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AQ 향상을 위한 교실 개보수 방안의 타당성 분석: 제일 원리를 이용한 모델 보정의 활용

        성호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re is constant interest in fine dust that adversely affects health, and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addition, interest in the indoor air environment is increasing not only due to fine dust but also due to the recent outbreak of COVID-19. In the case of old building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re are problems with ventilation facilities, cracks in walls, and airtightness of doors and windows. To solve this problem, the demand for retrofit of old buildings has increased. especially in schools, as students' occupancy time is very long and can have a bad impact on growing youth, so the demand for retrofit is increasing a lot. The retrofit of the building includes passive retrofit to replace ceiling and floor, improve envelope, door and window airtightness and active retrofit to install or improve mechanical ventilation facilities such as HVAC system, ERV, and air purifier.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same retrofit package to all schools, the appropriate retrofit method should be applied to each school in difference of the schoo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measurement was conducted to select the retrofit method of the school classroom with the demand for each school retrofit. Most IAQ measurements are conducted on the premise of long-term and multi-point measurement. in this study, We specified 6 IAQ diagnostic scenarios reflecting the school ventilation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strategies. measurement protocol was produced by standardizing measurement methods and measurement equipment. By solving the mass-balance equation through a numerical approach, a first-principle model was created for each IAQ diagnosis scenario. IAQ characteristic variables is estimated from each first-principle model were defined. In addition, We present the IAQ characteristic variables’reasonable range and estimate IAQ characteristic variables comparing the measurement data with the prediction data based on the first principle model and put IAQ characteristic variables in the range into the first principle model. The CONTAM base model was manufactured through the drawings, equipment lists, and measurements of the measuring room. The CONTAM baseline was constructed by entering the IAQ characteristic variable estimated by the first principle model in the CONTAM base model. After monthly simulation of the constructed baseline, We checked the most effective retrofit method was to install and operate air purifiers by applying each retrofit method such as door open, cross ventilation, ERV operation, air purifier operation and door airtightness improvement.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끊이지 않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최근 발병한 COVID-19에 의해 실내 공기환경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실정이다. 노후된 기축 건축물의 경우 환기 설비, 벽의 균열, 문 및 창호의 기밀성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해결하고자 기축 건축물의 개보수에 대한 수요가 늘었는데, 특히 학교의 경우 학생들의 재실시간이 매우 길고 성장기의 청소년에게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어 개보수의 수요가 많이 늘고 있다. 건축물의 개보수에는 천장 및 바닥 마감재 교체, 외피 기밀성 향상, 문 및 창호의 기밀성 향상 등을 도모하는 건축적 개보수가 있으며 HVAC 시스템, ERV, 공기청정기 등의 기계 환기 설비를 설치 또는 개선하는 설비적 개보수가 있다. 그러나 모든 학교에 동일한 개보수 패키지를 적용시키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학교의 특성 및 조건을 고려하여 각 학교에 알맞은 개보수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교 개보수의 수요에 발 맞춰 학교 교실의 개보수 방식을 선정하기 위해 측정을 진행하였다. 실내 공기환경 측정은 대부분 장기 측정 및 다점 측정을 전제로 진행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학교의 환기 특성 및 운영 전략을 반영하여 IAQ 진단 시나리오를 6가지로 특정하고 측정 방식과 측정 장비를 표준화하여 측정 프로토콜을 제작하였다. 질량 보존 방정식을 수치적 접근을 통해 풀이하여 각 IAQ 진단 시나리오 마다 제일 원리 모델을 작성하였고 각 제일 원리 모델에서 추정할 IAQ 특성 변수를 정의하였다. 또한 합리적인 IAQ 특성 변수의 범위를 제시하고 범위 내의 값을 제일 원리 모델에 입력하여 측정 데이터와 제일 원리 모델에 의한 예측 데이터를 비교하여 IAQ 특성 변수를 추정하였다. 측정 실의 도면, 장비 일람표, 실측을 통해 제작한 CONTAM base model에 제일 원리 모델에서 추정한 IAQ 특성 변수를 입력하여 CONTAM baseline을 구축하였다. 구축한 baseline을 월간 시뮬레이션한 후 문 개방, 맞통풍, ERV 가동, 공기청정기 가동, 문 기밀성 향상과 같은 개보수 방식을 각각 적용시켜 가장 효과적인 개보수 방식이 공기청정기를 설치하여 가동하는 방식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한국 사회 '건강한 다이어트' 담론의 형성과 개인화된 위기 관리

