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eta-carotene exerts anti-colon cancer stem cells effects by regulating DNA methylation and histone acetylation

        김다은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Colorectal cancer (CRC) is the thirdly most diagnosed cancer and has the second highest mortality in the world. Cancer stem cells (CSCs) are the small population of cancer cells having self-renewal ability and tumor initiation capability. Moreover, CSCs have resistance to cancer treatments such as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This characteristic of CSCs contributes to cancer recurrence. Due to the high recurrence rate of CRC,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mechanism targeting CSCs. Epigenetic modifications are inheritable alterations occurred without changing in DNA sequence. The representative epigenetic modifications include histone modification, DNA methylation, and miRNA regulation. Recent study has suggested the effect of BC on CSCs in neuroblastoma, However, anti-cancer stemness effect of beta-carotene (BC) by regulating the epigenetic mechanisms is poorly understoo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epigenetic regulation of BC in colon CSCs. Double staining of CD133 and CD44 which known as colon CSC markers were conducted in HCT116 cells and sorted by FACS. The result of sphere formation assay showed that BC suppressed self-renewal capacity in colon CSCs. miRNA sequencing data has investigated that BC regulated miRNAs associated with histone acetylation. Consistently, BC up-regulated the protein expressions of global histone H3 and H4 acetylation., To evaluate the effect of BC on DNA methylation, DNMT expressions was performed by qPCR and global DNA methylation level was identified by ELISA. As a result, BC down-regulated the mRNA expression of DNMT3A. Also, significant decrease of the global DNA methylation was exhibited in BC or AZA-treated group. Furthermore, mRNA expression of BCO1 which recently exhibited its anticancer effect on CSCs was determin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demethylation effect of BC on tumor suppressor gene. Although BC tended to increase the expression of BCO1, BC did not show the statistically significance. In addition, pyrosequencing data exhibi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n promoter CpG methylation level of BCO1 by BC treatment. Taken together, our findings demonstrated that BC has potential to regulate miRNAs, increase histone acetylation., and down-regulate the DNA methylation levels in colon CSC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the anti-cancer effects of BC through histone acetylation and global DNA methylation on colon CSCs. 대장암은 전 세계에서 세번째로 흔히 발병되는 암이며, 암 중에서 사망률이 두번째로 높다. 암세포들 중에서 작은 집단에 속하는 암줄기세포는 자가복제능력과 종양형성능력을 갖고있다. 또한 암줄기세포는 방사선치료나 약물치료 등의 암치료 방법에 저항성을 갖고있으며, 이는 암 재발의 원인이 된다. 대장암은 암 재발률이 높은 암이기 때문에 암줄기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기전을 규명하는 일이 중요하다. 후성유전학적 기전이란 DNA 염기서열의 변화없이 조절되는 유전적 변형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후성유전학 조절기전에는 DNA 메틸화, 히스톤 변형, microRNA 조절이 있다. 암 발생 및 치료에 대하여 후성유전학적 연구는 많이 되어있으나, 베타카로틴의 암 조절에 대한 후성유전학적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베타카로틴의 암줄기세포 조절과 대장암조절에 대한 연구는 있으나, 베타카로틴이 대장암 줄기세포에 미치는 항암 기능에 대한 연구는 많이 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타카로틴이 대장암줄기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후성유전학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대장암줄기세포에 베타카로틴을 처리하는 세포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장암 세포주 HCT116 중, 암줄기세포 마커인 CD133과 CD44를 모두 발현하는 세포들만 형광이용세포분류기 (FACS)를 통해 분리하였다. 베타카로틴 처리에 따른 대장암줄기세포의 자가복제능력이 저하됨을 구 형성 분석법 (sphere formation assay)으로 확인하였다. miRNAs 시퀀싱 분석법을 통해 베타카로틴이 miRNA를 조절하여 대장암줄기세포의 히스톤 단백질 아세틸화를 증가시켰음을 규명하였다. 베타카로틴 처리에 따른 히스톤 변형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세틸화된 히스톤 H4와 H3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miRNA 시퀀싱 분석과 동일하게, 베타카로틴의 처리에 따른 아세틸화된 H3와 H4의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다. DNA 메틸기전달효소 중 DNMT1과 DNMT3A의 mRNA 발현을 측정하였으며, DNMT3A만이 베타카로틴 처리에 따라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인 DNA 메틸화 정도를 효소면역분석법 (ELISA)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감소한 DNMT3A의 결과와 동일하게 베타카로틴 처리에 따른 전반적인 DNA 메틸화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또한, 항암효능의 기전이 연구된 BCO1의 mRNA 발현이 베타카로틴 처리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BCO1의 발현 증가를 프로모터의 CpG 메틸화 감소로 추정을 하여 DNA 파이로시퀀싱 분석법을 통하여 BCO1의 프로모터 CpG 부위의 메틸화 변화를 확인하였다. 파이로시퀀싱 분석 결과 베타카로틴 처리에 따른 BCO1의 프로모터 CpG 메틸화의 감소가 유의적으로 보이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후성유전학 기전인 miRNA 조절과 히스톤 아세틸화 및 DNA 메틸화를 통하여 베타카로틴이 대장암줄기세포를 억제함을 최초로 규명하며 이를 통한 베타카로틴의 대장암 예방 및 치료에 과학적 근거자료로 사용됨을 기대한다.

