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몰입, 학습자 간 상호작용, 만족도, 성취도 간의 관계 규명

        홍영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블로그(blog)는 ‘참여, 공유, 개방’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의 대표적 도구로, 사용자 간 상호작용이 보다 강화되었다는 특징을 가진다. 블로그 사용자들은 자신에 대해 성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Hiler, 2003), 서로 자유롭게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고 협력하여 쉽게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다(허희옥, 강의성, 2010). 이러한 블로그는 교육적으로 활용하기에 용이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다수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블로그는 글쓰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비판적, 분석적, 창의적, 직관적, 문제해결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블로그 공간이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블로그를 활용하면 학습자 간 친밀한 협력적 상호작용성을 기반으로 학습 공동체 형성이 보다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블로그의 강한 상호작용적 특성은 블로그를 활용하여 웹 기반 협력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다. 웹 기반 협력학습(WBCL: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은 웹 기반 학습환경에 상호 연결된 학습자가 공동의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논의하고 교환하는 협동적 과정으로, 학습자들은 블로그 공간을 활용하여 용이하게 협력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만족도나 성취도 등 학습 결과를 높이는 데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학습자들의 정보처리 과정이 온라인상의 빈번한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정교화되어 가고 이에 따라 점차 학습이해도가 높아져 높은 학업성취도로 연결될 수 있다는 증거를 보여주고 있다(김원경, 황성현, 곽승우, 2006). 최근 웹 기반 환경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상호 협력적인 학습 활동을 설명하기 위한 요인으로서 ‘몰입(flow)’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김영희, 김영수, 2006; 유병민, 김수욱, 박성열, 박혜진, 2010; 박성익, 김연경, 2006). Csikszentmihalyi(1975)에 의하면, 몰입(flow)이란‘과제 해결이나 활동에 집중할 때 나타나는 최적의 심리현상’으로 정의된다.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몰입을 경험하면, 학습활동과 학습과정 자체에 즐거움을 느껴, 다른 학습자와 상호작용과 협력을 통해 적극적으로 학습과정에 참여하게 된다(계보경, 김영수, 2008; 박성익, 김연경, 2006).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 상황에서도 학습자가 몰입할수록 웹에서 다른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이 증대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몰입은 만족도와 성취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김영희, 김영수, 2006; 문철우, 김재현, 2011). 이처럼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몰입이나 학습자 간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한 요인임에도 기존의 선행연구에서의 논의는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몰입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선행요인이 되고,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몰입과 만족도 혹은 몰입과 성취도를 매개하는 요인이 되는 모형에 대한 논의는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몰입, 학습자 간 상호작용, 만족도,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학습자의 몰입과 만족도, 성취도 간의 관계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몰입, 학습자 간 상호작용(내향 연결 중심도, 외향 연결 중심도), 만족도, 성취도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가? 2.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몰입이 만족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내향 연결 중심도, 외향 연결 중심도)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3.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몰입이 성취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내향 연결 중심도, 외향 연결 중심도)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본 연구는 2012학년 1학기에 경기도 소재 G대학교에서 개설된 ‘한국정부론’과목의 수강생 40명과, S대학교에서 개설된 ‘전자정부론’과목의 수강생 33명, 총 7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두 과목은 행정학 분야의 전공기초 과목으로서 다루어지는 내용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과목의 차이는 실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교수자 변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서 동일한 교수자가 두 개 과목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최종 결과분석에 포함된 연구대상은 64명으로, 팀 발표 당일 결석으로 설문에 참여하지 않은 4명,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3명, 한국어 쓰기에 미숙하여 블로그 활동 참여가 어려웠던 외국인 2명을 제외하였다. 분석대상에 포함된 설문 응답자는 성별로는 남학생 31명, 여학생 33명, 학년별로는 4학년 31명, 3학년 33명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팀별 협력학습을 위해 5~6명으로 팀을 구성하고, 각 팀은 해당 과목 교수자 블로그의 팀 활동방을 배정받아 활동하였다. 학습자들은 오프라인 수업에서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이론적인 내용들을 학습하고, 동일한 블로그 환경에서 7주 간 각 팀별로 구성원 간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해 과제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과제는 각각 ‘지방정부의 갈등 해결’과 ‘구청 홈페이지 문제점 해결’에 대한 것으로 학습자의 몰입과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비구조화된 문제해결형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몰입과 학습자 간 상호작용(내향 연결 중심도, 외향 연결 중심도), 만족도, 성취도 간 관계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몰입, 내향 연결 중심도, 만족도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몰입은 만족도(r = .62, p < .01)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몰입과 내향 연결 중심도, 내향 연결 중심도와 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몰입, 외향 연결 중심도, 만족도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몰입과 외향 연결 중심도(r = .28, p < .05), 외향 연결 중심도와 만족도(r = .30, p < .05)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몰입, 내향 연결 중심도, 성취도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몰입과 성취도(r = .26, p < .05), 내향 연결 중심도와 성취도(r = .21, p < .01)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몰입, 외향 연결 중심도, 성취도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몰입과 외향 연결 중심도(r = .28, p < .05), 외향 연결 중심도와 성취도(r = .36, p < .01)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몰입과 만족도, 몰입과 성취도 간 관계에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내향 연결 중심도, 외향 연결 중심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매개분석 방법에 따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를 매개 효과 검증 과정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몰입과 만족도 간 관계에서 내향 연결 중심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 독립변인인 몰입은 종속변인인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했으나(β = .62, p < .05), 2단계에서 몰입이 내향 연결 중심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12, p > .05). 따라서 몰입이 만족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내향 연결 중심도는 매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몰입과 만족도 간 관계에서 외향 연결 중심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 독립변인인 몰입은 종속변인인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했으며(β = .62, p < .05), 2단계에서 몰입은 매개변인인 외향 연결 중심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β = .28, p < .05). 그러나 3단계에서 독립변인인 몰입이 통제된 상태에서 매개변인인 외향 연결 중심도가 종속 변인인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않았으므로(β = .13, p > .05), 외향 연결 중심도는 몰입이 만족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몰입과 성취도 간 관계에서 내향 연결 중심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 독립변인인 몰입은 종속변인인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했으나(β = .26, p < .05), 2단계에서 몰입이 내향 연결 중심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12, p > .05). 따라서 몰입이 성취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내향 연결 중심도는 매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몰입과 성취도 간 관계에서 외향 연결 중심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 독립변인인 몰입은 종속변인인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β = .26, p < .05), 2단계에서 몰입은 매개변인인 외향 연결 중심도 역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β = .28, p < .05). 그러나 3단계에서 독립변인인 몰입이 통제된 상태에서 매개변인인 외향 연결 중심도가 종속 변인인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않았으므로(β = .20, p > .05), 외향 연결 중심도는 몰입이 성취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들의 학습 성과를 높이기 위해 몰입,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블로그를 활용하는 실험적 연구의 수행에 있어, 연구가 진행되기 전 블로그 활용에 대한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학습자들이 블로그 활용법에 대한 기본적 이해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숙지한 뒤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교수자 혹은 연구자의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영향을 고려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은 처음 접하는 학습자로서는 생소한 환경이므로 교수자가 적극적으로 학습자를 관리하는지 여부에 따라 몰입이 성취도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 셋째, 학습자 간 상호작용에 대해 오프라인 모임, 모바일의 활용 등과 연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블로그의 팀 활동방에 게시된 자료만을 상호작용 데이터로 수량화하였지만 학습자들이 실제로는 블로그 활용에 익숙하지 않아 오프라인 모임이나 모바일을 활용한 상호작용이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블로그를 활용하면서 오프라인 수업 시간에 면대면 모임 시간을 제공하거나 모바일 활용과도 병행하도록 하는 등 실시간 상호작용과 연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도 팀 리더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수행 시 팀별 리더를 인위적으로 선정하지 않았음에도 자연스럽게 팀 리더가 정해졌으며, 보다 책임감 있고 적극적인 팀 리더가 있는 팀은 그렇지 않은 팀에 비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나 만족도, 몰입도 등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후 블로그를 활용한 웹 기반 협력학습 연구에서는 팀 리더 역할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조화시킴으로써 보다 분명한 인과관계를 보여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팀 활동에 대한 개인 성찰 보고서나 팀 활동 종료 후 교수자와의 집단면접 혹은 일대일면접을 통해 실제 해당 요인이 팀 활동의 결과에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몰입 상태의 측정은 팀 활동이 종료된 후 설문지에 의해 실시되었는데, 추후 연구에서는 몰입 측정시기와 방법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A blog could be an important tool for education in the era of web 2.0 which features participatory information sharing, interoperability, user-centered design, and collaboration. Especially, it focused on interaction between users. The blog users easily create new things by sharing their own information or knowledge and collaborating with each other(Huh & Kang, 2010). Learners can increase critical, analytical, creative, intuitive, and problem-solving their abilities through the blog and establish learning communities actively by interacting each other collaboratively in the blog. This interactive blog could help the learners perform the WBCL(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which is defined as a collaborative process where interactively connected learners on the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web discuss and exchange their ideas to solve common problems successfully. The learners could perform the collaborative learning more easily on the blogs. In the process of WBCL using blog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can be a critical success factor