들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는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검정하였고, 주효과 또는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경우 각 집단내의 처치 전후 차이의 유의성은 종속 t-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실험군의 하체근력과 하체유연성은 대조군에 비해 처치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상체근력과 전신지구력은 처치 후 상승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상체유연성과 민첩․평형성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영역으로 나누어 측정한 결과 마사지 처치 후 신체적 건강은 향상 되었으나 정신적 건강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신체건강의 하부 영역 중 통증관련 삶의 질이 마사지 처치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신체적 역할 제한은 처치 후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신체적 기능, 정신적 건강, 사회적 기능, 일반건강, 활력, 감정적 역할 제한 등은 처치 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근막이완마사지는 여성노인의 체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추후 남성노인을 포함한 더 많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근막이완마사지의 효과를 검증하는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Gray Level의 형태 모델을 활용한 미세 결함 검출 알고리즘의 구현에 관한 연구

        박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Fine Defect Detection is one of the critical issue for products reliability during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There are three major types of fine defects which called Fine Short, Fine Protrusion & Shallow Short and those have much lower gray level than other types of defect.The existing inspection methodology by using lower Binary Threshold also can detect some critical fine defects but it makes increasing noise & sensitivity of edge area so increased False Call Rate leads to bad influence of system performance.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is suggesting the Fine Defect Detection (FDD) by Morphologic Gray Level Models which is independent mechanism that we can realize new algorithm working by smaller gray level on problematic area instead of using lower Main Binary Threshold of the system in order to defect fine defects on PCB. So we can maintain same amount of Throughput because it does not effect on processing speed relatively compare with existing methodology of using lower Binary Threshold & achieve much more powerful detection for critical fine defects on PCB products.At the experiment of this thesis, we tested few samples of PCB from some Korean PCB manufacturers by using Discovery-8HR AOI system which is made by Orbotech Company in Israel & realize the new functionality by built-in DELL computer which for image processing & FDD calculation that contains Intel Core2 Duo processor 2.66GHz, 2GB Memory, Visual C++ Programming in Linux environment in order to test new algorithm that suggested in this study,The efficiency of the defect detection compared with new applied FDD & non-applied FDD of existing on same PCB samples & comparison items are Detection of fine defects, Scan Speed & False Call Rate. The result shows that improved 1.6 ~ 7 times detection of fine defects with maintaining same level of scan speed within ±4.5% tolerance, however False Call Rate of average 5% is increased. 인쇄회로기판의 제조에 있어서 미세 결함의 검출은 제품의 신뢰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미세 결함의 종류는 크게 Fine Short(미세 단락), Fine Protrusion(미세 돌기), Shallow Short(하지동)의 크게 세 가지 종류이며 다른 결함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Gray Level 값을 가진다.기존의 검사 방법인 이진 임계선(Binary Threshold)을 낮추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제품에 치명적인 미세 결함들은 검출이 어느 정도 가능해지나 노이즈가 증가하고 Edge 영역의 민감도가 증대되어 원하지 않는 결함까지 검출하게 되는 오검률(False Call Rate)이 시스템의 처리량을 저해 할 정도로 증대 시켜 시스템의 전체 성능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미세 결함 검출 (FDD : Fine Defect Detection) 이란 메카니즘을 제안하여 인쇄회로기판상의 미세 결함들을 검출하는데 있어서, 시스템의 메인 이진 임계선(MainBinary Threshold)을 낮추는 방법이 아닌, 별도의 검사 메카니즘을 두고 해당 영역의 미세한 Gray Level 차이에 의해서 동작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함으로써, 이진 임계선을 낮추어 결함을 검출하는 기존 방식과 대비하여 프로세싱 처리 속도를 감소시키지 않아, 처리량(Throughput)또한 동일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제품상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미세 결함들에 대해서는 보다 높은 검출력을 얻고자 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본 논문에서의 실험은 국내 모 PCB 제조업체의 인쇄회로기판 시료를 몇 가지 모델 별로 확보하여 이스라엘 오보텍(Orbotech)사의 광학 검사 시스템인 Discovery-8HR을 이용하여 실시했으며, 제안하는 기능의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하여, 영상의 분석과 처리를 위해 탑재된 컴퓨터인 Dell사의 인텔 Core2 듀오 프로세서 2.66GHz, 2GB 메모리, Linux환경에서 Visual C++ 언어를 이용하여 그 기능을 구현하였다.결함 검출에 대한 결과 분석은 동일 시료들을 동일한 광학 검사 시스템으로 검사함에 있어서 제안하는 메카니즘의 적용 전과 후의 결과를 비교 하였으며, 비교 항목은 미세 결함에 대한 검출력(Detection)과 검사 속도(Scan Speed), 오검률(False Call Rate)이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은 ±4.5% 이내의 동일한 수준의 검사 속도를 유지하면서도, 1.6배 ~ 7배의 미세 결함 검출력을 나타냈지만 평균 약 5% 정도의 추가 오검률(False Call Rate)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 체육시설 이용자들의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인식 및 이용실태