      • 온라인 북클럽 활동이 중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독서태도 및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강선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While social interests and demands for leisure activities is increasing, the leisure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comparatively limited. Considering that the leisure activities are one of essential elements for enhancing community integration and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m to experience various leisure activities in schools. Book club as one of the most common types of leisure activities is likely to facilitate the expression of one's thoughts and feelings as well as interaction between peers. With the spread of the pandemic and consequent decrease in social interaction and leisure choices, one can expect positive effects of the book club on improving not only daily satisfaction but also interests in books and communication skil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nline book club on reading attitude and self-expression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t aimed at experiencing pleasant reading activities and learning how to enjoy reading as leisure alongside peer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0 students with disabilities(10 in the intervention group, 10 in the control group) in middle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t test for independent samples, it was determined that the intervention group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control group on reading level, reading attitude, and self-expression skills. A total of 10 sessions of online book club were provided to the participants. After the first session of orientation, they took part in three sessions using one book, and three books in total were discussed. During the sessions, the activities including role-playing, story map strategy, and question lists were employe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online book club, the study used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and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two groups on the mean difference scores on reading attitude test and a self-expression skill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ading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online book club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stude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improved attitudes from pretest to posttest in habits, willingness to continue, and enjoy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ly, self-expression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online book club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trol group. Also, the stude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greater skills from pretest to posttest in all sub-areas of the self-expression skills test, such as content, vocal, and nonverbal elements.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online book club was effective in improving reading attitudes and self-expression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how to implement online book club that can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in natural interaction situations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the study had implication in that easy-to-read books were appropriate to the students' interest and reading ability and aided in forming positive attitudes for books. Fin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online book club is a type of leisure activity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n enjoy and are especially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incorporated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continued even in adulthood. 여가에 대한 전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반면 장애학생의 여가생활은 여전히 제한적이며, 여가활동은 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는 점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여가지원 및 여가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북클럽은 여가활동의 대표적인 유형 중 하나인 독서를 매개로 하여 자신의 생각과 느낌에 대해 표현하며 또래와 상호작용하는 활동으로, 최근 팬데믹의 확산으로 더욱 여가생활 및 사회적 관계가 축소된 장애학생의 일상생활 만족도 향상뿐만 아니라 책에 대한 관심 및 의사소통 기술의 향상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즐거운 독서 활동을 경험하고 친구와 함께 여가로써의 독서를 즐기는 방법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온라인 북클럽 활동을 실시하여 독서태도와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중학교 특수학급에 소속된 장애학생 20명(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이며, 읽기 수준, 독서태도 및 자기표현력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온라인 북클럽 활동은 총 10회기로 구성되었다. 1회기의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한 후, 한 권의 책에 대해 세 번의 회기에 걸쳐 세 가지 활동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총 세 권의 읽기 쉬운 책을 다루었으며, 하위활동으로는 역할극, 이야기 지도 및 질문목록을 활용하였다. 온라인 북클럽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중재 전과 후에 독서태도 검사 및 자기표현력 검사를 실시하여 그 차이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북클럽 활동에 참여한 중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독서태도는 통제집단 학생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독서태도 검사의 하위영역 중 습관, 지속의지, 즐거움 영역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으나, 필요성 영역에 대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온라인 북클럽 활동에 참여한 중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자기표현력은 통제집단 학생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자기표현력 검사의 하위영역인 내용적 요소, 음성적 요소, 체언적 요소 모두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온라인 북클럽 활동은 중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독서태도 및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타당도 검사 결과를 통해 온라인 북클럽 활동에 참여한 장애학생들 간에 긍정적인 친구관계가 형성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본 연구는 장애학생 간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상황에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라인 북클럽 활동의 구체적인 실시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온라인 북클럽 활동에서 활용된 읽기 쉬운 책이 중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흥미와 읽기 수준에 적절하며 학생들의 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북클럽 활동이 장애학생이 즐길 수 있는 여가활동의 한 유형이라는 점을 시사하며, 특히 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활용할 수 있고 성인기까지 지속할 수 있는 여가활동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Anti-cancer cachexia effect of umami taste receptor by regulating muscle atrophy in vivo and in vitro

