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가스포츠 참여유형에 따른 참여자의 여가열의와 여가몰입 관계 연구

        서미래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imed at recognizing differences betwee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figuring out how leisure engagement influences leisure flow in order to find out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and therefore studying for these two factors which are significant factors in determining continuous participations of leisure spor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of leisure sport activitie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528 people in total. Method of this study is survey method, based on Young-Jae Kims(2012)’s 15 questions for measuring leisure engagement and Young-Jae Kim’s(2010)’s 30 questions for measuring leisure flow.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using SPSS 20.0 ver programs to analyz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Moreover, in order to figure out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of leisure sport participants, firstly Person correlation were confirmed,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two factors. The positive analysis of this study were all interpre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f significance level( p value) is p<0.5. The conclusion based on data analysis using above procedures is following. The results of hypothesis 1’s differences i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howed first, in differences of leisure engagement based on participants’ sex and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tion, males had higher efficacy than females for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by participants’ sex, and differences in sub-factor of leisure engagement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sorption, dedication, and efficacy, except for vigor. In absorption and dedicatio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in efficacy,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week participants showed higher results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Furthermo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participants’ sex of leisure sports and frequency were only significant in vigor. Giving closer look to the vigor by participants’ sex and frequency, i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females showed higher vigor than males, and i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males had higher vigor than females. In differences of leisure flow based on participants’ sex of leisure sports and the frequency, males were higher in only 2 sub-factors of leisure flow, which are challenge skill balance and sense of control. In differences of sub-factors of leisure flow based on the frequency, 6 sub-factors except altered sense of time, which are clear goals, loss of self-consciousness, challenge skill balance, autotelic experience, immediate feedback, and sense of control, were higher; in clear goals, challenge skill balance and immediate feedback,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in loss of self-consciousness,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and in autotelic experience and sense of control,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Moreover, interaction effects of leisure flow based on participants’s sex of leisure sports and the frequency were only significant in clear goals. Looking clear goals specifically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sex and frequency, in 1 time/week participants, males showed higher clear goals than females, in 2~3 times/week participants, females showed clear goals than males, and i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males showed higher clear goals than females. Second, in differences of leisure engagement based on leisure sport participants’ types of leisure sport participation and the frequency, group sports showed higher efficacy than individual sports, and in differences of sub-factors based on the frequency,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showed higher absorption and dedication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showed higher efficacy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Moreover, in vigor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but in Scheff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1 time/week participants,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In differences of leisure flow based on participants’ types of leisure sport participations and the frequency, group sports showed higher altered sense of time and challenge skill balance than individual sports for differences of sub-factors based on types of participations, and vice versa for immediate feedbacks. In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leisure flow based on the frequency, 6 factors except altered sense of time, which are clear goals, loss of self-consciousness, challenge skill balance, autotelic experience, immediate feedback, and sense of contro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ear goals, challenge skill balance, and immediate feedbacks,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in loss of self-consciousness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In autotelic experience and sense of control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s that show hypothesis 2’s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have correlation, the effects of hypothesis 3’s influence of leisure sport participants’ leisure engagement on the leisure flow were studied, and result was that 4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which are absorption, efficacy, vigor, and dedication,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leisure flow. The result of figuring out influences of leisure engagement factors on sub-fators of leisure flow was, first, all 4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absorption, efficacy, vigor, dedic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clear goals, altered sense of time, and autotelic experience. Second, absorption and 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loss of self-consciousness and challenge skill balance, which are leisure flow’s sub-factors. Third, absorption, vigor, and dedication, which are the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altered sense of time,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flow. Fourth, absorption, efficacy, and dedication,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immediate feedbacks, the sub-factor of leisure flow. Fifth, absorption, efficacy, and vigor,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sense of control. According to these results, leisure sport participants’ leisure engagement influenced on leisure flow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most cases. Based on this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leisure engagement positively influences on leisure flow.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에 따른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차이를 알아보고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가열의는 여가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하여 여가스포츠의 계속적인 참여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이 두 가지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에서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남, 여 총528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설문지로서 김영재(2012)의 여가열의를 측정하는 15문항, 김영재(2010)의 여가몰입을 측정하는 30문항 등을 기초로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v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여가열의 및 여가몰입의 구성요인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wo-way ANOVA(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두 변인 사이의 관계 형성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Person 적률상관관계(correlation)를 확인한 후,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은 모두 유의도(확률수준:p value)가 p <.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른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1의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에 차이를 알아본 결과, 첫째,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성별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 차이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는 활력을 제외한 몰두, 효능감, 헌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몰두, 헌신에서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았으며, 효능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참여자와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의 상호작용 효과는 활력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상호작용 활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1회, 주2~3회 참여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활력이 더 높고 주4회이상 참여자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활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성별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는 도전과기술의균형, 통제감에서만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에서는 시간감각왜곡을 제외한 몰입의 하위요인 6가지 명확한목표, 자의식의상실, 도전과기술의균형, 자기목적적경험, 즉각적인피드백, 통제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명확한목표와 도전과기술의균형, 즉각적인피드백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 참여자와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고, 자의식의상실에서는 주1회참여자와 주2~3회 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았으며, 자기목적적경험, 통제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의 상호작용 효과는 명확한목표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상호작용 명확한목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1회 참여자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명확한목표가 더 높고, 주2~3회 참여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명확한목표가 더 높으며, 주4회이상 참여자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명확한목표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유형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참여유형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 단체종목이 개인종목보다 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 몰두, 헌신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고, 효능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참여자와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은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활력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긴 하였지만 사후검증결과(Scheffe)에서는 주1회참여자와 주2~3회참여자, 주4회이상참여자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유형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참여유형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는 시감감각왜곡, 도전과기술의균형에서 단체종목이 개인종목 보다 높게 나타났고, 즉각적인피드백에서는 개인종목이 단체종목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에서 시간감각왜곡을 제외한 6가지요인 명확한목표, 자기목적적경험, 도전과기술의균형, 자의식의상실, 즉각적인피드백, 통제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명확한목표, 도전과기술의균형, 즉각적인피드백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참여자와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았으며, 자의식의상실에서는 주1회참여자와 주2~3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자기목적적경험과 통제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2의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난 결과에 따라, 가설3의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열의가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여가열의요인이 여가몰입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열의의 하위요인인 몰두, 효능감, 활력, 헌신 4개의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여가열의요인이 여가몰입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첫째, 여가열의하위요인 4가지(몰두, 효능감, 활력, 헌신)모두가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명확한목표, 자기목적적경험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효능감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자의식의상실, 도전과기술의균형에서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활력, 헌신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시간감각왜곡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효능감, 헌신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즉각적인피드백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효능감, 활력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통제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열의는 여가몰입에 거의 대부분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여가열의는 여가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렸다.

