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텐트 삽입술 후 관상동맥질환자를 위한 병원-가정 연계 자가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정정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15

        우리나라의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2012년 인구 10만 명당 43.2명으로 암 또는 뇌혈관질환 사망률 다음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관상동맥질환자에서 재협착은 시술받은 환자의 약 30-50%에서 발생되고 있고, 첫 시술 후 6개월 이내에 심장질환 재발이 일어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Odell, Grip, & Hallberg, 2006). 사망률 뿐 아니라 재발율과 재협착율이 높은 허혈성 심장질환의 재발방지를 위하여 심장재활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수적이며, 이는 관상동맥질환자의 회복을 도와주고 위험요인을 교정함으로써 재협착 또는 심장마비의 위험을 낮출 뿐 아니라 사망률을 20-25%로 감소시킨다고 보고하고 있다(Oldridge, Guyatt, Fischer, & Rimm, 1988; O’Connor et al., 1989; Taylor et al., 2004). 미국과 유렵의 심장재활 표준지침은 American Heart Association(AHA), American Association of Cardiovascular and Pulmonary Rehabilitation (AACVPR), European Association for Cardiovascular Prevention & Rehabilitation(EACPR)에 의하면 3-4단계로 구성되며, 다학제간 전문가에 의한 위험요인 수정 및 생활습관 변화에 대한 교육과 상담, 운동에 대한 중재를 적어도 8주 이상 실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Balady et al., 2007; Perk et al., 2012; National Health Study, 1998). 우리나라에서는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건강교육, 영양상담, 운동처방이 통합된 형태로 주로 대형병원에서 제공하며 일부 환자에게만 접근이 가능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적절하게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만성질환으로 생활습관 변화를 위한 자가 간호가 필수적인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병원-가정 연계의 통합적인 자가 관리 중재 프로그램이 거의 없으며 기관마다 시행되는 프로그램 내용이 달라 시술 후 심장재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진영수, 2005; 손연정, 2008; 송영숙, 2009; 조원정, 최모나, 김소선과 조은희, 2010). 따라서 스텐트 삽입술 후 병원에서 제공되는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기초로 지역사회에서나 가정에서 대상자가 쉽게 이행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통합적 자가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홍경표와 성지동, 2006). 이에 본 연구의 설계는 국내외 심장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문헌검색 및 고찰을 하고 표준지침에 근거하여 관상동맥질환으로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에게 간호사의 주도로 건강상태 평가, 교육, 운동, 개별 상담 및 목표 설정, 퇴원 후 전화 상담, 건강 상담 등이 포함된 다학제간 구조화된 병원-가정 연계 자가 관리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와 그의 효과를 평가하는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심장내과에서 관상동맥 질환을 진단받고 중환자실에 입실하여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환자를 유한모집단으로 하여 대상자 선정기준에 맞는 환자에게 병원-가정 연계 자가 관리 심장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후 참석하기로 동의한 대상자 20명을 실험군으로 하고 참석하지 않기로 한 대상자 2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군에게는 간호사, 영양사, 운동 치료사에 의해 현재 서울시내 일개 심장혈관병원에서 제공되고 있는 건강상태 평가, 교육, 운동으로 구성된 1단계 병원기반 프로그램에 간호사 주도로 개별 상담 및 목표 설정, 전화 상담, 외래 방문 시 건강 상담으로 이루어진 2-3단계 병원-가정 연계 자가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일반적인 퇴원교육을 제공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5년 7월 13일부터 12월 23일까지 약 5개월이 소요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진단명, 동반질환, 협착 혈관 수 및 부위, 혈압,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LDL, LVEF, Blood sugar, BMI, 가족력, 혈당 등은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작성되었으며 일반적 특성, 불안 및 우울, 신체기능 상태, 건강행위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개별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0.0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정은 X²-test와 t-test를 이용하였으며, 병원-가정 연계 자가 관리 프로그램 적용시기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불안 및 우울, 신체기능 상태, 건강행위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 양상은 Repeated measures ANOVA를 이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두 군 간의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환경적 특성, 종속 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불안이 감소하는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 1은 기각되었다(F=2.721, p=.072).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우울이 감소하는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2는 지지되었다(F=5.873, p=.004). 가설 3.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신체기능 상태가 향상 되는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 3은 기각되었다(F=.052, p=.949). 가설 4.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건강행위 이행이 증가 되는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4은 지지되었다(F=30.570, p<.001). 가설 5.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이 향상되는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5는 지지되었다(F=4.809, p=.011). 