        이수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Umami taste receptor (TAS1R1/TAS1R3) is a heteromeric complex that belongs to G-protein coupled receptors (GPCRs). Among two different types of taste GPCRs, TAS1Rs are expressed in extra-gustatory organs and currently considered as nutritional sensors. Umami taste receptor is endogenously expressed in skeletal muscle and is interacted with amino acids. In addition, TAS1R1/TAS1R3 senses extracellular amino acids and inhibits autophagy by activating mechanistic target of rapamycin complex 1 (mTORC1) in skeletal muscle. However, there is a lack of evidence of whether the expression of the umami taste receptor is related to muscle wasting.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umami receptor in the muscle wasting condition and its effects on cancer cachexia. To demonstrate prominent muscle atrophy characteristics of cancer cachexia, Lewis lung carcinoma (LLC)-induced cancer cachexia model was established. C2C12 myoblasts and human skeletal myoblasts (HSkM) were used for in vitro studies, and 5-week-old C57BL/6J male mice were used for in vivo study. To confirm whether muscle atrophy was sufficiently induced in the cancer cachexia model, the expression of atrophy-related markers; Atrogin-1 and muscle RING-finger protein-1 (MuRF1) was measured both in vivo and in vitro. Umami taste receptor expressions were observed in muscle wasting conditions and TAS1R1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vivo and in vitro under cancer cachexia conditions. Moreover, overexpression of TAS1R1 in fully differentiated HSkM cells protected them from muscle atrophy. Taken together,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expression of umami taste receptor was down-regulated in muscle wasting conditions and that TAS1R1 exerted protective role against muscle wasting by restoring dysregulated muscle atrophy in cancer cachexia. This suggests that umami taste receptor could be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to protect muscle atrophy against muscle wasting in cancer cachexia. 감칠맛 수용체(TAS1R1/TAS1R3)는 G 단백질 결합 수용체 (GPCR)에 속하는 5가지 기본 미각 수용체 중 하나이다. TAS1R와 TAS2R, 두 가지 유형의 미각 GPCR 중 TAS1R이 구강 이외의 조직들에서 발현이 확인되면서 최근 영양 센서로 간주되고 있다. TAS1R1/TAS1R3는 골격근에서도 발현되며 아미노산과 관련이 있다. 또한 세포 외 아미노산을 감지하여 mTORC1을 활성화하고 자가포식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선행 연구를 통해 암 악액질의 생체 내 모델에서 자가포식이 유도되고 근육을 표적으로 한 자가포식이 근육 소모를 악화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하지만 감칠맛 수용체의 발현이 근육 소모와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 악액질 환경에서 TAS1R1/TAS1R3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암 악액질의 대표적인 특징인 근육 위축을 잘 나타내기 위해 LLC 폐암 세포를 이용한 암 악액질 모델을 확립하였고, C2C12 근모세포 및 인간 골격근육모세포(HSkM)는 in vitro 연구에, 5주령의 수컷 C57BL/6J 마우스는 in vivo 연구에 사용되었다. 암 악액질 모델에서 근육 위축이 충분히 유발되었는지 검증하기 위해서 위축 관련 마커; Atrogin-1 및 MuRF1의 발현을 in vivo와 in vitro 모두 측정하였다. 근육 소모적인 환경에서 TAS1R1 및 TAS1R3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 TAS1R1이 암 악액질 조건 하에서 in vitro와 in vivo 모두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인다는 것을 알아냈다. 더욱이, 완전히 분화된 HSkM에서 TAS1R1의 과발현은 근육 위축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감칠맛 수용체가 근육 소모 상태에서 하향 조절되고 TAS1R1이 암 악액질에서 제어되지 않는 근육 위축을 복원하여 근육 소모에 대한 보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감칠맛 수용체가 암 악액질의 잠재적인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뇌졸중 환자들의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의 섭취량에 따른 식사의 질 평가

        손지현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Stroke is one of the top three causes of death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diet quality with intakes of potassium, magnesium and calcium in ischemic stroke patient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285 subjects recruited in Seoul, Korea. Nutrition intakes were analyzed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composed of 111 food item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by quartile according to intakes of potassium, magnesium and calcium. This study used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Mean Adequacy Ratio (MAR), DQI-International (DQI-I) to assess the diet quality. DQI-I is composed of variety, adequacy, moderation and overall balance. Survey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cerebral artery atherosclerosis odds ratios (OR) adjusting for age, sex, education level, smoking, atherosclerosis and total energy intake. We found that Q4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score of MAR (K, 0.7 ± 0.2 vs. 1.0 ± 0.0, P <0.0001; Mg, 0.8 ± 0.2 vs. 1.0 ± 0.0, P <0.0001; Ca, 0.8 ± 0.2 vs. 1.0 ± 0.0, P <0.0001) and DQI-I (K, 60.9 ± 7.7 vs. 72.5 ± 7.4, P <0.0001; Mg, 62.7 ± 8.6 vs. 71.7 ± 7.6 P = 0.0248; Ca, 61.5 ± 9.8 vs. 72.1 ± 7.2, P <0.0001) than those of Q1 group after adjustment for age, sex, education level, smoking, atherosclerosis and total energy intake. However, Q4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score of moderation of DQI-I score than those of Q1 group and was not significantly in overall balance of DQI-I. Intake of magnesium was significantly association with decreased odds ratios of cerebral atherosclerosis whereas intakes of potassium and calcium were not. In conclusion, overall diet quality is associated with intakes of potassium, magnesium and calcium. Maintaining high intake of magnesium may help prevent cerebral atherosclerosis. 뇌졸중은 뇌에 혈액 공급이 중단되거나 뇌 조직이 출혈로 인해 손상되어 뇌 세포의 괴사가 일어나 신경학적 손상을 가져오는 뇌혈관 질환이며, 국내 3대 사인 중 하나이다.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의 섭취량이 뇌졸중 발병 및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질 좋은 식사는 영양 불량 또는 질병의 발병 위험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의 섭취량에 따라 4분위로 나누어 섭취량이 가장 적은 Q1 그룹과 섭취량이 가장 많은 Q4 그룹의 식사의 질을 비교 분석하였고,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의 섭취량에 따른 대뇌 죽상경화증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뇌졸중 환자는 이화여자대학교 부속 목동병원에서 모집하였으며, 연구자와 1:1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사항, 식습관, 식이섭취 조사가 이루어졌다. 식사의 질 평가를 위해 영양 질적 지수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평균 영양소 적정 섭취비 (Mean Adequacy Ratio, MAR), DQI-I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를 이용하였다.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의 Q1 그룹과 Q4 그룹을 비교해 보았을 때 Q1 그룹보다 Q4 그룹의 INQ (K, P <0.0001; Mg, P <0.0001; Ca, P <0.0001), MAR (K, P <0.0001; Mg, P <0.0001; Ca, P <0.0001), 총 DQI-I 점수 (K, P <0.0001; Mg, P = 0.0248; Ca, P <0.0001)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이러한 경향은 나이, 성별, 교육수준, 흡연여부, 죽상동맥경화증의 유무, 총 열량 섭취량을 보정하였을 때도 동일하였다. 이는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의 섭취량이 많은 Q4그룹의 식사의 질이 섭취량이 적은 Q1 그룹의 식사의 질보다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칼륨과 칼슘의 섭취량은 대뇌 죽상경화증 발생과 유의적인 상관성이 없었지만, 마그네슘은 섭취량이 높을수록 대뇌 죽상경화증 발생률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DQI-I의 절제성 항목과 균형성 항목에서 마그네슘, 칼슘의 섭취량이 많은 Q4 그룹의 점수가 섭취량이 적은 Q1 그룹의 점수보다 낮아진 것을 보아 이를 개선하기 위해 뇌졸중 환자들의 콜레스테롤과 나트륨 섭취량에 대한 중점적인 영양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는 건강하고 질 좋은 식습관으로 발전하여 뇌졸중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된다.