        김복민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많은 스포츠센터와 헬스클럽들에서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들이 개설되고 있어, 체육시설 이용자들은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경험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통하여 보완대체요법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스포츠센터 이용자 8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82.0%가 보완대체요법을 경험한 적이 있었으며,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은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학력이 높을수록, 또한 현재 보유 질환이 있는 경우에 높았다. 이용률이 높은 보완대체요법으로는 침, 마사지/지압, 뜸/부항, 요가, 식이요법, 필라테스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용 만족도는 마사지/지압이 가장 높았고, 아로마 요법, 척추교정법, 요가, 필라테스 등의 순으로 높았다. 보완대체요법 이용자와 비이용자 모두 보완대체요법을 민간요법으로 그리고 보조적 수단으로 보는 비율이 높았으나, 그 비율이 비용자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보완대체요법 이용 동기로 통증 등의 증상 완화를 위해서라고 한 응답자가 많았고, 장점을 비 수술ㆍ비 약물 치료로 보는 비율이 높았으며, 문제점을 홍보/교육 부족으로 보는 비율이 높았다.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 보완대체요법의 장점에 관한 인식의 차이는 유의하였으나, 이용 동기와 문제점에 관한 인식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자가 비용자에 비해 관심도가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체육시설 이용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은 성별, 학력 및 질환여부와 관련이 있었다. 이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와 없는 응답자 간에 보완대체요법을 보는 시각과 장점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보완대체요법 이용 동기와 문제점에 관한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완대체요법 활성화를 위하여 보완대체요법 전문가들은 체육시설 이용자들의 특성에 맞추어 체육시설과 연계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체계적인 기획을 통한 홍보/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인식을 변화시키려는 지속적인 활동과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시술자에 대한 불신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전문인력 양성과 국가 자격제도를 추진을 위한 방안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Many health clubs and sports centers recently offer a variety of programs associated with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CAT) including yoga and pilates. Therefore, users of sports facilities are more likely to have a lot of experience of CA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se of CAT and determin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AT between users and non-users of CAT to find ways to enhance the use of CAT. Survey was conducted. among 804 adults who enrolled in sports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Overall, 82.0% of the total respondents had used CAT. CAT use was more prevalent among women, respondents with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respondents who had a disease. The therapies most commonly used were acupuncture, massage/acupressure, moxibustion/cupping, yoga, diet, and pilates. The most satisfied therapy was massage/acupressure followed by aroma therapy, spinal manipulation, yoga, and pilates. The highest proportions of respondents perceived CAT as 'fork remedies' and 'supplementary means' in both users and non-users of CAT. However, the proportions of respon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on-users compared to users. The highest proportions of respondents listed 'relief of symptom including pain' as a reason for use of CAT. The highest proportions of respondents perceived 'non-surgical and non-drug treatment' as an advantage of CAT and 'the lack of publicity and education' as a problem of CAT. User's perception of the advantage of CA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on-user's percep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regarding the reason for use and the problem of CAT between two groups. Users of CAT were more interested in CAT than non-users. In conclusion, use of CA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der, education level and disease status in users of sports faci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regarding CAT between users and non-users of CAT. In addition, facility users were more likely to use CAT when they are interested in CAT.

      • 근막견인요법과 스웨디쉬마사지가중년 여성의 만성 경부통증과 상체 균형에 미치는 효과

        조점숙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근막견인요법이 스웨디쉬 마사지요법에 비해 중년여성의 만성경부통증 감소, 경부기능장애정도 감소와 상체균형 향상에 더 효과가 좋은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하여 만성경부통을 겪고 있는 40∼60대 여성으로만 18명을 모집하여 근막견인요법 실험군과 스웨디쉬 마사지요법의 대조군에 각각 9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실험군에게 주1회 8주 동안 총 8회에 걸쳐 근막견인요법을 실시하였다. 후장골극을 시작으로 등, 어깨, 목, 팔에 이르기까지 피부와 근육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깊게 잡고, 위로 당겨서 3초간 유지 하였다. 총 30분이 소요되었다. 대조군에게도 스웨디쉬 마사지를 주1회 8주간 총8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후장골극 부터 시작하여 등 ,어깨, 목, 팔에 이르기까지 윗쪽으로 실시 하였다. 상체 뒷부분 전체를 부드럽고 천천히 양손을 사용하여 손바닥으로 쓸어주기. 쓰다듬기, 문지르기, 주무르기 등을 하였고, 총 30분이 소요 되었다. 사전· 사후 두 집단 모두에게서 경부통증 정도는 시각상사척도로, 경부통증에 의한 일상생활의 제한정도는 경부장애지수로 평가 하였다. 또한 상체균형은 전상장골극 에서 골반의 좌․우 높이 차이를 자세측정기로 평가 하였다. 처치 후 통증정도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가 유의하게 감소 하었다(p<.001). 그리고 사전· 사후 변화에 있어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정해본 결과로는 실험군과 대조군과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경부장애지수의 사전· 사후 비교에서 실험군(p<.001)과 대조군(p<.05) 모두에게서 통계적인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변화량의 두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상체균형 에서는 실험군(p<.01)에서만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두 집단 간의 비교 에서는 두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근막견인요법이 만성경부통증 감소와 경부장애지수 감소에 효과를 보였고, 상체균형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근막견인요법이 중년 여성의 만성 경부통증 완화에 있어 효과적일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myofascial traction therapy is more effective treatment for reducing neck pain and disability and improving pelvic balance compared to Swedish massage. Eighteen women aged 40-60 years with chronic neck pain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llocated to the myofascial traction group (experimental group; n=9) and the Swedish massage group (control group; n=9). The myofascial traction therapy and Swedish massage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eight weeks. Neck pain intensity was assessed by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daily functional disability due to neck pain was assessed by neck disability index (NDI) at baseline and after 8 weeks. In addition, pelvic tilt was measured in the frontal plane to assess pelvic balance. After 8 weeks, VAS and NDI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pelvic tilt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showing no group difference. In conclusion, myofascial traction therapy is effective in relieving chronic neck pain and improving daily functional disability and misalignment of the body. Therefore, myofascial traction therapy could be effective treatment for relief of chronic neck p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