      • 수상스포츠 참여 만족이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

        전환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사는 현대인들은 변화 속에서 적절하게 대처하면서 살아가고 있는데 그중에서 자연친화적이며 역동적인 수상스포츠가 각광받고 있으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상스포츠의 참여 만족요인과 여가몰입에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망원지구, 뚝섬지구에 있는 수상스포츠를 즐기고 있는 성인 남, 여 10세 이상을 대상으로 총 250명을 편의표본추출 하였으나, 이 중 232명의 유효표본 자료를 연구에 이용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 연령, 경험, 경제수준, 경력, 최근참여기간, 과거청소년 때 참여 등을 묻는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신이 현재 참여하고 있는 수상스포츠에 어느 정도 몰입되어 있는 가를 측정하는 여가몰입 측정도구는 기존의 Csikszentmihalyi(1975)에 의해서 개발되고 Jackson & Marsh(1996용하)에 의해 사용 되어진 몰입척도(Flow State Scale: FSS)을 참고로 기초하여 김영재(2010)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발한 여가 몰입 설문지를 이였다. 또한 여가만족의 측정도구는 기존의 Beard와 Ragheb(1980)가 개발한 여가만족척도 Lss 원본 51개 문항을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김영재(2004)가 번역한 여가만족척도 설문지를 수정하여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거쳐 자료 분석 목적에 따라 SPSS WINDOW 18.0을 활용하여 T-검증, 일변량분석(ANOVA), 상관분석 및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른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연령, 경험, 경제수준, 경력, 최근참여기간, 과거참여기간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만족이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여가몰입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성별, 연령, 경험, 경제수준, 경력, 최근 참여기간, 과거참여기간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여가몰입이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과 여가몰입 요인은 상호 유의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상스포츠 참여에 따른 만족 중 자의식의상실을 제외한 명확한 목표, 시간감각 왜곡, 도전과 기술의 균형, 자기 목적적 경험, 즉각적인 피드백이 여가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ople are well adapting to rapidly changing situations these days. Water sports which is nature-friendly and dynamic are drawing attention as a breakthrough in their somewhat stressful lives. However, researches are insufficient for further studies. Therefore,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factors of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immersion in their leisure activities, water sports. To do so, the survey had been conducted targetting people over 10 year-old who enjoy water sports in Mang Won and Ttukseom, Seoul. the result from 250 biased sample has been calculated and 232 valid sample of them has been used in this paper. The survey questions are used as a research tool and the questions about sex, age, experience, level of economy, career, participation time, experience in adolescent period, etc. are used to specify personal factors. To measure the level of immersion in the leisure activities, which explains how much people are immersed in their currently enjoying water sports in this paper, the survey questions developed by Kim, Young Jae(2010)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Korea which is based on Flow State Scale (FSS) developed by Csikszentmihalyi(1975) and used by Jackson & Marsh(1996), are used as a measurement tool. Also, 51 questions, which is translated by Kim, Young Jae(2004) considering the cultural differences based on Leisure Satisfaction Scale (LSS) developed by Beard and Ragheb(1980), are used as the measurement tool. Collected data has been through factor and credibility analysis and used in conducting T-verification, univariat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DOW 18.0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is paper. The following results are through those analysis above. First, the level of satisfaction seems to correlate with the personal factors. Second, the level of immersion does not seem to correlate with personal factors, but the result shows that it partially correlates with some factors. Third,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immersion seem to interrelate with some factors. Except for the loss of identity, the satisfaction factors in participating in water sports, such as certain goals, forgetting track of time, balance between challenge and techniques, deliberate experience, instant feedback, influence on how much people immerse in their leisure activities, the water sports.