      • 전북대 박물관 소장 고문서를 활용한 한국사 수업 방안 : 『한국사』Ⅲ-5-3 신분제의 동요를 중심으로

        한지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박물관은 교과서에서만 볼 수 있는 유물을 직접 관찰하고 그 과정에서 탐구활동을 하면서 교과서의 내용을 심화 학습 할 수 있는 공간이다. 본 연구는 『한국사』 교과서의 조선후기 신분제의 변동과 관련된 전북대학교 박물관 소장 고문서를 활용하여 수업과 학습지를 구성해보았다. 수업은 총 2차시에 걸쳐 구성하였으며, 1차시는 교과서 중심의 설명 수업이고 2차시는 이를 바탕으로 박물관 체험 학습을 구성하였다. 고문서를 중심으로 수업을 계획했을때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첫째, 고문서는 인간의 삶과 관련된 내용이 담겨있기 때문에 다양한 신분층의 생활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해주고 둘째, 고문서를 통해 감정이입이 가능하며 셋째, 다른 유물에 비해 고문서는 그 자체로 학습 대상이 된다. 이처럼 고문서를 활용한 매끄러운 수업을 위해서는 교사의 사전 지식이 필요하며, 수업에 맞는 적절한 고문서 자료를 찾아내어 수업시에 학생들을 이끌어서 학습 목표에 도달하도록 해야 한다. 고문서가 더 이상 학생들에게 낯선 유물이 아닌 과거와 현재, 즉 옛날 사람과 현재 자신의 모습으로 견주어 봐서 소통 할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내용 외에도 다방면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 2015 개정 『세계사』 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분석

        이태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2015 Revised Curriculum suggests core abilities for living in the future society. According to this, history division suggests five significant abilitie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fact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use and communication of historical information, historical judgement and problem-solving ability, identity and mutual respect. Core abilities (significant abilities) are indicated in Inquiry Activities in 2015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world history textbooks as well. However, a handbook of curriculum does not show any concrete guides on how to use core abilities (significant abilities). Thus, it cannot be known how they are realised in a textbook.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how core abilities (significant abilities) are realised by studying the structural features of all Inquiry Activities in four world history textbooks, which were made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is, in chapter 2, the concept and scope of Inquiry Activities were set, and the proportion of Inquiry Activities was studied. Also, terms and indication positions and frequently used expressions are organised to study the forms of realisation of core abilities in textbooks. In chapter 3, 361 Inquiry Activities in four world history textbooks were analysed by classifying them into four categories: 'topic and content of Inquiry Activities', 'structure of Inquiry Activities', 'role and core abilities of Inquiry Activities'. In an analysis result, GEUMSEONG gives overwhelmingly many Inquiry Activities by structuring them differently from existing structures. Topics of Inquiry Activities reflect the content of learning elements suggested by the curriculum manual, and the increase of the proportion of cultural part has been confirmed. The imbalance of materials is conspicuous due to the imbalance of the proportions of individual areas in learning materials. The quality of prompts in MIRAE EN, CHEONJAE EDUCATION, and BISANG EDUCAITON are good since they are structured in a double form whilst that of prompts in GEUMSEONG is bad since they are so in a single form. Regarding to the relationship with a body of a textbook, Inquiry Activities which are considered to be a further relationship are suggested differently from a publishing company to a publishing company, and the proportion of relative relationship is extremely low. In MIRAE EN, CHEONJAE EDUCATION, and BISANG EDUCAITON, the proportions of individual areas of the process of Inquiry Activities are shown evenly whilst they are not in GEUMSEONG. Lastly, although the terms and indication positions of core abilities (significant abilities) are shown differently, activities and frequently used expressions on abilities are similar. Also, in MIRAE EN AND BISANG EDUCATION, the proportions of individual abilities are shown evenly, but they are not in GEUMSEONG AND BISANG EDUCATION. Many abilities are applied in a complicated way although abilities are indicated separately in textbooks. Some problems are found after studying the features of Inquiry Activities and 'core abilities (significant abilities)' of four world history textbooks that were made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uggestions for the problems are as follows: (1) The quantity and quality of Inquiry Activities of GEUMSEONG need to be raised. (2) Textbook needs to be structur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Inquiry Activities, namely, growing historical ability to think. (3) Sufficient discussion and agreement of the authors of textbooks on how to realise core abilities (significant abilities) need to be accomplished.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를 살아가기 위한 능력으로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역사과에서는 역사 사실 이해, 역사 자료 분석과 해석, 역사 정보 활용 및 의사소통, 역사적 판단력과 문제 해결 능력, 정체성과 상호 존중과 같은 5가지의 중요한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2015 개정 고등학교『세계사』교과서는 탐구활동에 핵심역량(중요한 역량)을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 문서는 핵심역량(중요한 역량)이 어떻게 활용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없어, 교과서에서 핵심역량(중요한 역량)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알 수 없다. 이에 따라 본고는 2015 교육과정에 따라 제작된 4종『세계사』교과서 전체에 포함된 탐구활동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탐구활동의 형태적 특징을 살펴보고, 핵심역량(중요한 역량)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탐구활동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하고, 탐구활동의 비중을 살펴보았다. 또한 핵심역량이 교과서에 구현된 모습을 살펴보기 위하여 용어와 표기 위치, 자주 쓰이는 여러 가지 표현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4종『세계사』에 제시되는 361개의 탐구활동을 대상으로 ‘탐구활동의 주제와 내용’, ‘탐구활동의 구성’, ‘탐구활동의 역할과 핵심 역량’과 같은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금성이 기존과 다른 형태로 탐구활동을 구성함으로써 압도적인 양의 탐구활동을 제시하고 있다. 탐구활동 주제는 교육과정 문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 요소의 내용을 반영하고 있으며, 문화 분야의 비중이 비교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습 자료는 영역별 비중이 고르게 제시되고 있지 않고 있어 자료의 불균형이 심하였다. 발문은 미래엔·천재교육·비상교육의 경우 복수 발문의 형태로 구성되고 있어 발문의 수준이 높은 반면, 금성은 단일 발문으로 제시되고 있어 발문의 수준이 낮았다. 본문과의 관계는 심화 관계에 해당하는 탐구활동이 출판사마다 조금씩 다르게 제시되고 있으며, 상대화 관계가 매우 낮은 비중으로 제시되고 있다. 탐구활동의 과정은 미래엔·천재교육·비상교육의 경우 영역별 비중이 비교적 균형 있게 제시되고 있는 반면, 금성은 영역별 비중이 불균형하게 제시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핵심역량(중요한 역량)의 용어와 표기 위치는 조금씩 다르게 제시되고 있지만, 역량에 대한 활동과 자주 쓰는 표현은 비슷하였다. 또한 미래엔·천재교육은 역량 별 비중이 균형 있게 제시되고 있는 반면, 금성·비상교육은 역량 별 비중이 불균형하였다. 그리고 교과서에서 역량이 개별 표기되고 있지만, 여러 가지 역량이 복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2015 교육과정에 따라 제작된 4종『세계사』의 탐구활동과 ‘핵심역량(중요한 역량)’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첫째, 금성의 탐구활동에 대한 양·질적 수준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둘째, 역사적 사고력 신장이라는 탐구활동의 목적에 맞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셋째, 핵심역량(중요한 역량)의 구현 방식에 대한 교과서 집필진들의 충분한 논의 과정과 합의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