for desirable learning performances including learners’ satisfaction or achievement. Learners can process information precisely through the interaction. It leads to high understanding and high achievement(Kim, Hwang, & Kwak, 2006). Recently the flow experience is emerging as an key factor for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or collaborative learning(Kim and Kim, 2006; Ryu, Kim, Park, & Park, 2010; Park and Kim, 2006). Csikszentmihalyi(1975) defines it as “the holistic experience that people feel when they act with total involvement. If a learner experiences the flow in the learning process, he feels joyful for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process and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process through interacting and collaborating with other learners(Gye & Kim, 2008; Park & Kim, 2006). It could be applied to the blog WBCL. If a learner experience flow state, he can increase the interaction with other learners on the blog of web. It also can influence a leaner’s satisfaction or achievement(Kim and Kim, 2006; Moon & Kim, 2011). Although the flow experience a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re critical factors in the blog WBCL, it is little discussed in the existing blog WBCL literatures, especially flow as an antecedent of interaction and interaction 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flow and satisfaction or flow and achievement. Therefore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a structured relationship among flow experience of a learner,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the WBCL using blogs and analyze mediating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low and satisfaction, and between flow and achievement.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low experienc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degree centrality, out-degree centrality),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the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blogs? 2. Doe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degree centrality, out-degree centrality) serve as a mediating variable when the flow experience predicts variables of satisfaction i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blogs? 3. Doe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degree centrality, out-degree centrality) serve as a mediating variable when the flow experience predicts variables of achievement i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blogs?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40 students who took ‘Korean Government’ subject at the G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Korea and 33 students who took ‘e-Government’ subject at the S university located in the same province. The reason is that the two universities or two classes could offer enough number of observations for this experiment. The factor of university or class might not affect the experimental results because the both subjects were the same major courses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led by the same instructor. Although totally 73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blog WBCL, finally 64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because four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esentation of team reports, three students who did not answered the questionnaire faithfully, and two students who were not good at Korean-writing as foreigners and participated little in the blog WBCL were excluded. They consisted of 31 men and 33 women by sex and 31 juniors and 34 seniors. 14 teams were formed and each team is composed of five to six team members autonomously or non-autonomously. A team activity room on the instructor’s blog is allocated to each team. The students learned theoretical issues in the off-line face-to-face class and performed team activities on the instructor’s blog through collaborative interaction between the other members during seven weeks. The subject of team assignments are ‘solving conflicts in local governments’ and ‘solving problems of websites of local governments’which are non-structured problem-solving type of assignme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flow, in-degree centrality and satisfaction, the flow variable has the significant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r = .62, p < .01) but has the in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degree centrality. The in-degree centrality has the in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flow, out-degree centrality and satisfaction, the flow variable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ut-degree centrality(r = .28, p < .05) and the out-degree centrality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r = .30, p < .05).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flow, in-degree centrality and achievement, the flow variable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r = .26, p < .05) and in-degree centrality has the significant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r = .21, p < .01).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flow, out-degree centrality and achievement, flow variable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ut-degree centrality(r = .28, p < .05) and out-degree centrality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r = .36, p < .01). Second, findings from regression analysis on a mediating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satisfaction and flow and achievement by three steps of Baron & Kenny(1986) are as the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mediating effect of in-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satisfaction, on the first stage, flow variabl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satisfaction (β = .62, p < .05) but failed to predict significantly in-degree centrality (β = .12, p > .05) on the second stage. Accordingly, it revealed no mediating effect of in-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mediating effect of out-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satisfaction, on the first stage, flow variabl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satisfaction (β = .62, p < .05) and on the second stage, the flow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out-degree centrality (β = .28, p < .05) but out-degree centrality failed to predict significantly satisfaction (β = .13, p > .05) in control of flow. Accordingly, it revealed no mediating effect of out-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mediating effect of in-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achievement, on the first stage, flow variabl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achievement (β = .26, p < .05) but failed to predict significantly in-degree centrality (β = .12, p > .05) on the second stage. Accordingly, it revealed no mediating effect of in-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achievement. Fourth,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mediating effect of out-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achievement, on the first stage, flow variabl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achievement (β = .26, p < .05) and on the second stage, the flow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out-degree centrality (β = .28, p < .05), but out-degree centrality failed to predict significantly satisfaction (β = .20, p > .05) in control of flow. Accordingly, it revealed no mediating effect of out-degree central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achie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some implications. First, it is important that for enhancement of learners’ performances including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learning environment where learners are able to experience the optimal flow and interact with other learners actively should be designed in the WBCL using blog. For that, an instructor should help the learners to take sufficient education for not only understanding blog but also using it freely and an instructor. Second, the next research can focus on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s. Because blog-based WBCL is unfamiliar for learners who experience blog newly, the instructor’s proper management might be a critical factor in order that flow leads to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ird, it recommends that connecting blog activities to off-line meeting or mobile devices be researched. In this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was performed in not only blogs but also off-line meetings and mobile phones because the learners seemed not to be familiar to using blogs. If the instructor present some time of face-to-face meeting in the off-line class or encourage learners to use mobile phones in real-time, more precis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on learning performances could be measured. Fourth, a team leader’s role should be investigated in the WBCL using blog. In this study, a team leader emerged naturally in each team despite no intended selection. In addition, a team which has a more responsible and active leader resulted in high flow experienc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Consequently, the next study is recommend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team leader. Lastly,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ould be integrated to prove more evident causal relationship in the WBCL using blog. The reflection journal and group or one-to-one interview with learners may offer real factor which affect the performance they feel. Additionally, the measurement of flow experience was performed after team activities finished but the next research needs to diversify the measurement time and method.