      • 댄스스포츠의 재미요인이 여가열의에 미치는 영향

        이혜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개인의 여가열의에 기여하는 요인은 건강 증진 이외에도 여럿 존재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정 종목의 재미요인은 여가열의에 관계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댄스스포츠의 재미요인을 밝히고 이러한 재미요인들이 여가열의에 어느 정도 관계되어 있는 지를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댄스스포츠 참가자와 지도자들에게 댄스스포츠 참가 효과와 지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서 댄스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남녀 422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연의 측정도구는 김영미, 한혜원(2005)의 재미를 측정하는 15문항, 김영재(2012)의 여가열의를 측정하는 11문항 등을 기초로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재미요인 및 여가열의 구성요인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검정, 다변량분산분석을 사용하였고, 분석 후 결과가 유의미한 경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댄스스포츠 참여대상자들의 재미요인이 여가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미요인 및 여가열의에 따른 성별, 연령, 교육정도, 결혼여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 교육정도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과 결혼여부별 차이는 여가열의에서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요인이 여가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여가열의의 몰두 하위요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재미요인의 클럽분위기, 인정, 유능성지각이고, 여가열의의 효능감 하위요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재미요인의 유능성지각, 활기, 클럽분위기이며, 그리고 여가열의의 활력 하위요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재미요인의 활기, 클럽분위기, 인정 하위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re might be sever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an individual's leisure engagement. Among them, enjoyment of certain sports is likely to relate to leisure eng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factors of enjoyment in dance sports, and the effect of enjoyment on leisure engagem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mplication ar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participants and leaders of dance spor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2 participants attending dance spots club in Seoul and Gyeong-gi areas. The enjoyment rating scales' 15 items developed by Young Mee Kim and Hae Won Han (2005) were used to measure enjoyment, and the leisure engagement rating scales' 11 items developed by Young Jae Kim (2012) were used to measure leisure engagement.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Windows 20.0 Version was used to conduct an independent samples -test,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btain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differences in gender, age, education status, and marital status by sub-factors of the enjoyment, and leisure engagemen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marital status by sub-factors of the leisure engagemen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education status. Second, as the result of the effect of enjoyment on the leisure engagement, club atmosphere, acknowledge, and perception of competency of enjoyment's sub-factors effect on absorption of the leisure engagement. Perception of competency, vitality, club atmosphere of enjoyment's sub-factors effect on self-efficacy of the leisure engagement. And vitality, club atmosphere, acknowledge of enjoyment's sub-factors effect on vigor of the leisure engagement.