        김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한국 사회에서 다이어트가 정상화되었지만 그 실천에 대한 평가는 위계화돼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위계화된 질서가 작동하는 방식과 그 효과를 탐구한다. 한국 사회에서 초절식, 먹토, 변비약 복용과 같은 다이어트 실천은 몸을 무리해서 몰아붙이는 ‘극단적인 다이어트’로 지목되고, 충분히 건강을 챙기며 다이어트를 할 수 있는 시대에 그렇게 하지 않는 문제적인 다이어트로 여겨진다. 한국 사회에서 이상적인 다이어트는 식이조절과 운동을 하며 적절한 생의학적 기술을 이용하는 ‘건강한 다이어트’이다. 다이어트 실천의 위계화된 질서에서 각각의 다이어트 실천은 개인의 선택에 따른 것으로 이해되고, 이는 극단적인 다이어트를 하는 이들을 비난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대표적으로, 극단적인 다이어트를 많이 한다고 알려져 있는 젊은 여성들은 비난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런데 왜 젊은 여성들이 극단적인 다이어트를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들이 처한 조건을 살펴봐야 한다. 또한, 다이어트 실천의 위계화된 질서가 여성들의 삶에서는 어떻게 경험되고 있는지 역시 분석돼야 한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회에서 다이어트 관련 기술을 이용하는 일은 2000년대 이후 정부 정책에서 안전성을 보장받았다. 그 결과 다이어트 관련 기술을 이용하는 일은 ‘안전한 다이어트 실천’으로 여겨지고, ‘건강한 다이어트’의 일부를 이루게 되었다. 둘째, 한국 사회에서 20대 여성의 다이어트 실천 경험은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인다. 한국 사회에서 20대 여성은 ‘젊고 예쁜’ 외모를 기대받는 동시에 그 기대를 충족시킴으로써 사회적·경제적 위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예쁜 외모’의 기준은 마른 몸이며, 여성들은 마른 몸이 되기 위해 다양한 다이어트 실천을 시도한다. 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경제적 계층의 여성들은 건강상의 위험을 관리하지 못하고 빠르게 축적한다. 셋째, 다이어트 실천에 대해 이루어지는 위계화된 평가는 여성들이 경험하는 위기 상황을 개인의 책임으로 해석하고, 다이어트 기술 이용에 따른 건강상의 위험을 보이지 않게 하거나 잘못된 이용에 따른 위험으로 축소시킨다. 특히 정부 정책이 이 같은 평가를 반복함에 따라 위기 상황이 재생산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극단적인 다이어트 및 그로부터 이어지는 섭식장애를 여성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사회에서 성별과 계층이 교차하며 구성되는 문제로 해석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한국 사회에서 이상적인 다이어트 모델로 여겨지는 ‘건강한 다이어트’가 2000년대 이후 형성된 담론임을 분석하고, 여성 건강을 위협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The diet has been normalized in Korean society, but in contrast, the evaluation of its practice has been hierarchized. Noting this phenomenon, this study explores how the hierarchized order works, and its effects. In Korean society, diet practices such as starving, mukto(vomitting after eating), and taking laxative are pointed out as ‘extreme diet’. They are considered problematic diet, since these practices are not in range the way Korean society defines ideal diet. The ideal diet that Korean society defines is a ‘healthy diet’ which are eating less, excercising regularly, using appropriate biomedical technology. Each diet practice is understood as an individual's choice, which leads to blame on those who diets extremely. Typically, young women known to diet extremely have been subject to this blame. However, in order to find out why young women go on extreme diet,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ir socio-economic conditions. In addition, it should be analyzed how the hierarchized order of diet practice is experienced in women's lives. Therefore, this study used literatur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as a metho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2000s, the Korean government policy guaranteed the safety of diet-related technology. Therefore, using diet-related technology has perceived as a ‘safe diet practice’ and took up the part of ‘healthy diet’. Second, in Korean society, diet experience of women in their 20s shows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ir socio-economic class. In Korean society, the social and economic position of women in their 20s can be improved by meeting the expectations of being ‘young and pretty’. At this time, the standard of ‘pretty appearance’ is a skinny body, therefore women try various diet practices to become skinny. In this process, women in relatively low class are not able to manage risks and accumulate them quickly. Third, the hierarchized evaluation of diet practice interprets the crisis situation as individual responsibility and hinder seeing the risks of using diet-related technology. Furthermore, as the government policy repeats this evaluation, the crisis situation is being reproduced. This study analyzed extreme diet and following eating disorder as the problem composed by intersecting gender and class in Korean society.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at the ‘healthy diet’ discourse in Korean society has been constructed since the 2000s and endanger women’s health.