      • 웹 기반 팀 토론 학습에서 인지스타일, 임파워먼트, 창의적 행동, 팀 내 상호작용, 과제성취도 간의 관계 규명

        김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구성주의 이론적 관점이 교수-학습 활동에 영향을 미치면서, 학습자가 학습의 전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주체자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는 교수-학습 활동에서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일방향적 의사소통이 아닌 쌍방향적 상호작용을 통해 더욱 다양한 정보와 지식, 경험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요즘은 웹기반 협력 학습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웹을 기반으로 팀 단위 토론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웹 기반 팀 토론 학습은 학생들이 인터넷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돕고, 다른 사람들과 정보를 교환하고 논의하는 가운데 학습자와 교수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며, 다른 학습자들의 관점과 사고방식도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Faust & Skvoretz, 2002). 그러므로 웹기반 팀 토론 학습은 학습하는 동안 학습자들이 동등한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반성적 사고의 능력을 개발할 수 있고, 지식의 재구성을 경험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이다(Liu & Hsiao, 2002). 웹 기반 토론을 통해 양질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팀을 구성하는 개별 학습자들이 활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하고(임규연, 허희옥, 김영수, 2009), 학습자에게 인지적인 도전감과 동기를 부여하며, 자발적 사고과정을 통해 문제해결을 유도할 수 있는 학습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임정훈, 1999a). 이는 학습자가 자신이 다루는 지식, 정보에서 그 의미를 구성하고, 자신 스스로에게 내적 타당성을 갖도록 만들어 주는 것을 뜻하는데, 기존의 웹을 기반으로 하는 토론 수업에서 학습자 특성 변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강오한, 류수영, 2002; 김태웅, 2009; 김태웅, 박인우, 2008; 박명숙, 2003; 박인우, 박은실, 2000; 백현수, 2005; 정재삼, 임규연, 2000)의 결과를 보면, 웹 기반 토론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 측면을 중요시 하고 있고, 학습자 특성에 기초한 교수 학습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웹 기반 팀 학습에서 목표 한 바를 성공으로 이끌고, 학습자들의 활발하고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유발하는 하나의 요소로 Spiro(1995)는 인지적 융통성 이론(Cognitive Flexibility Theory)을 통해 학습자들의 인지스타일, 즉 다양한 방법으로 급변하는 상황적 요구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이 지식을 구성하는데 필요하다고 하였다(강인애, 1996; Spiro, 1988). 또한 개인의 심리적 임파워먼트(empowerment)란 주어진 일을 할 수 있다는 믿음이나 판단, 자기 효능감(self-efficacy)을 부여하는 과정으로(Conger & Kanungo, 1988), 임파워먼트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율적, 적극적, 능동적으로 행동하고, 학습 활동에 몰입하며, 학습 자체에 만족을 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개인적 특성들은 웹 기반 팀 토론 학습 활동에서 적극적으로 팀의 활동에 임하도록 하기 때문에 팀 내 상호작용을 활발히 진행하는 것을 돕고, 이에 따라 학습자들은 좀 더 새롭고 독창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새롭고 독창적 결과는 팀 구성원의 창의적 행동 즉, 문제 해결 과정에서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창의적으로 작업하는 것으로(배고은, 1998), 특히 요즘과 같이 사회가 급변하고 다룰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많아진 때에는 과제 수행 시,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해 구성원 개인의 창의적 행동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김인수, 1990). 이처럼 웹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 활동에서 동료 학습자와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은 다양한 경험을 접할 수 있도록 돕고(Duffy & Cunningham, 1996; Jonassen, 1991), 사회적, 인지적, 메타 인지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미칠 뿐 아니라, 팀 내의 친밀도와 역동성을 높여줌으로써 팀 성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조일현, 2003). 팀 토론 학습 활동에서 팀 내 상호작용은 학습자들이 학습에 대한 흥미와 만족, 학습 과제 성취도 등 수업의 질적 향상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고(정인성, 임철일, 최성희, 임정훈, 2000; McLoughlin, 1999; Stevenson, Sander, & Naylor, 1996), 이러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전략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증대 되었다. 또한 토론 학습은 팀 단위의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팀 내에서 구성원들 간 상호작용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김용학, 2004).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웹 기반 팀 토론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인 인지 스타일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팀 내 상호작용(내향 연결중심성, 외향 연결중심성), 창의적 행동, 과제 성취도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임파워먼트가 인지스타일과 팀 내 상호작용, 창의적 행동, 과제 성취도간의 관계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웹기반 팀 토론 학습에서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협력학습 진행 및 창의적 행동과 팀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더불어 과제에 대한 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교수 설계 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oday, as he constructivism have affected teaching activities, learner is participate in class as an active main agent of learning activity. It can make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nd exchange more various information, knowledge and influences. Especially, as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is emphasized, there are many cases to progress online argument learning nowaday. The web-based team argument learning is known as a effective students to get various information using by internet, and to build collaborative knowledge through interaction among learners. Therefore, to get an effective performance through the web-based team argument learning, the learners should have active communication each others, teacher should make good learning environment which students can do problem-solving through voluntary thing process to get motivation, cognitive challenge. It means that it is needed students to get intrinsic validity for themselves and construct new meaning in the given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refer to the previous studies, in web-based argument learning, to build strategy based on the learner characteristic is important to attain the performance. As a learner characteristic which affects interac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learner's cognitive style and empowerment can be examples. The cognitive style is a kind of skill that can do flexible management at changeable demands, and empowerment is the process of giving a self-efficacy and truth to myself. It can be done positively and actively absorbed in their own work through helping each others and exchange useful ideas by learner, so they can satisfy their learning activities. Also, we can expect the output as well will be creative and useful.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within teams in the web-based team argument learning through the degree centrality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o verify that creative activity and achievement will be affected by the cognitive style and empowerment, To reflecting such the purpos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below. 1. Is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cognitive style, empowerment, creative activity, the interaction within team(degree centrality) and achievement in web-based team argument learning? 2. Does learners' cognitive style significant predict the empowerment, creative activity, the interaction within team(degree centrality) and achievement in web-based team argument learning? 2-1. Does learners' cognitive style significant predict the empowerment? 2-2. Does learners' cognitive style significant predict creative activity? 2-3. Does learners' cognitive style significant predict the interaction within team(degree centrality)? 2-4. Does learners' cognitive style significant predict the achievement? 3. Does learners' empowerment significant predict creative activity, the interaction within team(degree centrality) and achievement in web-based team argument learning? 3-1. Does learners'empowerment significant predict creative activity? 3-2. Does learners' empowerment significant predict the interaction within team(degree centrality)? 3-3. Does learners' empowerment significant predict the achievement? 4. Does learners' empowerment mediators effect among cognitive style, creative activity, the interaction within team(degree centrality) and achievement in web-based team argument learning?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are 36 students who took the 'Learning message design' course at an 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articipants who is classified 7 team randomly by teacher for a web-based team argument learning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0. Each teams for web-based team argument learning had four to seven members. Before starting the argument learning, cognitive style and empowerment test was conducted. Through interaction within teams, it was checked that in-degree centrality and out-degree centrality by coding of interaction on the number of messages written in the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After finishing the team argument learning, creative activity and achievement test was carried out.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ri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learners' cognitive styl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empowerment(r= .433) and creative activity(r= .355). However, it has nothing to do with empowerment and creative activity. And out-degree centrality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r= .524). Second, findings from regression analysis on learner’s cognitive style, empowerment, creative activity, the interaction within team (degree centrality), and achievement are as the following. Even if cognitive style was not found to be a variable significantly predicting achievement, but cognitive style was found to be a variabl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 empowerment(β=.433, <.01) and creative activity(β=.355, <.05). Also empowerment was not predict to creative activity. And it has nothing to do with interaction within team (degree centrality) and except for meaning of empowerment. it has meaningful effect between the only self-determination of empowerment and achievement. In th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among cognitive style and creative activity, the interaction within team(degree centrality), achievement in web-based team argument learning, it shows that empowerment play no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among cognitive style and creative activity, the interaction within team(degree centrality), achievement.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cognitive sty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powerment, creative activity as same as previous research results. even if learners' cognitive style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action within team(degree centrality) and achievement in web-based team argument learning. Therefore, when teacher desig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it is need to study about learners' characteristic variable to get more effective interaction within the team, and it is also needed to search some methods to get better achie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or further studies. First of all, based on the result of learners' cognitive style and empowerment can be found to be a variabl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 creative activity each, further studies about teacher's role or team leader's role are needed to derive learners' creative activity in the web-based team argument learning. Second, as this research was not same as previous studies, especially, in the relation between empowerment and creative activity,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y relations, so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for them. Also, the relation between extrinsic motivation such as feedback, punishment, compliment as well as empowerment that intrinsic motivation is enlarged and creative activity, achievement. Third, it was only considered that quantitative messages which written and answered between members and the directions through the quantification for the quantity of the interaction using the social networking analysis in this study. Therefore,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teraction within team should be performed. In terms of learners' characteristic, the contents itself and the way of express message can be different.