      • 태권도 활동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신체조정능력과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

        이규용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태권도 활동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신체조정능력과 정서적 안정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 K지역의 D복지관의 다운증후군 아동 7명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자에게 신체조정능력 검사와 정서적 안정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8228;사후를 비교하였다. 사용한 검사 도구는 아동신체협응테스트(KTK) 검사지와 KISE 사회&#8228;정서행동발달척도 검사지로 4개씩 8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기간은 20주간 주 2회 50분간 진행하였다. 태권도 활동에 따라 신체조정능력 및 정서적안정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분석을 위하여 참여한 집단의 신체조정능력 및 정서적안정의 사전&#8228;사후 평균치의 차이를 SPSS WIN 1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통제군의 구분없이 실험군만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고, 표본 사례수가 작아 비모수통계인 윌콕슨 부호순위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통하여 검정하였으며, 검정결과 95% 신뢰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의 질적 향상을 높이기 위해 다운증후군 아동들과 태권도 활동으로 인하여 좋은 점과 비교대상이 되는 활동들과의 차이와 승급심사 후 띠를 바꾼 뒤의 감정변화와 만족도에 대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다운증후군 아동의 부모님과 태권도를 시작하기 전화 후 의 변화된 모습에 대하여 느낀 점을 인터뷰 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 수집 및 분석과정 과 논의 및 인터뷰를 통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반응은 사전실험과 사후실험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Z=-2.375, p<.05) 둘째, 자기주도 행동은 사전실험과 사후실험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Z=-2.375, p<.05) 셋째, 자아의식자아상의 경우 사전실험과 사후실험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Z=-2.388, p<.05) 넷째, 자아의식의 경우 사전실험과 사후실험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Z=-2.384, p<.05) 다섯째, 후진균형잡기의 경우 사전실험과 사후실험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Z=-2.366, p<.05) 여섯째, 외발뛰기의 경우 사전실험과 사후실험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Z=-2.375, p<.05) 일곱째, 좌우뛰기의 경우 사전실험과 사후실험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Z=-2.375, p<.05) 여덟째, 옆으로 이동하기의 경우사전실험과 사후실험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Z=-2.207, p<.05) 위의 결과를 통해 태권도 활동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신체조정능력과 정서적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ekwondo o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hysical intelligence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The subjects were 7 children with Down syndrome from D community center at K region in Gyunggi-do. During the study, the subjects performed taekwondo for 50 minutes a day, twice a week for 20 weeks. Bo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hysical intelligence tests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once before and after the action. Finally, the collected test results were analyzed to see any changes in the subject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hysical intelligence. In this study, KTK and KISE, both of which consisted of four parts with 8 subcategories, were used a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hysical intelligence tests. Also, SPSS WIN 17.0 was used to analyze the test results. The study was done without control group and was monitored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which is known as nonparametric statistics, due to very small number of samples. Statist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a 95-percent confidence level. Moreover,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tudy, the study involved in-depth interview with the subjects to talk about the merits of taekwondo, the difference between taekwondo and other comparative activities, and the change in subjects’ mood after passing a taekwondo belt test. There was also an interview with the subjects’ parents to see if there were any other changes in the subjec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statist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jects’ emotional response. (Z= -2.375, p<.05) Second, statist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ject’s self-directed action. ( Z= -2.375, p<.05) Third, statist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jects’ conception of self-image. (Z= -2.388, p<.05) Fourth, statist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jects’ self-consciousness. (Z= -2.384, p<.05) Fifth, statist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jects’ backward balancing exercise. (Z= -2.366, p<.05) Sixth, statist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jects’ one-leg jumping exercise. (Z= -2.375, p<.05) Seventh, statist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jects’ left and right jumping exercise. (Z= -2.375, P<.05) Eighth, statist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jects’ lateral movement exercise. (Z= -2.207, P<.05) A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abov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aekwondo has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hysical intelligence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 중학생의 방과후 체육활동참여유무에 따른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관계

        허원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학생의 방과체육활동 참여유무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를 무선으로 선정하였다. 학교에서는 총 425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포 조사하였다. 조사 후 수거된 설문지 중 무응답 문항이 많은 것, 동일한 번호에 응답한 것, 자아탄력성척도나 학교적응 척도 중 한쪽에만 응답한 것 등 불성실한 응답이나 무응답 자료 128부를 제외한 총297명의 자료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Windows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의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고 각 하위척도들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측정도구에 대한 요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유무와 사교육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간에 차이를 알아보기위해 MANOVA분석을 실시하였고, 자아탄력성 및 학교적응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하위척도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방과 후 체육활동참여유무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하위척도들이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에 따른 방과후 체육활동참여 경험유무에 따라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에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방과후 체육활동에서 사교육 체육활동참여 경험유무에 따라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자의 자아탄력성요인과 학교적응요인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결과 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유무에 따라서 자아탄력성요인이 학교적응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을 한 결과 대부분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방과후 체육활동은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방과후 체육활동을 활성화 하여서 청소년 시기를 정신적으로 그리고 육체적으로 안정되고 건강하게 보낼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The ego-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ddle school student's ego-resilience whether they were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or not. A total of 425 randomly selected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128 surveys were filled out incorrectly and thus the remaining 297 surveys were used for the analysis. Cronbachs index was calculat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each of the outputted variables and the reliability was test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windows version 18.0). MANOVA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go-resilienc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or not. Here ar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go-resilience of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Alas, this can show that participation can affect the ego-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overall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with their ego- resilience. Third, there was a strong influence shown by the high ego-resilience according to the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The results above show that the participation of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has an importance effect 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middle school students.