따라서 스텐트 삽입술 후 관상동맥질환자를 위하여 간호사 주도의 다학제간 병원기반에서 제공된 병원-가정 연계 자가 관리 프로그램이 퇴원 후 가정에서도 자가 관리를 통해 건강행위를 이행하게 함으로써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자수가 적다는 것과 무작위 추출이 아닌 임의표출방법으로 시행되어 연구의 일반화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스텐트 삽입술 후 관상동맥질환자들에게 약 3개월간의 병원-가정 연계 자가 관리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우울, 건강행위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임상에서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환자 스스로 건강행위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자가 관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Patients with established coronary artery disease(CAD) are at high risk of recurrent coronary events, mortality and morbidity globally(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PCI) with intracoronary stent placement has emerg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the management of CAD. Despite the effectiveness of PCI, however, the presence of the underlying risk factors remains a significant problem. Cardiac rehabilitation is a tremendously important component of the care of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AMI) after coronary revascularization. But to rectify barriers attributed to the underuse of cardiac rehabilitation,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HA) recommends home-based and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as alternative models to traditional interventions in clinic-based and hospital-based settings(Balady et al., 201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tegrated hospital-to-home self-management program for CAD patients who have undergone stent placement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in order to improve physical function capacity, health behavior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lessen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This rehabilitation program was devised by integrating existing hospital-based multidisciplinary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s plus home-based one personalized, nurse-coordinated, self-management strategies and set-up goals to alter behaviors and dispel inappropriate health beliefs according to case records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s for stent patients. The study selected the experimental group from consenting patients experiencing intracoronary stent placement for ischemic heart disease, who received the newly developed integrated self-management program consisting of individualized cardiac rehabilitation training with booklets and presentation slides developed by professionals, and exercise training using a treadmill and a bike, telephone counseling, individualized face-to-face counseling for 140-160 minutes.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hospital-to-home self-management program was measured using self-reported assessment tools such as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HADS),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MSPSS), physical functional capacity, health behaviors, and HRQoL.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se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40, consisting of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the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evaluations were conducted to measure main variabl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to December 2015 and analyzed using numbers, percentages, mean, t-test, X²-test,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SPSS 20.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on anxiety(F=2.721, p=.072);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on depression(F=5.873, p=.004);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on physical function capacity(F=.052, p=.949);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on health behaviors(F=30.570, p<.001); and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F=4.809, p=.01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health behavior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reduction in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measur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measur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level of anxiety and physical functional capacity. In conclusion, patient-centered, integrated hospital-to-home self-management program can be utilized effectively in the field of nursing for ischemic heart disease patients after stenting.