      • 소공인 지원서비스품질이 소공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정호 숭실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ortion of MME(Micro Manufacturing Enterprises) workers here accounts for 15 percent of the nation`s small-scale industrialists, 84.7 percent of the nation`s manufacturing industry and 31.5 percent of its workforce. Despite the high percentage of MME workers,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for them. In this study, government support policies such as funds, education, and consulting for small-scale enterprises were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mall-scale industrial growth (O Sang-young, 2009; Kim Soon-tae, 2012). So we tried to focus on the moderator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the impact of MMEs Support Service quality on the MME performance. Currently, there are about 10 studies on the MMEs, mostly in terms of their concept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Few empirical studies, however, have been conducted on how the quality of a MME Support Service is giving value to the firm and what factors affect performance. The survey targets conducted a data survey on representatives of MMEs who participated in the support projects conducted by the Mullae MME Support Center from 2012 to 2017, and the analysis method 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Moderator Effect analysis. In order to measure the quality of service quality of MME Support Service quality, the quality of six scales was measured using the B2B Quality of Service (IMP) Interaction Model and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purpose of the surve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of impact of the perceived Quality of MME Support Service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as a dependent variable with MME Value. The moderator variables are verified by entrepreneurship to ensure that the moderator effects are present in the quality of MME Support Service and perceived MME Value, and then the moderator effects are displayed in the business performanc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shows that only financial exchanges and cooperation are partly suppor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quality of the MME Support Service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MME Value. Perceived MME Values have a positive effect on MME Performance. The moderator effect results showed that entrepreneurship is a partly supported (risk-taking) on the effect that enha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MME Support Service and perceived MME Value. A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first is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the MME Support Service on the value. Second, it was first revealed that financial exchanges, social intercourse and cooperation ar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value by applying the quality of MME Support Service to the IMP interaction model of Service Quality Scale. Third, the mediator effect of the perceived MME Value in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MME Support Service on the MME Performance was verified. Fourth, the moderator effect of entrepreneurship was verified. In addition, a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policy of linkages should be strengthened to support financial exchanges, social intercourse and cooperation more systematically among the quality of MME Support Service. In addition, products/services exchange, information exchange and adaptation etc. that are not supported by hypothesis should be enhanced through long-term support system rather than rapid service, information service and short-term support system. Second,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MMEs by improving the perceived MME Value.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program for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and support projects for MMEs. Future research tasks require additional research in other industries to generalize measurement tools for the quality of MME Support Service. It is also to suggest that refine or integrated research is necess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ustered area and the industry. 국내의 소공인 비중은 전국 소상공인 중 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국 제조업의 84.7%, 종사자수로는 31.5%의 비중 전국사업체조사, 통계청 2016 을 차지하고 있다. 소공인의 비중이 이렇게 높은데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는 아주 미미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 사업지속성을 위해 자금, 교육, 컨설팅 등 정부지원정책도 소상공인 성장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연구되고(오상영 등 2009; 김순태 등 2012) 있기 때문에 소공인 지원서비스품질이 소공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현재 소공인과 관련된 연구는 10편 내외로 대부분 소공인의 개념과 지역특성, 그리고 개인특성 등의 관점에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소공인의 지원서비스품질이 기업에 어떤 가치를 주고 있는지와 지원서비스품질 중에서 어떤 요인이 성과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설문조사 대상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문래소공인지원센터(이하, 문래지원센터)에서 추진해 온 소공인의 지원사업에 참여했던 소공인 대표들을 대상으로 자료조사를 하였고,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SEM),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이용한 분석,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소공인 지원서비스품질의 서비스품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B2B 서비스품질 척도인 IMP 상호작용 모델을 이용하여 6가지 척도의 품질을 측정하여 독립변수로 활용하였다. 소공인 지원서비스품질이 지각된 소공인의 가치를 매개변수로 하고 소공인의 성과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절변수는 기업가정신으로 하여 소공인 지원서비스품질과 지각된 소공인의 가치에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소공인의 지원서비스품질은 지각된 소공인의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금융교류, 사회적 교류, 협력만이 부분지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소공인의 가치는 소공인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결과에서는 기업가정신은 소공인 지원서비스품질과 지각된 소공인의 가치와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조절효과가 부분지지(위험감수성)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소공인 지원서비스품질이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둘째, 소공인 지원서비스품질을 서비스품질 척도인 IMP 상호작용 모델을 적용하여 금융교류, 사회적 교류, 협력이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 요인이라는 것을 최초로 밝혔다. 셋째 소공인 지원서비스품질이 소공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지각된 소공인의 가치가 매개효과로 작용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넷째,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소공인 지원사업 중 금융교류, 사회적 교류, 협력을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연계 정책을 강화하여야 한다. 또한 가설 지지를 받지 못한 제품/서비스교류, 정보교류, 적응 등은 신속한 서비스와 정보 제공, 단기간의 지원체계보다는 장기적인 지원체계를 통하여 지원서비스품질을 높여 나가야 한다. 둘째, 기업의 지각된 소공인의 가치 향상을 통해 소공인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소공인에 대한 기업가정신 함양과 지원사업의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소공인 지원서비스품질에 대한 측정도구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산업 분야에서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집적지의 특성 및 업종에 따라서도 세분화 또는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인지된 정부지원이 기업역량과 의존성을 매개하여 기회주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안육봉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im of confirming how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for Korean SME(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ffects Opportunistic Behavior with Corporate Ability and Dependence as parameters, and further finding standards and strong relationships to properly set the direction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This is to explain the opportunistic behavior of SMEs to acquire more resources from outside, including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ould be to find the answer while raising the issue of whether it is increasing in proportion to its effectiveness.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study of Lee et al. (2011) to verify the effect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which was divided into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nd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rocedures’. Then we could analyze the difference in influence on Corporate Ability and Dependence,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for the impact of Corporate Ability and Dependence on Opportunistic Behavior. In the process, we tri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the necessity of procedural development for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and prerequisites for avoiding Opportunistic Behavior. As a result of analyzing 335 surveys of executives and employees of SMEs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Perceived Support Policy and Corporate Ability was reje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nd Dependence was also rejecte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rocedure had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Ability, Corporate Ability had a negative (-) effect on Opportunistic Behavior,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rocedures had a positive (+) effect on Dependence, and Dependence had a negative (-) effect on Opportunistic Behavior. As an implication, only the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rocedure was significant among the two components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There should be publicity and in-depth consideration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The ultimate purpose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for SMEs itself goes beyond the survival of the target company (corporate growth, corporate performance, going concern etc.). This is because it is the core of the effect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and is also the purpose of it.