      • 베이징시 중학교 축구지도자들의 지도경험 이해

        왕충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번 연구의 목적은 질적인 연구 방법으로 베이징시의 중학교 축구지도자들의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는 전직 축구선수였거나 혹은 체대를 졸업하고 중학교에서 축구지도자로 재임하고 있는 10명을 생대로 언스트럭처드 리스트와 세미스트럭처드 리스트를 결합하여 하이 퀄리티 인포메이션을 도입하여 2단계 리스트를 작성함으로서 설문조사를 통하여 더욱 깊은 면담을 가진다. 개별적인 심층 인터뷰 수업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주제, 단위화, 상징화, 유형화 된 수법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축구지도자의 지도경험 수업 과정 내용을 분석한 결과에 의해 스타트단계, 초급단계, 성장단계, 완속단계로 분류하고 스타트단계에서는 선수시기에 대한 미련과 아쉬움 및 주변의 권유 등을 상세히, 초급단계에서는 선수 선발의 어려움, 지도경험의 부족, 인본주의 교육의 필요성, 심리모순의 해결, 흥취를 중심으로 하는 훈련 등으로 지도자의 성과를 가늠한다. 둘째, 지도자의 지도경험 환경을 분석한 결과에 관해서 직무환력의 요인, 주변 환경의 요인으로 나누어 직무환경에서는 불안감, 주변 환경에서는 학교의 명예, 학부형들의 지나친 간섭 등으로 분류했다. The target of this research is studying the way how football coaches from middle schools in Beijing train their teams by using qualit ative research, and analyzing the problems they find in their training processes. The participators of this research are ten football coaches who used to be football players. And there are two phases of this research, first, collecting information by using nonstructural interview and semi-structural interview then make questionnaires to acquire more specific information. Second,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information and get concrete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football coaches’ experience, their career life could be classified as four different steps: preliminary step, beginner step, development step and mature step. In preliminary step, the coaches still can’t jump out of their roles of being football players and this view affects them all the time. Then in the beginner step, they begin to accept the role of a trainer but there are still problems like lack of experience, the deviations between theory and performances and the obstacle of selecting team members etc. And in developing step, the coaches are focus on learning professional knowledge of football trainer and absorb the proposal given by their precursors. And in the mature step, their work shift to give education of humanity to athletes and help them on psychological problems, and training is mostly based on intrusting and preferences. They also begin to think about the value and meaning of being a football coach in this step. Secondly, let’s talk about the objective environment that directly affects football coaches. Working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are the most important two aspects in this part. To be more specific, working environment mainly means the level of payment and the conscious of being ignored by their own schools. Social environment means reputation of the school and the over concern from team members’ parents. These coaches’ past experience shows that both their personal and career life changes dramatically. Some of them choose to be a coach because of the regrets of retiring from football team while others may because of precursors’ recommendation or proposal. They have to go through all the difficulties the meet in the first two steps of their career life so they could be professional and capable coaches. The main guide and encourage are from their previous coaches and teachers. So some of them choose to study abroad to improve themselves. They only way to prove their own value is to make proper training plan for different kinds of trainees and help them going through mental conflicts or even building right view of life. Otherwise, as the main environment of football in China is not so good, football players and coaches can’t get respect or approve. This causes very deep conscious to middle school football coaches. What’s more, the phenomenon of school leaders intervene too much and most of schools grading coaches only by whether they could win games causes a lot of troubles as well.