      • 개별화전환계획(ITP) 참여 증진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개별화전환계획 지식 및 회의기술,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황미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장애학생 개인의 요구와 관심, 강점을 반영하여 학교 졸업 이후 성인기 삶을 준비하도록 도와주는 교육적 지원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장애학생의 선호도와 흥미, 관심 분야 등의 교육적 요구를 토대로 한 교육계획이 작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개별화전환계획 과정에 장애학생 본인이 참여한다면 장애학생은 재학 동안 자신의 꿈과 강점을 반영한 성인기 삶을 준비할 수 있으며 특별히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에 초점을 두어 전환교육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별화전환계획 참여 증진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개별화전환계획 지식 및 회의기술,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학생 20명(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이었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개별화전환계획 참여 증진 프로그램은 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 참여 증진방안, 개인중심계획, 성인기 전환에 대한 국내외 문헌들을 바탕으로 고안된 프로그램이며,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주 2회씩, 총 15회기에 걸쳐 실시되었다. 개별화전환계획 참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통제집단설계와 사전·사후 단일집단설계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인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개별화전환계획 지식 및 회의기술, 자기결정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에는 개별화전환계획 지식 및 회의기술, 자기결정력 검사를 통제집단에는 개별화전환계획 지식, 자기결정력 검사를 중재가 시작되기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화전환계획 참여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장애학생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장애학생의 개별화전환계획 지식의 사전·사후 변화에 있어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개별화전환계획 참여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개별화전환계획 회의기술은 중재 전과 비교하였을 때 중재 후에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셋째, 개별화전환계획 참여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자기결정력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 장애학생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 사전·사후 변화에 있어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결정력의 각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4가지 하위영역 중 자기조정, 심리적 역량, 자아실현, 세 가지 영역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장애학생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장애학생의 사전·사후 변화에 있어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개별화전환계획 참여 증진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개별화전환계획 지식 및 회의기술, 자기결정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고등학교 졸업 이후 성인기 삶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제도적 요구가 높아지는 현 상황에서 장애학생 개인의 요구와 목소리를 반영하여 장애학생에게 의미 있는 개별화전환계획을 수립하도록 도와주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특수교육현장의 요구에 응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개별화전환계획 과정에 장애학생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자료 및 교육 방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실천적인 중재로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udent-directed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 on the ITP knowledge, ITP meeting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0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1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in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to promote participation in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s was implemented for 8weeks (15 sessions). The program cosisted of five parts: orientation, self awareness, exploring the areas of adult life, my dream(preparation for the meeting), mock the individualization transition plan meeting.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and a singl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ere used.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evaluated for ITP knowledge and their self-determination skill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evaluated for ITP meeting skil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s in the participants’ITP knowledge was significantly larg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ITP meeting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Third, the changes in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as significantly larger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four sub-skills of self-determina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arger changes for self-regula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elf-realization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toward enhancing the ITP knowledge, ITP meeting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research has contributed to addressing the needs of the special education field by providing a program to help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TP. Moreover,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providing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aterials to promot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TP process.

      • 역사과 토론수업 모형의 개발