      •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건강증진 행위, 건강상태

        박애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증진 행위, 건강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직무 스트레스를 경감하고 건강증진 행위를 촉진하며 건강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서울시 소재 일 대학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 180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1일부터 4월 15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자가보고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중 불성실한 응답 11부를 제외한 169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직무 스트레스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였고 건강증진 행위는 HPLP-II, 건강상태는 SF-36 v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해당 병원에서 2010년 시행된 정기직원검진과 신규직원검진 결과를 객관적 건강상태 지표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280점 만점에서 152.78(±26.25)점, 평균평점 2.73(±0.45)/5점이었다. 하위척도의 평균은 직무환경이 2.85(±0.54)점으로 가장 높았고 병동 및 행정관리, 대인관계, 간호직무의 순으로 높았다. 직무스트 레스는 초과근무 시간(F= 6.76, p= .002), 직무만족(t= 2.85, p= .005), 피로(F= 2.25, p= .02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건강증진 행위는 208점 만점에서 107.31(±17.75)점, 2.06(±0.33)/4점 이었다. 건강증진 행위 하위척도의 평균은 대인관계가 2.53(±0.43)점으로 가장 높았고 영적 성장, 건강책임, 스트레스 관리, 영양, 신체활동의 순으로 높았다. 건강증진 행위는 종교(t= -2.15, p= .03), 직무만족(t= -4.30, p< .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신체건강상태는 46.89(±7.33점), 정신건강상태는 36.63(±7.59) 점이었다. 8개의 하위척도 중 신체기능이 49.03(±7.76)점으로 가장 높았고 신체역할제한, 정서역할제한, 신체통증, 활력, 전반적 건강, 정신건강, 사회적 기능의 순으로 높았다. 신체건강상태는 연령(t= 2.65, p= .01), 종교(t= -2.24, p= .027), 치료질병 유무(t= 2.82, p= .007),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t= 2.43, p= .016), 초과근무 시간(F= 4.84, p=. 009), 직무만족(t= -2.01, p= .046), 피로(F= 16.18, p< .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신건강상태는 근무부서(t= -2.02, p= .045), 초과근무 시간(F= 3.52, p= .032), 그리고 직무만족(t= -3.76, p< .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직무 스트레스, 건강증진 행위, 건강상태 그리고 각 변수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직무만족을 포함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건강증진 행위와(r= -0.173, p= .024), 신체건강상태(r= -.286, p< .001), 정신건강상태 (r= -.249,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 때 건강증진 행위가 저조하고 건강상태가 불량하였다. 건강증진 행위는 정신건강상태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 .423, p< .001) 신체건강상태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어, 건강증진 행위가 높을 때 양호한 정신건강 상태를 보였다. 직무만족은 직무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 -.369, p< .001) 건강증진 행위(r= .359, p< .001), 신체건강상태(r= .161, p= .036), 정신건강상태(r= .501, p< .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직무만족이 높을 때 직무 스트레스가 낮고 건강증진 행위가 높고 건강상태가 양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경감하고 건강증진 행위를 촉진하며 건강상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피로를 적절하게 관리하고 초과근무시간을 줄이며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 욕창예방을 위한 의사결정 흐름도 개발

        박성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체계적인 욕창예방 간호의 지침을 마련할 목적으로 의사결정 흐름도를 개발하고자 시도된 방법론적 연구이다. 문헌 고찰을 통해 욕창발생 위험 요인을 도출하였고 의사결정 흐름도를 개발하고자하는 위험 요인을 선정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이용한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각 항목은 CVI(Index of content validity)를 산출하여 83% 이상의 합의가 이루어진 항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위험요인에 대한 예방적 간호의 세부 내용은 문헌고찰과 AHCPR의 ‘욕창예방 지침’, RCN의 ‘욕창 위험 요인 사정 및 예방 지침’을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자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구성하였으며, 작성된 세부 내용을 의사결정 틀에 맞추어 도식화하였다. 개발된 예비 의사결정 흐름도에 대한 내용 타당도는 전문가 집단을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전문가 타당도 검증 후 예비 흐름도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사용자 타당도는 임상 경력 2년 이상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전문가 타당도와 사용자 타당도를 거쳐서 수정, 보완된 흐름도를 욕창예방을 위한 최종 의사결정 흐름도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욕창발생 위험 요인 중 유의하다고 선정된 항목은 기동성 장애, 마찰력/응전력, 의식 상태 저하, 영양 상태 불량, 감각 장애, 습기(실금/실변),활동성 장애, 말초 순환 장애, 간호제공자의 욕창과 관련된 전반적 인식 부족, 고연령으로 10개이다. 2) 의사결정 흐름도 개발을 위한 일차적 모형은 압력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들에 대한 중재 방안을 먼저 수립하고 다음 단계에서 조직의 내구성을 저해하는 위험 요인을 사정한 후 각각의 위험 요인에 대한 흐름도를 개발하는 형식으로 구축하였다. 