      • 한ㆍ중 운동선수 은퇴 보장 정책 비교 연구

        왕지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번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 방법으로 한중 양국의 체육 정책을 제정하는 중앙체육행정기관으로부터 체계적으로 알아본 후 1980년부터 2011년까지 제정된 은퇴와 관련된 정책의 수량과 내용을 분석하여 양국 미래 은퇴 보장 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이번 연구는 한중 양국 현역 탁구국가대표 선수 각 5명을 면담 대상으로 선정한 후 심층면담 방법으로 양국 탁구선수의 은퇴 정책의 대한 인식과 평가를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한중 양국은 “귀위선양”의 공동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앙 체육행정기관을 설치한후 1980년부터 2011년까지 은퇴 선수의 이익을 보장하기 위해 한국은 총 5회의 개혁을 겪었고 중국은 7개의 은퇴 정책을 제정하였다. 둘째, 한중 양국의 은퇴 정책은 공동적으로 진학수단을 강조하며 운동선수의 복지향상에 힘쓰고 있다. 셋째, 한국은 중앙체육행정기관이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라 복지사업을 운영하는 반면에 중국은 중앙체육기관이 체육 정책을 주관하여 지방행정기관이 정책을 실시하는 체제이다. 넷째, 한중양국 탁구선수는 은퇴 정책에 대하여 충분히 알아보지(인지하지) 못했으며 기술 양성 프로그램을 세우는 것은 바람직한 은퇴 보장이라고 밝혔다. 이런 연구 결과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은 은퇴 정책의 수혜자 범위를 계속 넓히면서 운동선수의 복지사항을 향상시켜야 한다. 둘째, 한국은 탁구를 프로화 시킨 다음 탁구선수의 법적 적용자수를 높혀야 하며 체육인복지 사업을 계속 강화시켜야 한다. 셋째, 한중 양국 중앙체육행정기관이 운동선수 은퇴 문제를 주관하는 기관을 세우는 것은 바람직하다. This research i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analyze the sports policies made by Korean and Chinese central sports administration. Presenting proposal for future policy making to ensure retired athletes based on the analyzed data on the number and content of policies made related to retired athletes from 1980 to 2011. Conduct in-depth survey with interview with five present national table tennis athletes from both countries to analyze their cognition and valuation of retirement policies. The acquired results are listed as followed: First, both of the two countries established central sports administration for the purpose of publicizing national prestige. From 1980 to 2011, the Korean central sports administration modified the Athlete Retirement Policy for five times and the Chinese central sports administration enacted seven policies to secure retired athlete’s benefits. Second, both of the two countries emphasized on athletes’ further studies and devoted to enhance athletes’ welfare. Third, the Korean central sports administration followed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whereas the Chinese central sports administration organized policies and assign them to the local administrations. Fourth, since the national table tennis athletes of both two counties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the Athlete Retirement Policy, the administrations should not only enhance their promotion of policies but also develop skill forming programs. Based on the research,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irst, the Chinese government should constantly extend the range of policy beneficiary and enhance welfare of athletes at the same time. Second,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ofessionalize table tennis to enhance the number of policy beneficiary of national table tennis athletes also strengthen the Athlete Welfare Project constantly. Third, setting up an organization to deal with problems about athlete’s retirement is a helpful method to both Korea and China.