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this study verified the correlation of the impact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on corporate competency, dependence, and opportunistic behavior.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on opportunistic behavior by mediating corporate competency and dependence on SME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government support, and this is what sets it apart from other studie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and problems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were derived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existing literature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nd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rocedures. Secon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o analyze how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affects Corporate Ability and Opportunistic Behavior. Thir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o analyze how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affects Dependence and Opportunistic Behavio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nd Corporate Ability was rejec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rocedures and Corporate Ability was adopted, and Corporate Ability and Opportunistic Behavior were adopted as negativ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olicy and Dependence was rejec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rocedures and Dependence was adopted, and Dependence and Opportunistic Behavior were adopted as negative relationships. As a research method, 36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Google surveys, e-mails, and visiting interviews over about 50 days, and 335 copies were analyzed, excluding 26 unfaithful responses, through data classification. For hypothesis verification, LISREL (8.27), SPSS 21.0, Process Macro (2.11), and the like were used. As a three-step analysis, the influence analysis between percentage and frequency calculation, CFA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variables, and the constituent concepts was conducted. As an implication of this study,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fluence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rocedures compared to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was relatively high. It is judged that the fact that it is effective to increase access to core resources through concrete and systematic methodologies and the creation of a business environment rather than a vague direction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or declarative elements of a broad framework has been highlighted. Second, it is the derivation of a tendency for Opportunistic Behavior to decrease as Corporate Ability increase or Dependence decreases. Intuitively, this is analyzed as a different result than expected as people are likely to act opportunistically, such as finding better opportunities for themselves and demanding higher costs as their Abilities develop. In the absence of prior research from this perspective, the ability of a company is different from that of an individual, and it is considered a significant result in that when the ability of a company increases, it is reluctant to receive opportunistic support from the outsid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to devise a correlation model for each level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and Opportunistic Behavior will be meaningful. Third, as there are so-called zombie companies that eagerly depend on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the influence of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mediating Corporate Ability and Dependence to Opportunistic Behavior was analyzed. T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diating effects of Corporate Ability and Dependence was reveal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between the parameter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verified.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licies that can foster Entrepreneurship through additional research in the future. The following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companies surveyed are concentrated on SMEs accounting for about 77%. There may be limitations in representativeness of SMEs, which is the premise of this study. The equalization of the proportion of participation in the survey of all constituent companies, such as companies with disabilities, women's companies, and social economy companies, should be supplemented in future studies. Second, it is the limitation of measurement companies and measurement methods. It will be necessary to supplement interview methods such as FGI and time series studies in the future through self-writing and transverse research. Thir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latent in that related theoretical reviews are not abundant in the reality that prior studie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MEs' Corporate Ability, Dependence, and Opportunistic Behavior are insufficient. Fourth, it is possible that the Google survey and the e-mail survey were only 7.6% of the recovery rate, which was accompanied by the insincerity of the answer according to the free questioning environment.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diversify the collection process so that more serious and sincere results can be derived in the future in preparing the survey by making up the offline method to supplement the stricter writing environment than now.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지원이 기업역량과 의존성을 매개변수로 하여 기회주의적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또, 더 나아가 정부지원의 방향을 제대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과 유력한 관계들을 찾아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출발하였다. 정부지원을 포함하는 외부로부터의 보다 더 많은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중소기업의 기회주의적 행동을 설명하고자 함이다. 나아가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지원이 질적 양적으로 그 범위가 확대 정부 지원예산 2019년 10조 2,664억 원, 2020년 13조 4,895억 원, 2021년 16.8조 원으로 증가(출처: 중소벤처기업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성에 비례하여 ‘경영성과가 높아지고 있는가?’ ‘경영환경은 좋아지고 있는가?’에 대한 이슈를 제기하면서 그 답을 찾아보고자 하는 취지가 본 연구의 배경이 될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정부지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Lee et al.(2011)의 연구를 기반으로 정부지원을 인지된 정부지원정책(Perceived Support Policy)과 인지된 정부지원절차(Perceived Support process)로 구분하였고, 정부지원을 명확히 하여 기업역량과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하고, 기업역량과 의존성이 기회주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조방정식(SEM)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정부지원정책의 방향과 정부지원에 대한 절차적 개발의 필요성, 기회주의적 행동을 회피하는 선행요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소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335개의 설문을 분석한 결과 인지된 정부지원정책과 기업역량의 관계는 기각되었고, 인지된 정부지원정책과 의존성의 관계 또한 기각되었다. 인지된 정부지원절차는 기업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기업역량은 기회주의적 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정부지원절차는 의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의존성은 기회주의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 정부지원의 두 가지 구성요소 중에서 인지된 정부지원절차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인지된 정부지원정책에 대한 홍보와 심도 있는 고찰이 있어야 할 것이다.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지원의 궁극적인 목적 자체가 그 대상기업의 생존(기업성장, 기업성과, 계속기업 등)을 넘어 고유한 경쟁력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포함하는 재무적 비제무적 경쟁력을 갖춘 유기적 조직(Organism)화에 있고 또 그럼으로써 자생력을 확보하는 것이 정부지원 효과의 핵심이며, 정부지원의 목적이기 때문이다. 정부지원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는 차원에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된 정부지원이 기업역량, 의존성, 기회주의적 행동에 이르는 영향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인지된 정부지원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정부지원이 중소기업에 대한 기업역량과 의존성이 기회주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고, 이 부분이 기존연구들과 차별화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첫째, 인지된 정부지원정책과 인지된 정부지원절차의 기존 문헌들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비교하면서 정부지원 현황 및 정부지원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인지된 정부지원이 기업역량에 그리고 인지된 정부지원이 기회주의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셋째, 인지된 정부지원이 기업의 의존성에 그리고 인지된 정부지원이 기회주의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인지된 정부지원정책과 기업역량의 부의 관계는 기각, 인지된 정부지원절차와 기업역량의 정의 관계는 채택, 기업역량과 기회주의적 행동은 부의 관계로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지된 정부지원정책과 의존성의 부의 관계는 기각, 인지된 정부지원절차와 의존성의 정의 관계는 채택, 의존성과 기회주의적 행동은 정의 관계로 채택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약 50여 일간에 걸쳐 구글 설문, 이메일, 방문 면담 등으로 361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데이터 분류작업을 통해 불성실한 응답서 26부를 제외한 335부를 분석하였다. 가설 검증은 LISREL(8.27)과 SPSS 21.0, Process Macro(2.11) 등을 사용하였다. 3단계 분석으로 백분율과 빈도산출, 변수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을 위한 CFA, 구성개념 간의 영향력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인지된 정부지원정책 대비 인지된 정부지원절차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온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정부지원이라는 막연한 방향제시나 큰 틀의 선언적 요소보다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법론이나 경영환경조성으로 핵심 자원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이 부각 되었다고 판단된다. 