3) 의식 상태 저하, 감각 장애, 기동성 장애 및 활동성 장애는 ‘압력’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적 요소로써 압력의 강도와 기간을 감소시키는 간호중재 방안을 마련하였고 조직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인 마찰력/응전력, 실금/실변, 말초 순환 장애, 영양 부족에 대해서는 각각에 대한 중재 방안을 흐름도로 개발하였다. ‘간호제공자의 인식 부족’과 ‘고연령’의 항목은 흐름도 개발에서 제외하였다. 4) 전문가 집단을 이용한 타당도 검증결과 흐름도의 구성, 용어, 내용에 있어서 합의도가 낮은 흐름도는 각각에 대한 전문가의 조언을 토대로 문헌고찰을 반복하여 내용 및 흐름 과정의 일부를 수정하였다. 5) 임상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사용자 타당도에서 의사결정 흐름도의 유용성으로는 일괄적이고 통일된 간호제공을 가능하게 하며, 흐름도를 통하여 욕창 유발 가능 요인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또한, 흐름도의 사용이 예방적 욕창간호에 도움이 되며 안내 책자가 유용하다는 의견에는 대체적인 동의를 보였으나 사용의 편리성과 용어에 대한 이해의 용이함에는 70% 이하의 낮은 동의를 보였다. 그 원인을 분석한 결과 임상에서 흔히 접하지 않았던 용어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웠고 흐름도의 디자인이 단조로와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다는 의견에 따라 흐름도를 재구성하였고 추후 예방적 욕창 간호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의 수립이 요구된다. 6) 흐름도의 사용은 문제 해결이 용이할 뿐 아니라 지식습득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개발된 의사결정 흐름도는 지속적인 교육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의사결정 흐름도는 구체적인 간호중재 방법의 제시로 예방적 욕창 간호에 있어서 일괄적이고 통일된 간호제공을 가능하게 하며 새로운 간호중재 방법을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ecision-making tree to produce a comprehensive pressure ulcer prevention program. The risk factors for pressure ulcers were drawn from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 expert team examined them in order to select the factors to be used in developing a decision-making tree. The final factors chosen were those with an index of validity above 83% agreement. The detailed composition for preventive care wa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guidelines from the AHCPR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and RCN (Royal College Nursing). These were used to form the decision-making tree. An expert team examined the content validity. User validity was tested by nurses who had more than 2 years clinical experience. The decision making tree was completed after modifications from the expert and user validity te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ten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pressure ulcer included; immobility, friction/shear, decreased mental status, nutritional deficit, sensory deficit, moisture (urinary/stool incontinence), impaired activity, decreased peripheral circulation, knowledge deficit in the caregiver and old age. 2. The framework was composed of interventions for the effect of risk factors on pressure which were set up first, then the decision-making tree for each risk factor influencing tissue tolerance was developed. 3. Preventive intervention were prepared to reduce intensity and duration of pressure for the conditional factors such as decreased mental status, sensory deficit, immobility and impaired activity. Each decision-making tree was developed with the factors influencing tissue tolerance such as friction/shear, urinary or stool incontinence, decreased peripheral circulation, and nutritional deficit. Knowledge deficit of the caregiver and old age were excluded from the decision-making tree. 4. As the results of the expert validity test, the content and decision making process were partially modified. 5. The utility of the decision-making tree was found to be its ability to provide standardized preventive care and to verify risk factors for pressure ulcers. Also the guidebook was evaluated as useful, but, there was less than 70% agreement on convenience of use and easiness of understanding. The reasons were analyzed and it was revealed that education about the preventive interventions of pressure ulcer are necessary. 6. Because the decision-making tree has the benefit of giving information about up-to-date interventions as well as usefulness in problem solving, it can be utilized as a tool for preventive pressure ulcer care education. In conclusion, the decision-making tree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s standardized preventive pressure ulcer care. Also it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an opportunity to learn up-to-date preventive interventions.