        정금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역사교육에 있어서 교수법은 교사와 교육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강의법, 사료학습, 문답식 학습, 토론학습, 역할극 학습 등이 있다. 그러나, 같은 역사적 사실이라도 이를 학습자에게 어떤 방법으로 제시하고, 어떤 활동을 시키는가에 따라 역사학습의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그렇다면 역사학의 고유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교수법은 무엇인가? 또한 가르칠 내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연계성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이러한 의문을 가지고 본고는 역사학의 고유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교수법과 교육내용과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수업모형을 고안하였다. 토론수업은 교사의 지도하에 정해진 틀 속에서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수업의 장에서 주체적으로 활동함을 장점으로 본다. 또한 교사의 일방적인 관점하에 역사적 사실들을 보는 게 아닌 학생 각자의 관점하에 역사적 사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끌어낼 수 있다. 즉, 죽은 과거를 생생하게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장에서는 토론수업이 많이 활용되지 않는다. 이유는 토론수업의 가장 큰 장점으로 볼 수 있는 학생의 능동성이 발휘되지 않는 것에 있다. 이는 주로 토론의 방법 및 논쟁주제에 대한 학생의 무지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역사학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세 가지의 이론을 토론단계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이는 감정이입에 의한 토론모형, 행위설명에 의한 토론모형, 의사결정학습에 의한 토론모형이다. 첫째, 감정이입에 의한 토론모형은 흔히, 학습자가 범할 수 있는 현대인의 관점에서 역사적 사건을 평가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감정이입의 단계인 고정관념에 의한 감정이입, 일반적 감정이입, 맥락적 감정이입을 거쳐서 역사적 사건을 그 당시의 입장에서 해석하고자 한 것이다. 둘째, 행위설명에 의한 토론모형은 행위자의 역사적 행위에 대한 상황,의도,수단을 분석하여 결정한 행위를 논리적으로 검증하고 한다. 다른 대안적인 선택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행위를 결정하게 된 원인과 그 외의 다른 선택에 대하여 논쟁함으로서 학생은 역사학의 특성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세째, 의사결정에 의한 토론모형은 행위설명에 의한 토론모형과 비슷하나, 행위설명이론에서의 역사적 탐구력 외에 다른 역사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는 면에서 좀 더 포괄적인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이 토론모형은 역사적 사고력 중 탐구력, 상상력, 판단력, 종합, 분석력에 이르기까지의 상황, 주변의 압력에 대한 대안의 탐색, 역사적 의사결정 검토, 의사결정과정의 합리성에 대해 논쟁함으로서 기를 수 있다. 이러한 토론모형으로 수업을 실행할 때, 교사의 과중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며, 자료확보의 어려움, 역사적 이론의 생소함과 난해함으로 학생이 어려움을 호소할 수 있다. 그러나 토론학습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장점 및 효용성을 고려해 볼 때, 이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 이러한 토론모형을 바탕으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논한다면, 역사과의 고유의 특성을 살릴 수 있을 뿐더러, 학생이 주체가 될 수 있는 수업이 될 것이다. The teaching method for history education varies according as who teaches and what materials he(or she) does. In general we have five types of teaching style: Lecture, The use of the materials for history, Question-Answer, Discussion, and, Role-Play. But the result of learning after class may make difference on what methods he(or she) chooses, and what activities he(or she) does, albeit the same historical accidents. So, what is the teaching method that can impart essential charateristics in history? Also, How can we balance on what he(or she) teaches and how he(or she) does? That is why I am writing about this thesis. Discussion classes are not for students under the teachers' guidance to learn, but for them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class. Further, they can interpret on what they learn from their standpoint, not under their teachers' one-sided view. That is to say, they can understand the historical accidents not what is dead, but what is live. We do not put discussion classes to use much, despite all these merits. The reason is that students' voluntary activity in class does not happen as much as we expect. This is because students does not know how to discuss and what to say about its topic. In the thesis I am going to apply three theories that can impart essential charateristics in history to discussion classes. There are three types of discussion models: Empathic discussion model, Behavior-Motive discussion model, Decision-making discussion model. First, Empathic discussion model can improve on what we measure the historical accidents by this age's own stanadard, which history learners can often make mistakes. We can reconstruct the historical facts by the past's standard, through a fixed idea empathy, common empathy and interrelational empathy, which is Empathic discussion model. Second, Behavior-Motive discussion model can analyze on what situation he(or she) was in, what purpose he(or she) did, and what means he(or she) chose, concerning what he(or she) did in the history. Furthermore, It can prove on what a determinant is. As history learners will discuss what cause he(or she) did and what other alternatives he(or she) had, albeit other alternative choices, they will know about what the history is. Third, Decision-Making discussion model has a broader concept than Behavior-Motive discussion model in that it can supply not only Behavior-Motive discussion model's historical investigation, but also its historical thinking power(or faculty). With its discussion model, we can develop our thinking faculty including investigation, imagination, judgment, and integrated analysis, as long as we consider on what situation he(or she) was in, what other alternatives he (or she) had, and what decision-making he(or she) examined logically. In these discussion classes, history teachers need lots of trouble and time to prepare as well as have difficulty in finding suitable materials for history class. For students, they have trouble understanding these historical theories. But Despite these discussion classes' limits, this study needs to be continued considering these merits and utility. Can students interpret on the historical accidnets through these discussion classes, they will act as host in the classes that can imparts essential charateristics in history.

      • Anti-cancer stemness effect of β-carotene and β, β-carotene 15-15' monooxygenase in human neuroblastoma cells : implication for receptor related molecular mechanism and tumor metastasis