둘째, 기업역량이 증가하거나 의존성이 낮아짐에 따라 기회주의적 행동이 낮아지는 경향의 도출이다. 이는 직관적으로 유추해 볼 때 사람들이 자신의 역량이 발전할수록 스스로, 더 나은 기회를 찾고 더 높은 대가를 요구하는 등 기회주의적으로 행동할 것으로 보여 예상과는 상이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업의 역량은 개인의 역량과는 다르며 기업역량이 높아지면 외부로부터 기회주의적으로 지원받는 것을, 꺼리게 된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결과라 판단된다. 향후 정부지원과 기회주의적 행동에 대한 각 수준 단계별 상관관계 모델을 구상하는 연구도 의미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정부지원에 목을 메는 일명 좀비기업이 존재함에 따라 인지된 정부지원이 기업역량과 의존성을 매개하여 기회주의적 행동에 이르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기업역량과 의존성의 매개효과 차이를 밝히며, 매개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는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기업가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정책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첫째, 설문 대상기업이 중소기업에 집중되어 약 77%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전제인 중소기업에 대한 대표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장애인기업 및 여성기업, 사회적경제기업 등 전 구성기업들의 설문 참여 비중 평준화는 향후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할 점이다. 둘째, 측정기업과 측정방법의 한계성이다. 자기기입 방식과 횡적 연구로 향후 FGI 등 면접방식 및 시계열 연구 등의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중소기업의 기업역량과 의존성, 기회주의적 행동 간의 관계 등의 선행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유관된 이론적 검토가 풍성하지 못한 점에서 연구의 한계성이 잠재한다. 넷째, 구글 설문과 이메일 방식의 설문으로 7.6%의 회수율에 그친 점에서 자유로운 질문환경에 따른 답변의 불성실함이 수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오프라인 방식의 보완으로 지금보다 엄격한 작성 환경을 보완함으로써 설문 작성에 있어 향후 보다 진지하고 진솔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수집 절차를 다양화 할 필요성이 있다.

      • 북한 핵정책의 지속성과 변화에 대한 연구(1991~2018) : 실존적 억지에서 최소억지로

        손문수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약소국이며 불량국가인 북한이 핵과 미사일이라는 수단을 바탕으로 미국에 대해 어떻게 억지와 강제라는 방법을 통해 균형, 또는 편승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는가를 설명함으로써 북한 핵정책의 본질을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탈냉전과 함께 출발한 북한의 핵정책이 2009년과 2018년을 분기점으로 그 이전(협상-확산)과 이후(확산-협상)는 다른 행태를 보인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러한 변화는 북한의 핵정책이 군사적 억지와 외교적 강제를 병행하여 추구하면서, 외부의 위협에 대응하는 북한의 생존전략으로서 국가이익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라고 본다. 이 연구는 북한의 핵정책이 확산과 협상이라는 이중적인 지속성을 가지며, 확산과 협상을 반복하는 변화의 속성이 있다고 가정하고 두 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첫째, (1991~2008년)‘북한은 실존적 억지를 기반으로 대미 강제를 시도했으나 편승에 실패했다.’ 그 결과 북한은 2009년부터 2017년까지 협상보다는 확산을 우선하며, 핵억지력의 확대·강화를 통해 최소 억지를 추구했다. 2017년 말 국가핵무력 완성 이후 북한은 ‘공개적 핵확산을 중단’하고 협상으로 전환하였다. 둘째 , ‘(2018년 이후)북한은 최소억지를 기반으로 새로운 대미 강제를 시도하며 협상을 통해 편승의 조건을 탐색한다.’ 북한 핵정책이 나타내는 가장 명확한 제 1의 지속성은 확산이며 제 2의 지속성은 협상이다. 확산의 맥락은 1990년대 초반의 수 kg의 플루토늄 생산으로부터 시작하여 우라늄 농축, 1~6차 핵실험, 대포동 1호로부터 화성 15형에 이르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하여 북한은 실존적 억지로 부터 최소 핵억지에 근접하는 핵억지의 수준을 달성했다. 협상의 맥락은 ‘한반도비핵화공동선언’으로부터 제네바합의, 9.19공동성명 및 2.29합의, 남북 정상회담(판문점 선언, 9월 평양공동선언)과 북미 공동성명에 이르는 흐름이다. 핵억지 수준의 비약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협상을 통한 북한의 대미 강제는 성공했다고 볼 수 없다. 2017년 이전의 모든 협상은 북한의 비핵화를 전제로 하였고 북한은 핵무기를 손에 든 채로 편승의 문턱을 넘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북한의 대미 강제의 궁극적인 목적은 핵보유를 인정받은 채 편승의 대문을 들어서는 것이다. 대미 강제의 반복적인 실패는 북한의 핵정책이 확산과 협상을 반복하는 변화를 보이는 원인이 된다. 북한은 일방적으로 확산만 추구한 것도 아니며, 반대로 협상만을 지속해 온 것도 아니다. 1991년부터 2018년 까지 북한 핵정책의 경로는 ‘확산’과 ‘협상’이라는 상반된 지속성을 반복하는 ‘변화’로 나타나게 된다. 이는 아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확산(1989년 이후, 플루토늄 추출 능력 확보)→북미 양자협상(1994년, 제네바합의)→합의 파기/확산(2002~2005: 우라늄 농축 시인, 플루토늄 추가확보)-협상(6자회담: 2005.9.19.공동성명)→BDA제재/확산(1차 핵실험, 대포동 2호 발사)→제재해제/협상(6자회담 재개: 2007.2.13및 103합의)→협상 교착/확산(2008.12월, 검증합의 거부 및 6자회담 이탈. 2009년 플루토늄 추가확보, 광명성 2호발사, 2차 핵실험. 2010년 우라늄 농축시설 공개)→북미 양자협상(2012.2.29.합의)→합의 파기/확산(2013~2017년 ‘경제-핵무력 병진노선’ 추구: 핵실험 4회, 인공위성 궤도진입 2회, 북극성 1·2호, 화성 12·14·15호 시험발사 성공, 2017.11.29. 국가핵무력 완성 선언)→협상(비핵화 의사표명 및 공개적 핵확산 중단. 판문점선언, 6.12 북미공동성명, 평양선언) 부시 1기 행정부 이래 핵문제에 대한 접근방법은 미국의 ‘CVID에 의한 선 비핵화’와 북한의 '단계별 동시행동 원칙에 의한 선 관계정상화’의 대립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의 차이는 과거 합의가 파기 되었던 것에 대한 불신, 북미가 이행 해야 할 조치의 성격(등가성, 비대칭성, 불가역성)차이에 기인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원칙인 CVID는 현실적으로 북한의 적극적 협조가 없으면 실현 불가능하다. 북한의 자발적인 ‘공개적 핵확산 중단’과 정상 간의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진행되는 ‘독특한 방식’의 핵협상은 전통적인 동결-신고-검증-폐기의 단계를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북한은 자발적인 ‘선의의 조치’로 미국의 ‘상응하는 조치’를 유도하는 ‘단계별 동시행동’ 원칙을 추구함으로써 완전한 비핵화가 아닌 제한된(부분적) 비핵화로 대미 강제의 궁극적 목적인 편승을 허용 받으려 할 것이다. 북한의 대안은 첫째, 완전한 비핵화에 의한 완전한 편승. 둘째, 제한적 비핵화에 의한 제한적 편승. 셋째, 확산으로의 복귀하여 대미강제를 지속하는 것 등 세 가지로 유추해 볼 수 있다. 김정은 위원장이 언급한 비핵화의 세 가지 전제조건을 완전히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점, 원칙이나 교리가 아니라 현실에서 CVID 구현하는데 따르는 제약은 미국의 기술적 접근방법이 북한의 정치적 접근방법에 수렴되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로 양자의 한 쪽이 협상을 이탈하지 않는다면 결국 제네바합의와 유사하게 미국의 ‘CVID에 의한 선 비핵화’와 북한의 ‘단계별 동시행동에 의한 선 관계개선’의 타협이 이루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CVID 개념에 의한 완전한 비핵화는 제한될 것이지만, 부분적 비핵화는 가능할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북한 핵정책의 본질과 그 한계를 파악하는 데 작은 기여를 했다는 점에 있다. 첫째, 북한 핵정책에 있어서 협상과 확산이라는 서로 상반된 두 가지 지속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대미강제의 실패와 핵확산의 반복의 과정을 통해 북한의 핵억지 수준이 실존적 억지로부터 최소핵억지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셋째, 협상과 확산이 반복되는 것은 더 강력한 핵억지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대미강제를 시도하려는 북한 핵정책의 본질적 속성에 기인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는 한 이러한 반복은 북한 핵정책의 내재된 속성이다. 넷째, 북한에게 새로운 대미 강제와 핵협상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발적인 핵확산 중단과 제한적 비핵화를 통해 핵능력을 보유한 채 편승의 문턱을 넘어서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함의가 주는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김정은 위원장과 북한이 의미하는 비핵화는 CVID와 다를 수 있다. 둘째, 완전한 비핵화의 전략적 결단이 있었다고 가정해도 CVID를 구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셋째, 확산과 협상의 반복은 북한 핵정책에 내재되어 있는 속성이므로 2018년의 협상으로의 전환은 김 위원장이 언급한 비핵화의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다시 확산으로 이행될 수 있다. 넷째, 기술적 접근과 정치적 접근의 타협에 따라서 완전한 비핵화가 지연되거나 부분적 비핵화에 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북한의 비핵화의 전략적 결정을 강화하고, 실행 의지를 높일 수 있는 관여는 더욱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하지만, 제재의 유지와 군사적 억지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국가들 간에는 서로의 의도를 절대 알 수 없기 때문에 대신 역량에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북한의 궁극적 의도가 ‘완전한 비핵화’라고 예단함으로써 정책에 위협을 맞출 것이 아니라 실재하는 북한의 핵 및 미사일위협이 정책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관여와 군사적 억지의 균형, 즉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비핵화의 전략적 결단과 실행을 촉진하고 확산으로의 복귀를 차단하는 것과 제재의 대오를 유지하면서 완전한 비핵화를 실현할 때까지 북한의 핵능력에 대한 억지를 달성하는 것은 외교와 군사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남을 것이다. 북한 핵정책의 지속성과 변화에 있어서 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중국의 부상과 미중관계의 변화, 북중관계의 밀착과 같은 국제체제 수준의 변수와 김정은 체제 내부의 정책결정 과정과 같은 북한 국내정치적 변수는 추가적인 연구과제로 남아있다. 주제어: 북한 핵정책, 억지와 강제, 실존적 억지, 최소억지, 균형과 편승, 비핵화, 지속성과 변화 Ph.D. Thesis A Study on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the North Korea's Nuclear Policy(1991~2018): From a Existential Deterrence to a Minimum Deterrence Son, Moon-su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 Diplomacy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Young Soo)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thesis are to explain how North Korea intended to show the balancing or bandwagoning by the methods of deterrence and compellence against United States of America based on nuclear capability and are to identify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nuclear policy. The research will focus on how North Korea’s nuclear policy begun from the post-cold war has different watershed between in 2009 and in 2018. And also this study will start to assume that North Korea pursued military deterrence and diplomatic compellence simultaneously and they took forms of balancing and bandwagoning as a North Korea’s survival strategy against external threats. In the process, this research is to verify two hypotheses on the basis of duality of North Korea’s policies, that is, proliferation and negotiation. First, North Korea’s compellence based on existential deterrence toward the United States failed from 1991 to 2008. As a result, North Korea was concerned with proliferation over negotiation and pursued minimum nuclear deterrence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nuclear deterrence from 2009 to 2017. After the completion of national nuclear force on November, 2017, North Korea suspended public nuclear proliferation and prepared a transition to negotiation agenda. The result of the second hypothesis from the study is that North Korea attempted new paradigm of compellence toward the United States on the basis of minimum nuclear deterrence and found the imposed condition through negotiations. The most obvious and the first continuity of North Korea’s nuclear policy is proliferation and the second one is negotiation. The examples of proliferation are like production of Plutonium in the early 1990s, uranium enrichment, 1-6 nuclear test explosions, Taepodong-1 missile and an ICBM(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n the process, North Korea reached the step closer to minimum deterrence starting from existential deterrence. A negotiation is in another contexts from Joint Declaration