      • 통증관리 교육이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 환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간 절제술 환자를 대상으로

        강미라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Background: Pain is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the prognosis and satisfaction of the patient after surgery, so effective management is needed. What is important in effective pain management is the adequacy of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pain management in nurses practicing interventions for pati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ain management education to improve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pain management education on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patients’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ed to examine effects of pain management education for nurses, and it’s effect was evaluated by using a pre and post-pain management education on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regarding pain management, and satisfaction of patients was evaluated by using simulat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tal 35 nurses and 60 patients post liver resection were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at general hospital’s surgical ward located in Seoul, and total 18 nurses of experimental group was participated in education program. Pain management education contents for nurses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by researcher, and then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evaluated validity by experts group.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nurses were collected by using “Knowledge and Attitudes Survey Regarding Pain” by developed Ferrell and McCaffery(2014), and it was modified and revised by researcher. The pain management satisfaction of patients was collected by using tool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by researcher. Collected data analyzed by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Mann Whitney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As for experts’ validity on pain management education contents, CVI is >.80 whole contents. The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of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pretest 21.61±2.50 to posttest 26.72±3.18 after the pain management education(p=<.001). Also, pain management satisfaction of patients in received nursing to experimental group nurs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pretest 3.00±0.93 to posttest 4.13±0.83(p=.002).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ain management education is very effective method in improving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regarding pain management, and as long as nurses’ improved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pain management, pain management satisfaction of patients had increased. 통증은 수술 후 환자의 예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이므로 효과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효과적인 통증관리에 있어 중요한 것은 환자에게 중재를 수행하는 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적절성이므로,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 향상을 위한 통증관리 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사에게 시행한 통증관리 교육이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 환자의 통증관리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통증관리 교육 전, 후 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간호사를 교육시킨 효과로 환자의 통증관리 만족도가 변화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모의대조군 전후 설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서울시 일 상급 종합병원의 외과병동 간호사 35명과 간 절제술 후 환자 6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통증관리 교육에 참여한 간호사는 18명이었다. 간호사 교육용 자료는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통해 개발한 후 전문가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았고, 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Ferrell and McCaffery(2014)가 개발한 “Knowledge and Attitudes Survey Regarding Pain”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환자의 통증관리 만족도는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Mann Whitney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개발한 통증관리 교육자료의 전문가 내용 타당도는 모든 항목에서 .80이상으로 확인되었으며, 실험군 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교육 전 21.61±2.50점에서 교육 후 26.72±3.18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p=<.001). 실험군 간호사에게 간호를 받은 환자의 통증관리 만족도 역시 교육 전 3.00±0.93에서 교육 후 4.13±0.8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되었다(p=.002).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통증관리 교육이 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향상되면 환자의 통증관리 만족도 역시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복막투석 환자의 복막염 발생요인 분석