      • e-스포츠 참여가 정신지체장애 학생의 자신감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명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e-스포츠 참여가 정신지체장애 학생들의 자신감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논문으로 경기도 하남시에 위치한 S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며 과학반 소속인 정신지체장애 학생 중 14~18세 사이의 남학생 5명을 대상으로 2010년 1월 11일부터 2010년 2월 26일까지 7주간 총 18회기의 걸쳐 2시간씩 e-스포츠(피파)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을 실시하기 전 자신감 및 사회성 검사를 실시하고 교육 종료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7주간 18회기의 e-스포츠(피파)의 참여는 정신지체장애 학생들의 자신감 및 사회성 발달에 통계학적으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를 참여 대상이 5명이라는 점, 그리고 그 중에서도 설문 측정이 가능했던 대상자는 3명이라는 점과 e-스포츠 참여에 따른 효과성을 끌어내기에는 교육기간이 짧았던 점으로 일반적인 결과로 확대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때문에 실험에 참여한 정신지체장애 학생들의 개인적인 성향과 설문 측정 결과 그리고 교육기간 중 참여 대상자의 행동변화 관찰 결과로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장애 학생들의 개인별 성향에 따라 게임에 대한 호감도가 다르며 이러한 호감도의 차이로 인해 자신감 측정 점수가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e-스포츠 참여 자체만으로는 정신지체장애 학생들의 사회성 발달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유정(2008)의 연구내용과 특수학교 담당교사의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e-스포츠에 참여함으로써 정신지체장애 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결과에 비추어 보면 e-스포츠의 참여 자체로는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e-스포츠에 참여함으로써 발생되는 만남 즉, 온라인상으로 타인과 경쟁 및 협동을 통한 교류, 또는 e-스포츠 대회에 참여함으로써 다른 참여자들과의 만남 등을 통해 사회성의 발달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전으로 e-스포츠가 생겨나고 현재 청소년부터 성인까지 여가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은 e-스포츠와 관련해서 장애인들에게는 아직 e-스포츠가 여가활동으로서 크게 확대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일반인들과 e-스포츠에 대한 연구들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장애인과 e-스포츠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e-스포츠 대회가 점차 활성화 되고 있는 시점이며 특수학교에서도 장애인들의 e-스포츠 참여를 점차 확대 하고 있다. 그러나 오유정(2008)의 연구에 따르면 정작 특수학교 교사들은 e-스포츠에 참여하지 않고 있어 장애인들이 e-스포츠에 참여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특수학교 교사들에게 e-스포츠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이로 인해 장애인들의 e-스포츠 참여가 보다 쉽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장애인들과 e-스포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라며 본 연구의 결과가 후속 연구를 위한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find out the effect of e-sports participation on self-confidence and social development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To collect the data, 5 retarded male students between 14 and 18 old had the test. They attend a S special-education school located in Ha-Nam, Kyoung-ki and they took part in the test for 18 times. The test is about the e-sports(FIFA) and during 7 weeks, from January 11th 2010 to February 26th 2010, the five students took it for 2 hours. Before the five students participated the e-sports, they had the self-confidence and social development tests and 7 weeks later they had the same tests agai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participation, statistically, there was no effect of e-sports participation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in their self-confidence and social development. However, here are some drawbacks: first, there were only 5 participants and among them only 3 were capable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Second, seven weeks were not enough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e-sports. Thus, it is very difficult to overanalyze this case. By the way, the observation results of their behavioral changes are like the followings with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period of the participation: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each retarded student, their preferences in the e-sports were different respectively. Thus, due to these dissimilar preference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ir results of confidence measurement. Seco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e-sport's participation and social development. Based on the content and the interview of a specially trained teacher, Oh You-Jung(2008) reported that the participation of e-spor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development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On the contrar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case, participating e-sports itself had no effect on social development. However, the meeting during the e-sports like an interaction to cooperated in games, or an competitive experience in on-line has an influence on social development. Generally, e-sports has been in spotlight since computer and Internet were developed. Consequently, both adolescents and adults became quite fascinated with the e-sports. However, the e-sports for the disabled are not as popular as the e-sports for the non-disabled. Thus, the study of e-sports for the disabilities has been inactive while for non-handicapped people it has not. Nowadays, however, the e-sports competitions for the disabled are vitalized more and more and also special schools try very hard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to the disabled students so that they could experience the e-sports as well. on the basis of the study by Oh You-Jung(2008), the disabled students have the difficulty to enjoy the e-sports owing to the lack of e-sports participation by the special school teachers. Thus, the teachers need to know the benefits of the e sports in order to lead the students to the pleasure of the e-sports. Lastly, with h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the precious foundation to support more vigorous discussions and forthcoming studies.