        김유선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신경모세포종은 1세미만의 영유아에게 발병하는 소아암으로써, 신경으로 분화 이전의 미성숙한 신경모세포에서 유래하며, 일부는 암줄기세포적 특징을 지닌다. 암줄기세포는 자가복제, 종양형성, 분화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며, 이는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암줄기세포를 표적하여 신경모세포종의 효율적인 치료기전을 규명하는 일은 중요하다. DLK1은 신경모세포종의 암줄기세포적 성격을 대표하는 유전자로써, 신경모세포종에서 DLK1의 발현은 종양의 악성 정도 및 미분화정도와 비례하여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베타카로틴은 카로티노이드의 일종으로, 녹황색 과일과 채소에 풍부하게 함유된 대표적인 비타민A의 전구체이며, 식품을 통해 영양소로써 공급된다. 베타카로틴은 체내 장세포에서 BCO1 효소를 통해 두 분자의 레틴알데하이드로 전환되며 이는 레티노익산(RA)으로 대사된다. RA는 수용체인 RA수용체(RAR)에 결합하여 핵 안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현재까지 베타카로틴이 가지는 항산화 및 항암효능이 일부 알려진바 있으나, RAR과의 연관성 및 분자적 기전 규명은 제한적이다. 또한 베타카로틴의 대사 기능과 독립적으로, BCO1이 신경모세포종의 항암줄기세포 및 항전이에 미치는 효능과 기전은 현재까지 연구된 바 없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베타카로틴의 처리에 따른 DLK1 및 RARs 발현을 측정하고, DLK1 유전자 내 RARβ의 예상 결합 부위를 예측한 후, ChIP assay로 RARβ이 DLK1에 직접 결합함을 규명하였다. RARβ 발현을 억제하였을 때 암세포의 자가복제 능력이 증가함을 확인함으로써, RARβ이 베타카로틴에 의한 신경모세포종의 항암효능에 관여함을 규명하였다. BCO1의 항암줄기세포 및 항전이 효능을 규명하기 위하여, BCO1을 발현하는 세포주를 제작하여 암줄기세포 마커 및 전이와 관련된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마커의 발현을 qRT-PCR과 western blot을 통해 측정하였다. 저산소 환경에서 암의 줄기세포적 성격 강화에 관여하는 hypoxia inducible factor-1α (HIF-1α) 및 관련 유전자들을 측정하였다. Colony와 sphere 형성을 통해 자가복제에 미치는 영향 및 세포의 이동성과 침투성에 BCO1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migration assay, invasion assay 실험법이 수행되었다. 또한 전이마우스 모델을 이용해 BCO1이 전이의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전이된 간조직에서 암줄기세포마커 및 전이 관련 마커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qRT-PCR 및 western blot을 통해 측정하였다. BCO1의 항암효능의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miRNAs 시퀀싱 분석을 통해 miRNAs 발현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베타카로틴이 신경모세포종의 대표적인 암줄기세포 유전자인 DLK1와 자가복제 능력을 억제하는 과정에서, RARs의 세가지 형태 가운데 RARβ가 중요한 기능을 함을 규명하였다. 특히 이는 DLK1의 전사를 조절하는 구간에 포함된 RARE (RA response element)에 RARβ가 직접 결합함으로써 조절되는 기전임을 규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BCO1의 항암줄기세포 및 항전이 효능을 규명하였다. BCO1을 발현하는 신경모세포종에서 암줄기세포 마커의 억제 및 자가복제 억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전이 암세포의 특성인 이동성과 침투성이 BCO1에 의해 감소하였고, 이는 MMPs와 TIMPs 유전자 억제, MMP2의 효소활성 및 단백질 조절을 통해 매개됨을 확인하였다. 저산소환경에서 발현되는 HIF-1α 단백질 및 VEGF와 GLUT1의 수준도 억제됨을 규명하였다. 신경모세포종이 간으로 전이된 발병률 및 종양의 평균 부피도 감소하였다. 종양 조직의 분석결과, BCO1군에서 MMPs와 TIMPs의 발현과 암줄기세포마커, HIF-1α 및 VEGF와 GLUT1도 감소함을 증명하였다. BCO1 효능의 분자적 기전 규명을 위하여 miRNAs 분석 결과, 분화와 관련된 miR-320과 miR-1290의 발현이 증가가 확인되어, BCO1 항암효능의 일부 기전이 miRNAs 조절을 통한 분화 유도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새롭게 밝혀진 유전자들의 기능과 분자적 기전은 악성 신경모세포종의 암줄기세포를 표적하고 전이를 억제하는 치료법 개발단계에서 유용한 과학적 근거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Neuroblastoma (NB) is childhood malignancy that is the most prevalently diagnosed cancer in pediatric patients. NB originates from immature neural crest cells and possesses properties of cancer stem cell (CSC). CSCs are a small population of cells capable of self-renewal, tumorigenicity, and differentiation. Thus, targeting CSCs has been regarded as a therapeutic strategy to achieve complete remission and overcome metastasis of NB. Beta-carotene (BC) is an active pre-formed vitamin A abundant in dietary sources such as yellow green vegetables and fruits. BC is symmetrically cleaved by the β, β-carotene 15-15’ monooxygenase (BCO1) into two molecules of retinaldehyde. It is further oxidized to retinoic acid (RA), which binds to retinoic acid receptor (RAR) to regulate transcriptionally numerous genes. Despite the effect of BC on anti-cancer stemness has been observed, the molecular mechanism related with RAR is not fully understood. In addition, the roles of BCO1 on cancer stemness and metastasis have not been highlighted yet. The effects of BC on the expression level of DLK1 and RARs were analyzed by qRT-PCR and western blot. The putative binding site for RARβ was identified using the ALLGEN PROMO database. To evaluate the role of RARB in regulating the self-renewing potential of NB cells, clonogenic assay and sphere assays were performed in RARB silenced cells. Moreover,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CSC markers,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hypoxia inducible factor-1α (HIF-1α),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glucose transporter1 (GLUT1), were analyzed by qRT-PCR and western blot in the BCO1-overexpressed stable NB cell lines. Using clonogenic and sphere assays, self-renewal capacity in BCO1-overexpressed cell was analyzed. To investigatethe effect of BCO1 on cell migration and cell invasion, wound healing assay and transwell assay were performed. A 45metastatic mouse xenograft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anti-metastatic effect of BCO1. As a result, among three isotypes of RARs, it was found that RARB played a key role in suppressing DLK1, a bona fide CSC marker of NB. It was further observed that RARβ was directly bound to the DLK1 promoter. RARB mediated anti-cancer effect was significantly reversed by knock-down of RARB showing increased self-renewal potential under BC treatment. The results emphasized the role of BC-induced RARB in suppressing stem-cell properties by direct interaction with DLK1 in NB. In addition, BC-independent biological functions of BCO1 on anti-cancer stemness and anti-metsatasis of NB were observed. Over-expression of BCO1 resulted in down-regulation of CSC genes expression and inhibition of the self-renewal potential. It consequently decreased cell migration in vitro by suppressing MMPs mRNA expressions. Expression of HIF-1α and its down-stream target genes, VEGF and GLUT1, were inhibited by BCO1. Moreover, the anti-metastatic effect of BCO1 was exerted in vivo by suppressing metastatic tumor incidence and tumor volume. In metastatic hepatic tumors, CSC markers, MMPs, HIF-1α, VEGF, and GLUT1 were suppressed. Finally, miRNAs sequencing array indicated that BCO1 promoted miRNAs related to neuronal differentiation, cell-cell adhesion, and Wnt signaling pathway. These novel findings highlight the health benefit of RARB-mediated BC and broad insight into the biological function of BCO1 in suppressing cancer stemness as well as metastasis, further regulated miRNAs n human NB cells.