        박양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복막투석 환자의 복막염 발생 실태와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된 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K시 소재 일개 종합병원에서 2007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복막투석실을 방문한 환자와 신장내과 병동에 입원한 복막투석 환자들 중 2000년 3월부터 2007년 7월 사이에 복막투석 시술을 받은 환자를 임의표출 하였으며, 총 126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수집은 예비연구를 통해 작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연구도구는 복막투석 환자의 인구 사회학적인 특성에 관한 14문항, 복막투석과 관련된 특성에 관한 8문항, 자가간호 행위 측정도구 23문항으로 구성하였다(Cronbach's α=.82 ). 투석 초기 건강상태 지표로 복막투석 시작 1개월 이내의 혈청 알부민, 혈청 크레아티닌, %Lean body mass, normalized protein catabolic rate, Body mass index, Residual renal function, Hemoglobin 수치를 이용하였다.자료분석은 SPSS 11.5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가 52.4%, 여자가 47.6%이고, 평균연령은 58.3(± 13.6세)였다. 말기신부전의 원인질환은 당뇨가 39.7%로 가장 많았고 고혈압이 34.1%, 사구체신염이 18.3%였다. 복막투석 기간은 평균 38.8(± 27.5)개월 이었고, 투석기간은 5년 이상이 전체의 26.2%로 가장 많았다. 1회 이상 복막염이 발생한 환자는 53.2%였고 복막염 발생률은 0.63(±0.49)회/환자-년 (1회/18개월)이었고 첫 번째 복막염은 복막투석 시작 후 평균 18.7(± 17.59)개월에 발생되었다.가장 많은 동반질환으로는 고혈압이 53.8%였고, 다음은 관상동맥질환 (20.9%)이었다. 복막염의 발생사유는 ‘Bag 교환 시 실수로 인한 오염’ 이 26.9%로 가장 많았다.2. 대상자의 특성과 복막염 발생1) 일반적 특성 중 남성의 62.1%, 여성의 43.3%가 복막염을 경험하여 성별 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²=4.455, p = 0.035).2) 복막투석관련 특성 중 투석기간(χ²=14.937, p=0.005)과, 출구염 유무(χ²=5.783, p=.016)가 유의 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3. 대상자의 투석 초기 건강상태와 복막염 발생투석 초기 건강상태 지표 중 %LBM (t =-2.01, p = .047), Hemoglobin(t = .74, p = .019) 두 지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4. 대상자의 자가간호 행위와 복막염 발생자가간호 행위에 대한 점수는 복막염 발생 군이 평균 79.79(±7.46), 복막염 미발생 군이 평균 84.85(±5.6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000).이상의 연구결과 남성, 출구염증이 있을 때, 투석 기간이 길수록, 빈혈이 있을 때, 자가간호 행위가 낮을 때 복막염 발생이 더 많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환자 관리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복막염 발생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계속적인 연구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복막투석 환자가 장기적으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데 기여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ditions of peritonitis and the risk factors related peritoniti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and comparative design.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November 1 to November 30, 2007 at peritoneal dialysis unit or renal internal department of a general hospital in 'K' city of Gyeonggi-do. Participants composed of 126 patients with peritoneal dialysis (PD), 67 of them experienced peritonitis but 59 of them didn't experience peritoniti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designed by the preliminary studi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4 items about patients' demographic variables, 8 items about characteristics of peritoneal dialysis and 23 items about self-care behaviors. (Cronbach's α=.82). Patients' health condition indices were serum albumin, serum creatinine, %lean body mass, normalized protein catabolic rate, body mass index, residual renal function and hemoglobin value within 1 month of PD start.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1.5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chi-square test.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1. 52.4% of the patients were males and 47.6% of them were females. Their average age was 58.3 (± 13.6) years. The primary disease causing the end stage renal disease was diabetes (39.7%), hypertension (34.1%) and chronic glomerulonephritis (18.3%). The average periods of PD were 38.8(± 27.5) months, and 26.2% of the patients had been treated with peritoneal dialysis for more than 5 years. 53.2% of them had been once or more inflicted on by peritonitis. The rate of progression into peritonitis was 0.63(±0.49) time/patient-year (once/18 months), and the first peritonitis occurred 18.7(± 17.59) months after PD start on average.The most frequently accompanying disease was high blood pressure (58.3%), and the second was coronary artery disease (20.9%). The most cause of peritonitis was contamination during exchange of bag due to mistake (26.9%).2. Comparison with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occurrence of peritonitis1)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only gend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with occurrence of peritonitis ; 62.1% of male patients and 43.3% of female patients had experienced peritonitis. (χ² = 4.455, p = .035)2) Among the characteristics related PD, periods of peritoneal dialysis (χ² = 14.937, p = .005) and occurrence of exit site infection (χ²= 5.783, p= .016)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with occurrence of peritonitis.3. Patients' health conditions at the earlier stage of PD and occurrence of peritonitisAmong the health condition indices, %LBM (t = -2.01, p = .047) and hemoglobin value ( t = .74, p = .019 )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with occurrence of peritonitis.4. Patients' self-care behaviors and occurrence of peritonitis.The group experienced peritonitis scored 79.79(±7.46) on the self-care scale on average, while the group didn't experienced peritonitis scored 84.85(±5.64). Thus, the level of self-care affe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occurrence of peritonitis. (p <.000).As discussed above, gender (male), occurrence of exit site infection, periods of PD, level of hemoglobin and the score of self-care behavio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related to occurrence of peritonit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atients' management and education programs. Lastly, continued research efforts to determine the causes of peritonitis and development of patients' education program would contribute to patients' healthy life in a long term.