      • 테니스 선수의 진로성숙도 연구

        임새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to the bottom of career maturities for tennis players. It would prove helpful in the design of their satisfactory condition as well as their development. Also, some professional players could receive more effective coaching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n other words, this study could provide beneficial preliminary data which is useful in providing stable management. It may also aid in career counseling for tennis players with analyses of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from a social relationship network by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the difference between career searching behavior and career maturity. To achieve its goal, there are four main contents below : Firstly, the difference of social relationship network, career searching behavior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a demographic factor. Secondly, the difference of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social relationship network and career searching behavior. Thirdly, a correlation with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tennis players, social relationship network and career searching behavior.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260 people over 17 years of ago who have registered with the Korea Tennis Association for 2010. The questionnaires with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were collected from each participant. 213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but some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The exclusion of certain questionnaires included those with insincere answers, unreliable contents or those that completed more than on survey. The questionnaire is used as a measuring tool for this study and its validity was verified by a preliminary inspection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factor-analysis with these data, KMO factor and Bertlett's sphericity test were used, and in consequence, .850 for KMO factor and χ²=3528.706, p<.001 for Bertlett's sphericity test. The data was analyzed by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ith those analyses is as follows ; First of all, there are partial differences with social relationship network depending on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career searching behavior and career maturity. Specifically, females rank the highest in the positive social relationship network, which is a sub-factor of social relationship network, while high school and university players mark the highest position in the negative social relationship network. Females rank the highest in the personal searching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searching behavior and job searching with senior players. In the determinacy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maturity, national team experienced players rank the highest, while the players who have been playing less than 5 years have the highest score in relevance and propensity. Secondly, as followed the difference of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social relationship network and career searching behavior, nagative-high was the highest position in determinacy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social relationship network. Besides, positive-low categories for relevance and negative-medium for propensity. The determinacy according to career searching behavior shows career-low is the highest one, while personal-low for relevance and career-high for compromise ranks the highest, respectively. Thirdly, as followed the correlation with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social relationship network, career searching behavior and career maturity, the positive social relationship has meaningful correlation with negative, personal searching, job searching, relevance, propensity and compromise, while negative social relationship has meaningful correlation with personal searching, job searching, determinacy, relevance and propensity. Personal searching behavior shows a direct correlation with job searching, determinacy, relevance and compromise. Propensity and compromise for determinacy and propensity for relevance show a meaningful negative relationship. Lastly, national team experience, personal searching and negative social relationship have been revealed as a factor which could affect the determinacy of career maturity. Personal searching and negative social network for relevance, career as a player and negative social network for propensity and personal searching for compromise are factors which could affect each section but independence was not affected any of them. Therefore, it would be requested to organize career-instructed data on full-time athletes, as well as tennis players, which can be practical and beneficial to decide their career path with well- match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conclusion of this provides fundamental data for stable management and career decision among tennis players. 본 연구에서는 테니스 선수의 진로성숙도를 규명하여 자신에 대한 또 다른 발전성과 개인적으로 만족스러운 삶을 설계하고 앞으로 진로를 스스로 결정하는데 있어 엘리트 운동선수들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지도가 이루어 질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성숙도간의 차이와 관계를 알아보고, 테니스 선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사회적 관계망, 진로탐색행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테니스 선수의 안정된 테니스 선수관리 및 선수진로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 진로탐색행동, 진로성숙도의 차이, 둘째, 테니스 선수의 사회적 관계망, 진로탐색행동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 셋째, 테니스 선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사회적 관계망, 진로탐색행동,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 넷째, 테니스 선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사회적 관계망, 진로탐색행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2010년 대한테니스협회에 등록되어 테니스 선수를 하고 있는 고등학생 이상 테니스 선수 남&#12539;여를 대상으로 설정한 후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로부터 회수된 260명의 자료 중, 답이 불성실 하거나 이중으로 기입되어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불성실한 자료와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자료를 제외시킨 213명을 표집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로, 설문지의 타당도는 예비검사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설문지의 수집된 데이터가 요인분석에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 KMO(Kaiser-Meyer-Olkin Measure) 지수와 Bertlett의 구형성 검정치를 확인한 결과 KMO지수는 .850으로 나타났고, Bertlett의 구형성 검정치는 χ²=3528.706, p<.001로 나타났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기법은 기술 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과 진로탐색행동, 진로성숙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적 관계망의 하위요인인 긍정적사회망은 여자가, 부정적사회망은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가장 높다. 진로탐색행동의 하위요인인 개인탐색은 여자가, 직업탐색도 여자와 실업팀선수가 가장 높다.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인 결정성은 국가대표 경험이 있는 선수가, 관여성은 선수경력 5년 미만, 성향은 선수경력 5년 미만, 타협성은 여자가 높다. 둘째, 테니스 선수의 사회적 관계망, 진로탐색행동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인 결정성은 부정 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관여성은 긍정 하, 성향은 부정 중으로 나타났다. 진로탐색행동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인 결정성은 직업 하, 관여성은 개인 하, 성향은 직업 하, 타협성은 직업 상이 높다. 셋째, 사회적 관계망, 진로탐색행동, 진로성숙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사회망은 부정적, 개인탐색, 직업탐색, 관여성, 성향, 타협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부정적사회망은 개인탐색, 직업탐색, 결정성, 관여성, 성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개인적 탐색행동은 직업탐색과 결정성, 관여성, 타협성에서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업탐색행동은 관여성, 성향, 결정성에서는 성향과 타협성, 관여성은 성향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진로성숙도의 결정성은 국가대표 경험 유/무, 개인탐색, 부정적사회망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관여성은 개인탐색과 부정적사회망, 성향은 선수경력과 부정적사회망, 타협성은 개인탐색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독립성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테니스 선수들의 안정된 선수관리 및 선수진로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진로를 결정하는데 있어 테니스 선수들뿐만 아니라 엘리트 운동선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들에 맞는 보다 실제적인 진로 선택에 도움을 주는 진로선택을 도울 수 있는 엘리트 운동선수 관련 진로 교육의 자료를 구성할 것이 요청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