      • 2013년~2018년간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학위논문의 '생명윤리법' 준수 현황

        정정헌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생명과학기술에서 생명윤리 및 안전을 확보하여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하고,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질병치료 및 예방 등에 필요한 생명과학기술을 개발·이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자2004년「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하 ‘생명윤리법’이라 한다)」이 제정되었다. [법률 제7150호, 2004.1.29 제정]「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시행 2005.1.1.] 법제처 제정·개정이유 2004년 법이 제정되었을 때는 생명윤리와 안전의 확보가 필요한 과학의 범위를 ‘생명과학기술’로 규정하였다. 생명과학기술을 ‘인간의 배아(胚芽)·세포·유전자 등을 대상으로 생명현상을 규명·활용하는 과학과 기술’로 정의하고, 해당 기술에서 생명윤리와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법률 제7150호, 2004.1.29 제정]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시행 2005.1.1.] 제1조 및 제2조; 백수진, 김현철, 「기관생명윤리위원회를 통한 자율 규제의 현황과 전망」, 『생명, 윤리와 정책』 제1권 제2호, 19-33쪽, (재)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2017년 10월, 20쪽. 그러나 과학의 발전에서 확보되어야 할 생명윤리와 안전의 가치는 ‘배아나 유전자’ 외에도 인간으로부터 유래한 특별한 윤리적 함의와 안전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모든 분야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그 때문에 2012년 전면개정 된 ‘생명윤리법’은 생명윤리정책의 적용 범위를 ‘인간 및 인체유래물’에 관한 연구로 확대하였다. [법률 제11250호, 2012.2.1 전부개정]「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시행 2013.2.2.] 제1조~6조; 백수진, 김현철, 앞의 논문, 20쪽. 이에 따라 2013년 ‘생명윤리법’ 부터는 인간대상연구를 하는 기관의 경우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이하 ‘IRB’라 한다)]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고, 인간대상연구를 하려는 자는 연구 시작 전에 연구계획서를 작성하여 IRB의 심의를 받아야 한다. 또한 인간대상연구를 하기 전에 연구대상자로부터 서면동의(전자문서 포함)를 받아야 하며, 연구대상자에게 미칠 신체적·정신적 영향을 평가하여 안전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고, 인간대상연구와 관련한 사항을 기록·보관하여야 한다. [법률 제11250호, 2012.2.1. 전부개정]「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시행 2013.2.2.] 제10조, 제15조, 제16조, 제17조 및 제19조 이상과 같은 ‘생명윤리법’에 근거하여 전북대학교는 2006년 4월「전북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 규정」을 제정하였고, 2008년에는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2014. 6. 1부터 2019년 10월 현재까지 전북대학교 IRB 행정간사로 근무하면서 생명윤리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당시에는 생소하였던 생명윤리 업무를 맡아 평가·인증에 맞게 규정 및 지침의 제·개정을 총괄했으며,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지원과 교내 연구자를 대상으로 생명윤리 교육을 지원해 왔다. 그리고 전북대학교 IRB는 보건복지부 위탁 수행기관인 (재)국가생명윤리정책원으로부터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인증」대상으로 선정되어 평가를 받았다. 2018년 3월부터 시작된 평가·인증은 1차 서류평가, 2차 현장평가로 진행됐으며, 2019년 5월 국내 거점 국립대 중 최초로 평가·인증에 통과하였다. 현재 전북대학교는 간호대학, 공과대학, 사회과학대학, 생활과학대학, 사범대학, 의과대학,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치과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포함한 모든 연구 중 인간대상연구의 경우 IRB 심의를 신청하고 있다. 특히 다른 분야보다 일찍이 IRB에 대해 잘 인지하고 있었던 간호대학 및 사회과학대학(심리학과, 사회복지학과)의 심의 신청 건수가 가장 많다. 최근에는 사범대학(교육학과), 생활과학대학(아동학과 및 식품영양학과)에서도 IRB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꾸준히 심의 신청을 하고 있는 추세다. 의과대학의 경우 임상실험 등 IRB와 밀접한 부분이 많지만 전북대학병원에 별도 설치된 IRB에서 심의를 하고 있기 때문에 타 기관(단과 대학 등)에 비해 신청 건수가 많지 않은 편이다. 전체적인 생명윤리 심의 신청 건수도 2017년 100건에 비하여 2018년은 152건으로 더 늘었다. 전북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 홈페이지(http://www.e-irb.com) 통계 이러한 상황으로 볼 때, 심의 신청 건수는 해마다 더 늘어날 것으로 생각된다. ‘생명윤리법’에 따르면 인간대상연구의 경우 연구대상자의 보호를 위하여 반드시 IRB 심의를 받아 승인을 받도록 규정되어있다. ‘생명윤리법’이 제정되기 전에는 연구대상자의 안전과 개인정보 보호 대책, 연구에 대한 충분한 설명 및 자발적인 연구 참여 등이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요즘은 각 분야의 학회에서 생명윤리의 중요성을 깨닫고 IRB 승인을 논문 게재의 필수 조건으로 두는 경우도 많다. 이미 한국연구재단에서도 연구과제 선정 후 협약 시 인간대상연구는 IRB 심의와 승인을 필수로 지정하고 있다. 하지만 생명과학기술 및 사회과학과 관련된 일부 전공을 제외하고는 아직도 많은 분야의 연구자들이 ‘생명윤리법’이나 IRB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전북대학교에 IRB가 설치된 이래 단 한 건의 심의도 없었다. 이러한 상황은 타 대학도 비슷할 것 이라고 생각된다. 교육대학원의 경우 교사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은데, 이는 인간대상 연구로서 IRB심의 대상이다. 특히 학생은 미성년자이고 교사로부터 통제를 받는 집단이기 때문에 ‘취약한 환경의 연구대상자’ ‘취약한 환경의 연구대상자’(Vulnerable Subjects)란 임상시험 참여와 관련한 이익에 대한 기대 또는 참여를 거부하는 경우 조직 위계상 상극자로부터 받게 될 불이익에 대한 우려가 자발적인 참여 결정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대상자(의과대학·한의과대학·약학대학·치과대학·간호대학의 학생, 의료기관·연구소의 근무자, 제약회사의 직원, 군인 등을 말한다), 불치병에 걸린 사람, 집단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사람, 실업자, 빈곤자, 응급상황에 처한 환자, 소수 인종, 부랑인, 노숙자, 난민, 미성년자 및 자유의사에 따른 동의를 할 수 없는 대상자를 말한다,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시행 2019.6.12.][총리령 제1544호, 2019.6.12., 일부개정] 별표 4 제2호더목 로 분류된다. 이러한 경우 법정대리인(부모) 동의 절차, 안전 대책, 강압적이지 않고 자발적인 연구 참여 환경 마련, 개인정보 보호 대책 등 연구대상자 보호차원에서 더욱 더 면밀한 검토를 필요로 한다. 본 보고서에서 필자는 ‘생명윤리법’에 의거 인간대상연구에 대해서도 생명윤리 및 안전기준이 적용된 2013년부터 2018년 5월까지 최근 6년간 전국의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의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IRB 심의 대상 여부, IRB 심의 및 승인 여부 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연구자들의 생명윤리 인식의 정도와 연구 과정에서 생명윤리적 측면이 얼마나 고려되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앞으로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연구자들이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하여 생명윤리적인 측면에서 생각하고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생명윤리법’에 대해 소개하고, 이어서 Ⅲ장에서는 연구방법, Ⅳ장에서는 분석결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