      • 당뇨병성 발기부전 부부의 성생활

        전현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599

        발기부전은 날로 증가하는 당뇨병 환자의 기질적, 사회 심리적 문제로서 적극적인 치료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성에 대한 문화적인 편견에 의해 간과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당뇨병성 발기부전 부부의 성생활 경험의 본질과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2년 11월에서 2003년 11월까지로, 연구참여자는 총 7부부이며, 자료수집은 연구참여자와의 심층면접에 의해 이루어졌다. 면접횟수는 2-5회였으며, 자료분석은 Colaizzi(1978)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당뇨병성 발기부전 부부의 성생활 경험에 대해 8개 주제와 40개의 의미들이 도출되었다. 8개 주제는 일상에서 멀어져 가는 성생활, 속내를 그대로 드러내지 못함, 존재가치에 대한 위기를 느낌, 만족스런 성생활이 더욱 절실해짐, 불만스런 성생활에 대해 새로운 전환을 추구함, 치료적 대안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 현실을 체념하고 순응함, 삶을 다시 추스림 등으로서 본질적 구조에 대한 현상학적 글쓰기는 다음과 같다. 당뇨병으로 인한 육체적인 피로와 혈당관리로 인한 정신적인 스트레스는 성생활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잃게 하며, 원만한 성관계가 불가능해짐에 따라 애써 성적 표현을 피하게 된다. 이러한 성생활은 본능적인 욕구를 해결해주지 못할 뿐 만 아니라 노력해도 해결될 수 없다는 생각에 짜증은 더해가고 서로의 성적 자극을 피하기 위해 잠자리를 따로 하여 그 속에서 편안함을 느낀다. 이러한 성생활은 성적 노출을 도외시하는 성문화 속에서 일시적인 발기부전으로 인한 것이라 생각하고 의료진을 포함한 타인에게 노출을 꺼리며, 부부사이에도 솔직한 대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일상의 틀 속에서 간접적으로 표출되며 속내와는 달리 포장된다. 발기부전은 남편으로써의 존재에 대한 위기를 느끼게 하며, 남자로써의 구실을 잃었다는 생각에 스스로 위축되고 자신감을 잃게 되며, 힘도 쓰지 못하고 주저앉는 자신의 성기로 인해 비참함과 함께 스스로에 대한 연민을 느끼게 된다. 잦아지는 성관계 실패 속에 성관계에 대한 두려움이 커져가고 신경은 점점 예민하고 날카로워져 부부의 갈등은 깊어지고 살고자하는 의욕을 잃어간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본능적인 욕구해결을 위해서, 부부간의 갈등 해소를 위해서, 삶의 즐거움을 위해 만족스런 성생활의 간절함을 느끼며 성기능 장애라는 굴레를 벗고 남들에게 자신의 성적 능력을 자랑하고 싶은 마음이다. 이에 약을 과용해서라도 절대적으로 성적 능력을 유지하고픈 마음이다. 남자로써의 기능을 상실한 남편에 대해 부인은 측은함을 느끼게 되고, 부부로써의 서로에 대한 설자리를 찾고 싶은 마음에 만족스런 성생활이 더욱 간절해진다. 이에, 보다 나은 성적 능력을 위하여 혈당을 조절하고 일상의 건강을 관리하며 정력에 좋다는 건강보조 식품을 먹게 되고, 우연히 알게 된 정보를 통해 치료를 받게 된다. 또한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성파트너로써의 역할을 모색함으로서 보다 만족스런 성생활을 영위해 간다. 그러나 배우자를 통해 해결될 수 없는 본능적 욕구는 자위행위나 육체적 피로와 정신적 분산을 통해 잊고자 하며, 남편의 욕구 해결을 위해 남편에게 외도를 권유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나름대로의 합리화를 통해 불만족스런 성생활을 대신하고자 한다. 만족스럽지 못한 성생활은 금욕을 미덕으로 여겨온 성문화 속에 억눌리고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며 지식과 정보의 부족 속에 혼자만의 고민으로 자리한다. 한편, 어렵게 시작된 성기능 장애 치료는 당뇨병으로 인한 부작용의 걱정 속에, 성기능 저하를 보이는 부인의 비협조적 속에, 고액의 수술비로 인한 치료의 한계 속에 위기를 겪기도 한다. 이에 점점 성생활보다는 당뇨병으로 인한 건강을 걱정하게 되고, 노화현상과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받아들여 체념하면서 현실에 순응해간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나름대로의 새로운 대안을 찾아 만족스런 성생활을 영위해 감으로써 자신의 존재의미를 되찾고 건강에 대한 자신감으로 삶의 안정과 부부 생활의 즐거움을 찾으며 가정의 평화를 유지해 간다. 이상과 같이 당뇨병성 발기부전 부부는 다각적인 문제를 경험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당뇨병성 발기부전 부부의 성생활 경험의 본질적 구조에 대한 이해로 환자 및 배우자의 보다 나은 성생활 도모를 위한 적절한 간호제공의 근거자료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회 문화적 제약 속에 드러내지 못한 성기능 장애에 대한 환자 및 의료진의 보다 적극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ality and structure of the sex lives of couples with diabetic impotence. Currently diabetic impotence is not being treated as actively as other diseases despite the fact that the number of men suffering from impotence due to diabetes is increasing. The question asked for this study was about the experiences in their sex lives as couples living with diabetic impotence. A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Seven couples participated as interviewees for the study.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from November 2002 to November 2003.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method developed by Colaizzi (197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40 meanings in 8 themes were identified for the sex experiences of couples living with diabetic impotence. The 8 themes were as follows; 1) sex life distanced from daily life, 2) inability to reveal inner thoughts, 3) risk over identity and collapse of a balance in living, 4) urgency to achieve a satisfactory sex life, 5) pursuing change for unsatisfactory sex lives, 6) difficulty in approaching alternative treatment, 7) accepting and complying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8) reintegration