of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o Geneva Agreed Framework, the Sept. 19 Joint Statement, Feb. 29 agreements, the inter-Korean summit talks(Panmunjom Declaration and a joint statement in Pyongyang) and the US-North Korea’s Joint Statement. North Korea’s compellence toward the United States through negotiations is hardly considered successes despite the fast development of nuclear capabilities. All of the negotiations prior to 2017 presupposed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Therefore it is impossible for North Korea with nuclear weapons to jump on the threshold of the bandwagoning The North Korea’s ultimate goal is to attain the bandwagoning with authorized nuclear capability. The repeated failures of compellence toward the United States causes North Korea’s nuclear policies, that is, proliferation and negotiation, to be changed. North Korea neither pursued the unilateral proliferation nor continued talks to negotiation. From 1991 to 2018 North Korea’s nuclear policy path repeated two tracks of proliferation and negotiation. They can be summarized like this. Proliferation(Gaining Plutonium reprocessing capability)→Negotiation(US-North Korea direct negotiations: Geneva Agreed Framework)→Withdrawal Agreement/ Proliferation(Doing a uranium enrichment experiment, Gaining additional plutonium, 1st nuclear test and Taepodong-2 missile)→Negotiation(Sep. 19 Joint Declaration and follow-on memorandum of agreement)→Stalled Negotiations/ Proliferation(a uranium enrichment, Gaining additional plutonium and 2nd nuclear test)→Negotiation(US-North Korea direct negotiations: Feb. 29 agreement)→Stalled Negotiations/ Proliferation(four nuclear tests, successful ICBM, Complete declaration of national nuclear weapons)→Negotiation(Suspending public nuclear proliferation, Summit talks)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have different approaches related to North Korea’s nuclear issue. In other words, Their approaches can be summarized as denuclearization principle in advance by CVID and the leaders’ relations of two countries in advance according to the principle for concurrent action. As you see, CVID is hard to accomplish without active cooperation of North Korea. The voluntary give-up of nuclear proliferation of North Korea and unique nuclear negotiation based on communications between the leaders of two countries have their limits when they apply the traditional steps of freezing, declaration, verification and dismantlement. North Korea want to be allowed to get on the bandwagoning by not complete denuclearization but partial denuclearization as North Korea with good intentions pursued the principle for concurrent action by stages of the United states. We can not entirely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American technical approach will converge in North Korea’s political approach.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that this study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of essences and limitations of North Korea’s nuclear policy. Firstly, two clear durability of negotiation and proliferation were revealed. Secondly, The level of nuclear deterrence of North Korea was extended and reinforced closer to minimum nuclear deterrence from existential deterrence. Finally, the repetition of negotiation and proliferation results from the essential attribute of North Korea’s nuclear policy which tries new paradigm of compellence toward the United States based on more intensive power of nuclear deterrence. The final aim that North Korea has new paradigm of compellence toward the United States and nuclear negotiation is to jump on the bandwagoning through voluntary give-up of nuclear proliferation and limited denuclearization.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nuclearization that Kim Jung-un, supreme leader of North Korea says can be different from CVID. The engagement which can elevate the will of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must be combined with military deterrence. Nations are never able to know one another and therefore they can not help focusing on their capabilities. So Korean government will not be able to fore-judge North Korea’s ultimate goal. And the policy should be based on the existing threats. Second, the proliferation and negotiation are the underlying essential attributes of nuclear policy of North Korea before North Korea’s complete give-up of nuclear weapons. Therefore, the change to the way of negotiation in 2018 can be in transition to proliferation if three preconditions Kim Jung-un, supreme leader of North Korea mentioned have not been met. The most important task of diplomacy and military affairs is to accomplish the deterrence until the denuclearization will be final as South Korean government prevents the shift to proliferation and maintains the sanction by offering inducement. There is still a lot to conduct additional research in a variable of international system such as the rise of China, which affect strategic decision of North Korea’s nuclear policy, and the change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US-China and North Korea-China. Also as a domestic political variable of inside North Korea, the process of policy making process by Kim Jung-un. Key words: North Korea’s nuclear policy, deterrence and compellence, existential deterrence, minimum nuclear deterrence, balancing and bandwagoning, proliferation and negotiation, CVID, denuclearization, continuity and change Student number: 21550029

      • 송강가사의 학습 방안연구 : <관동별곡>을 중심으로

        임순강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기존 문학교육에서 고전시가는 작품들이 지닌 객관적 사실(창작 상황, 작가의 전기와 역사적 배경 등)에 얽매여 단선적 전형으로 이해되어 왔다. 즉 사대부의 강호가사나 연군가사의 주제를 유학자의 강호한정이나 군주에 대한 충성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유학자의 훈민적 목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그것이다. 따라서 다른 현대문학 작품처럼 작품 자체에 대한 즐거운 감상이 이루어지기가 어려우며, 따분하고 암기 위주의 수업으로 끝날 우려가 있다. 요즈음의 고전문학 교육은 지식구조의 학문중심교육에서 학습자의 창의성을 존중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옮겨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학습자를 위한 다양한 교육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송강 정철의 작품을 통해 고전의 가치를 이해하고 습득하여 인생을 이해하고, 인격을 도야하며, 미의식을 함양하는 고차원적 인간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송강 정철의 가사 작품-「관동별곡」, 「성산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을 토대로 송강가사의 한자어휘와 고사성어를 이해하고 주제와 미학을 파악하여 다양한 수행평가 지도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를 위해 제 Ⅱ장에서는 송강 정철의 가사 작품을 개관하고, 수행평가에의 적용을 위해 가사 작품에 제시된 한자 어휘와 고사성어를 그 특성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그 시대적 배경과 상황을 통해 가사작품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고전작품 이해를 용이하게 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송강가사에 나타난 유교사상을 중심으로 연군애민사상을 살펴보고 그 외에도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도교 사상과 자연미학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조선 중기 사대부들의 사상 체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수행평가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고등학교 학습지도에 적용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상)에 제시된「관동별곡」을 기초로 실제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앞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앞으로도 고전문학의 이해를 위한 다양한 수업이 계속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본고가 그를 위한 작은 발판의 역할을 하길 바란다. In existing education of literature, it has been considered for classical poetry to be the simple pattern restricted within objective facts such as situation of creation, author's historical records, and so on. In other words, that means to understand the title in Yeongun Gasa(戀君歌辭) or Gangho Gasa(江湖歌辭) of the gentry as the aspect of adoration in nature or faith toward a monarch and interpret it with the object of encouraging people. Therefore, it is hard to have joyful appreciation in the work itself like the other modern literary works, and also easy to end up with memorization centered classes. Recent educ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s transferred to education of learner centered which respects creativity from that of knowledge centered. So that we need to have various learner centered education plan. This report is to contribute to establish a high dimensional human being cultivating an aesthetic sense, training humanity, and understanding the life as well. I would like to suggest lesson plan of achievement evaluation for understanding chinese words and ancient phrases in Songang Gasa based on Jungchul's(鄭澈) works : 'Guandongbyulgok'(關東別曲), 'Sungsanbyulgok'(星山別曲), 'Samiingok'(思美人曲), 'Sokmiingok'(續美人曲). In chapter Ⅱ, it is conducted with Songang Jungchul's Gasa, and classified chinese words and ancient phrases by each specificity. Likewise, it is described and analyzed as to the background and situation of that period , so that we can easily comprehend works of Gasa. In chapter Ⅲ, focused on confucian ideas, I would like to examine idea of Yeongunaemin, taoism, and an aesthetic of nature. Through this, we would understand ideology of the gentry. In chapter Ⅳ, I would like to suggest an application in highschool lesson plan and achievement evaluation. At last, there comes practical lesson plan for 'Guandongbyulgok' presented in Korean text book of highschool. In Chapter Ⅴ, summarization and arrangement of contents are suggested. I would like to expect that this study could be the fundamental step for diverse classes of understanding classical literature.