of lives. The following is a phenomenological writing on the basic structure of the sex experiences of couples with diabetic impotence. Physical fatigue coming from diabetes itself and mental stress coming from blood sugar level management make the couples lose interest in sex life. They try hard to avoid expressing their sexuality, as normal sex life is impossible. This type of sex life does not resolve their basic needs, and they get more irritable with the thought that sexual satisfaction cannot be achieved no matter how hard they try. Couples living with diabetic impotence sleep separately in order to avoid sexual stimulation and feel comfortable doing so. They think that the impotence will be temporary and try to hide the problem from others including medical personnel. This hiding is especially prevalent in Korea where sexual exposure is tabooed. These couples are not able to carry on a frank conversation, and their frustration is expressed indirectly through daily lives and packaged differently from how they feel inside. Impotence makes the man to feel at risk as a husband. He shrinks with the thought that he has lost his ability to function as a man and loses confidence. He feels miserable and pitiful about his penis that shrinks and is unable to perform. With frequent sexual failures, he feels afraid of sexual relationships. His nerves become more sensitive and on edge so that conflict between wife and husband becomes worse, making the couple lose interest in life. On the other hand, they desperately feel the need for a satisfactory sex life and want to brag about their sexual ability by overcoming the problems of sexual dysfunction. They need to do this in order to resolve basic needs,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m, and to lead happy lives. It is so important that they try to keep their sexual ability by using many drugs. The wife feels sorry for the husband who has lost his ability to function as a man. Both disparately want to lead a normal sex life and need to find a place for each other. Thus, the men control their blood sugar level, manage their daily health, and take health supplements that are supposedly good for improving sexual function. They receive treatment for impotence through information that they find by accident. They seek a more satisfactory sex life through active and open sex partners. However, they try to forget the basic needs that cannot be fulfilled through their spouses by using masturbation, physical fatigue and mental release. Wives recommend that their husbands have extramarital affairs to resolve their husbands' needs and they come up with self-justification for this unsatisfactory sex life. In the mist of a lack of information, the unsatisfactory sex life becomes a problem in itself. Sexual need is suppressed in a sex culture that considers abstinence as a virtue, but the couples do not find an end to the problem. Further, the treatment for sexual dysfunction, which was difficult to start, is sometimes jeopardized due to worries over complications due to diabetes, non-cooperation by the wife, and high cost of treatment. Thus, rather than sex life, they worry more over health due to diabetes and adapt to the reality by accepting sexual dysfunction as a complication of aging and diabetes. Nonetheless, they find some alternative to lead a satisfactory sex life, regaining their self-identity, stability in their lives, and happiness in marital sex with confidence over their health and maintaining peace in their families. This study illustrates an understanding of the basic structure of the sex life of couples living with diabetic impo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s to promote better sex lives in diabetic patients and their spouses. Furthermore, it could aid patients with diabetic impotence and their physicians to strive for more active treatment for sexual dysfunction, which is usually hidden due to social and cultural limi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