      • 일본 대북정책에 기초한 북핵문제 접근방안

        김강우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2018, the Korea Peninsula faced big changes. The presidents of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hina, and Russia met the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However, Japan only has not met Kim Jong-un and has kept its rigid stance toward North Korea.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use the policy of the Japanese policy for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nd to suggest what parts of the policy of Japan that South Korea could utilize. Three key factors of the Japanese policy toward North Korea were found in this study: 1)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2) abduction of Japanese citizens, 3) and the nuclear missiles of North Korea.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how these three factors affected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and abduction issues was difficult for South Korea to deal with. Since these were just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South Korea could only share national security information with Japan. First, South Korea and Japan had a common perspective on SRBM and IRBM of North Korea. South Korea would utilize the Japanese rigid policy, for promoting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Second, the 2020 Tokyo Olympic game will be held. Since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 had lots of lessons, South Korea will be able to communicate with Japan and North Korea throughout the 2020 Tokyo Olympic game. Last but not least, since military deterrence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ways of the denuclearization process, South Korea would raise the issue of the cooperation of the military. Thus, military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would be needed until North Korea declares denuclearization. When it comes to negotiating denuclearization, although Japan cannot b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key factor, the effect of Japan on the denuclearization should not be overlooked. Hence, South Korea should strategically handle Japan. 2018년 한반도 변화의 정세 속에서 일본을 제외한 한반도 주변국들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만나며 평화와 번영의 분위기에 발맞췄다. 그러나 일본은 지속해서 강경한 대북정책을 고수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의 대북정책을 북핵 문제 해결 과정에서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대해 연구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전제로 한국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일본의 대북정책 중 어느 부분을 활용해야 하는지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본의 대북정책을 1)국교 정상화 2)납치자 문제 3)북한의 핵과 미사일 측면 등 세 가지 이슈로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각 이슈가 북핵 문제 해결에 줄 수 있는 영향력을 분석했다. 국교 정상화 문제와 납치자 문제는 양국의 이해관계가 얽혀있어 한국 입장에서 쉽게 접근할 수 없다. 하지만 안보적 측면에서는 한국과 일본이 판단하는 북한의 핵이 주는 안보적 위협평가는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함께 공동으로 나아갈 부분이 많다. 먼저 북한의 핵 위협 제거 시 중,단거리 미사일 제거에 공감대를 공유하고 있으며, 나아가 북핵 문제 해결 과정에서 일본의 강경한 태도는 북한 비핵화의 확실한 검증을 확인할 수 있는 최후의 보루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2020 도쿄 올림픽을 활용하는 것이다. 지난 평창올림픽을 교훈 삼아 올림픽이라는 체육 행사를 통해 남, 북, 일이 서로 대화하는 창구로 활용할 수 있다. 끝으로 군사적 협력 강화이다. 북한 비핵화 과정에서도 일본 대북정책을 활용한 안보협력은 군사적 억제력을 형성하고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비핵화의 대화 및 검증을 위한 바탕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볼 때 북핵 문제 해결 과정에서 일본의 역할을 간과할 수 없으며, 한국은 전략적으로 일본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 가족기업 후계자의 기업가정신과 역량이 지속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업승계 전 기업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용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가족기업 후계자의 기업가정신과 역량이 지속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업승계 전 기업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용기 벤처중소기업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고, 가치 창출, 일자리 제공, 국민경제 및 사회의 안정화 등에 크게 기여하고있는 가족기업의 가업승계 전의 가족기업 후계자를 대상으로 후계자의 기업가정신과 후계자역량요인이 성과를 통해 기업의 지속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가업승계 후 후계자에게 동기부여 등을 위한 기업경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가족기업에 대한 정의 및 범위 기준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평균적으로 세계 전체 기업 수의 65%∼80%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특히, 현 가족기업의 경영자의 평균 연령은 60세를 넘어서는 시점이고, 이후 후계자에게 이루어지는 가업승계 전의 현 가족기업 후계자의 기업가정신과 역량요인이 기업성과를 통해 지속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사회의 이슈로 떠오르고 매우 중요한 과제로 본 연구를 통해 가족기업에 대해 선행연구와 이론적 개념 확립 및 문헌적 연구 등을 살펴보았고, 가족기업 후계자 핵심역량요인으로 기업가정신과 후계자역량요인에 대해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과 개념의 연구를 근본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이러한 연구의 관점에서 문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족기업 후계자의 기업가정신이 기업성과와 지속경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다음은, 가족기업 후계자의 역량요인은 기업성과와 지속경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후계자의 기업가정신과 역량요인이 지속경영과의 관계에서 기업성과를 매개 하는가? 기업가정신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기업가정신 지향성을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으로 하였고, 가족기업의 가업승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후계자역량요인을 후계자의 의지와 능력, 후계자와 현 경영자와의 관계를 핵심요인으로 보았다. 기업성과요인이 매개 특성을 갖고 지속경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 요인들을 TBL(Triple Bottom Line)로 지속경영을 측정하였다. 즉, 가족기업 경영환경의 경제적·사회적으로 지속경영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선행연구와 개념을 논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가업승계를 위한 가족기업 후계자들이며, 실증분석을 통해 기업가정신과 후계자 역량요인이 기업성과와 지속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가업승계 후에도 가족기업의 지속적 성장으로 육성시키는데 실무적·이론적인 관점에서 기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증분석 방법으로는 SPSS와 AMOS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 하였으며, 그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이 지속경영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후계자 역량요인도 지속경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정신은 재무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후계자역량요인은 재무적성과에 기각이 되었고, 비재무적성과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무적성과는 지속경영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비재무적성과는 지속경영에 기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가족기업 후계자의 기업가정신과 역량요인이 지속경영에 대해 유의한 영향과 기업성과의 재무적·비재무적성과에 대해 부트스트래핑 분석방법으로 검증하였으며, 매개효과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이 지속경영에 정(+)의 영향을 미칠 때, 재무적성과는 직접·간접경로와 총 경로 모두 영향을 미치므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후계자역량요인이 지속경영에 정(+)의 영향을 미칠 때, 재무적성과는 직접·간접경로와 총경로 모두 영향을 미치므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이 지속경영에 정(+)의 영향을 미칠 때, 비재무적성과 는 직접·간접경로와 총경로 모두 영향을 미치므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후계자역량요인이 지속경영에 정(+)의 영향을 미칠 때, 비재무적성과는 직접·간접경로와 총경로 모두 영향을 미치므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족기업 후계자를 중심으로 기업가정신과 역량요인에 관한 문헌에 기여한다. 또한, 이 연구는 가족기업 관리에 있어서 경영자와 이해 관계자, 그리고 잠재적인 위험요인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가족기업의 비즈니스 세계에 관련하여 가업승계를 진행하면서 어려움이 있을 때, 가업승계가 해답이 될 수 있는지 여부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그동안 가족기업의 가업승계에 관한 다수의 논의가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모형에 따른 가설검증 결과는 학문적 의미와 가족기업 후계자의 기업가정신과 역량요인은 4차 산업혁명의 시대와 급변하는 기업환경의 지속경영이라는 큰 틀에서 실무적 시사점의 의미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키워드 : 가족기업, 기업가정신, 후계자 역량요인, 기업성과, 지속경영 A Study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and Capabilities of Family Successor on Sustainable Management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orporate Performance Before Succession- Kim, Yong-Ki Department of Venture and Entrepreneurship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ccessor factors of the successor of the family business successor family business before the succession of the family business, which has a high share in the national economy and contributes to the creation of value, research on the effects of corporate performance on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 is a thesis that contributes to corporate management to motivate successors after succession. It is estimated that between 65 to 80 percent of all the firms in the world are family-owned business. These companies certainly have a huge impact on the world’s economy by creating values, jobs, and new opportunities. As many family-managed corporates are going through handover process these days, the world is watching how the successors run the business and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as they used to.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ntrepreneurship and capability factors of the successors of family businesses affect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finally continue the sustainable management. This study reviews previous research and constructs and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How does the entrepreneurship of family business successor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and sustainable management? How do the capability factors of family successor influence corporate performance and sustainable management? Does successor's entrepreneurship and capability factors mediate corporate performance in relation to sustainable management? Based on previous research,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is operationalized as proactiveness, innovativeness, and risk taking, and successors’ capability factors are operationalized as the successors desire, ability,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predecessors. Sustainability management is measured by the triple bottom line that consists of people, planet, and profit using performance factor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capability factors, entrepreneurship constructs, business performance, and sustainable management using SPSS and AMOS, and tests the mediating effect with bootstrapping as widely recommended.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entrepreneurship and successor capability factor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sustainability management; second, entrepreneur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financial performance; third, successor capability factors are insignificantly related to financial performance and positively related to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lastly, financial perform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sustainable management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sustainable management. Mediating effect tests with bootstrapping show that entrepreneurship and successor capability factors have positive impacts on sustainable management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of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f entrepreneurship and manager capability factors with special focus on family business successors. Also,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managers and stakeholders of family-controlled enterprises, and for those who have difficulty determing whether family business succession can be an answer in spite of many potential risks and what to innovate for business development and continuity in this fast-paced business wor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owever,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based on this research model suggest that the implications of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expected to be significant in the contex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rapidly changing corporate environment. Keywords: family business, entrepreneurship, successor capability factor, corporate performance, sustainable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