      • 여성/퀴어커플의 해외 혼인신고와 법률혼을 경유한 인정의 정치

        정혜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plores the cultural and political meanings of legal marriage through the recent emergence of women's/queer couples' overseas marriage registrations as a marriage ritual to uncover the workings of the legal marriage system and the politics of the practice of overseas marriage registration. Overseas marriage registration for women/queer couples refers to couples of the same legal gender moving across borders to establish a legal marriage in another country. Since South Korea does not recognize same-sex marriages as valid and does not recognize legal marriages entered into abroad, legal marriages entered into in other countries are invalidated when they are transferred to South Korea. As a result, women/queer couples have a dual status: married in a foreign country and unmarried in Korea. While the dual legal status of women/queer couples appears to be "neatly" divided into valid and invalid based on national borders, the effects of performing a foreign marriage registration are not limited to the laws of one country. Despite the fact that legal marriages entered into in other countries do not have any legal effect at home, they evoke different levels of recognition as 'marriages legally recognized by the state'. In this study, I argue that the paradoxical recognition of women/queer couples' overseas marriage registrations is constructed through the arbitrariness and relativity of the state's power to define certain relationships as normal through the institution of legal marriage, while at the same time, recognition through overseas marriage registrations is constructed through the state's power to confer normalcy on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of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 to collect data and met with 22 research participants, including 18 women/queers who registered their marriages abroad, 3 assistant participants, and 1 wedding planner. 본 연구는 최근 혼인의례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여성/퀴어커플의 해외 혼인신고를 통해 법적 혼인의 문화적·정치적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법률혼주의 제도의 작동과 해외 혼인신고라는 수행의 정치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여성/퀴어커플의 해외 혼인신고란 법적 성별이 동일한 커플이 국가 이동을 통해 다른 국가에서 법률상 혼인관계를 맺는 것을 뜻한다. 한국에서는 법률상 동성 간의 혼인을 유효하다고 보지 않고 해외에서 맺은 법률혼 관계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국가에서 맺은 법률상의 혼인관계는 한국으로 넘어오면서 그 효력이 사라진다. 이에 따라 여성/퀴어커플은 외국에서는 기혼, 한국에서는 미혼인 이중적인 지위를 갖게 된다. 여성/퀴어커플의 이중적인 법적 지위는 국경을 기준으로 ‘깔끔하게’ 유/무효로 구분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해외 혼인신고라는 수행의 효과는 한 국가의 법률 안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국가에서 맺은 법률혼 관계는 국내에서 아무런 법적 효력을 갖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국가가 법률적으로 승인한 혼인’이라는 점에서 다양한 층위의 인정을 불러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퀴어커플의 해외 혼인신고가 만들어내는 역설적인 인정이 법률혼주의 제도를 통해 국가가 특정한 관계를 정상적인 것으로 규정하는 권력의 임의성과 상대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해외 혼인신고를 통한 인정이 관계에 정상성을 부여하는 국가의 권력을 경유하면서 구성되고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심층인터뷰, 문헌조사의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해외 혼인신고를 한 여성/퀴어 18명, 보조 연구참여자 3명, 웨딩 플래너 1명의 총 22명의 연구참여자를 만났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퀴어커플의 해외 혼인신고는 이성애 관계만을 배타적으로 인정하는 국내 법률혼주의 제도의 작동, 국제적 동성혼 법제화 흐름, 성소수자의 가족 실천이 교차하며 부상하고 있는 실천이다. 국내법상 혼인이 이성 간의 결합으로 정의되고 정치적으로는 가족제도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휘발된 채 동성혼은 기독교 근본주의와 보수정치권의 동성애 혐오 담론에서 가족과 국가의 질서를 무너뜨리는 것으로 의미화 되었다. 한국 사회에서의 관련 법 제정이 요원한 한편 국제적으로는 동성혼 법제화 흐름이 있었고 이러한 법·제도적, 정치적 상황은 개인의 이동을 추동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상의 맥락이 교차하면서 여성/퀴어커플의 해외 혼인신고는 새로운 혼인의례로서 부상하고 있다. 두 번째, 해외 혼인신고를 통해 여성/퀴어커플이 갖는 미/기혼의 이중적인 지위는 국가 간 제도의 차이와 한국의 이성애중심적 혼인제도가 만들어낸 모순이며 국가는 혼인신고라는 법적 절차를 통해 여성/퀴어커플을 ‘적법하게 혼인한 주체’ 혹은 ‘제도에서 배제된 비법적 존재’로 생산해낸다. 한국은 해외에서 적법한 절차를 거쳐 맺어진 법률혼 관계에 있어서 한국 국적을 가진 자의 가족관계에 일괄 등록하고 이를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는 체계를 갖고 있다. 그러나 동성 간 혼인은 국외사법 상의 규정에 의해 한국의 가족관계체계에 등록되지 않는다. 국가의 경계에서 동성 간 혼인을 누락하는 방식으로 국가는 혼인의 이성애 질서를 유지한다. 한편 이는 혼인제도를 통한 국가의 정치가 완결적이거나 일관적인 형태로 완성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세 번째, 혼인신고를 통해 얻은 혼인증서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인정’을 불러오는 근거가 된다. 이는 개인이 맺는 관계 내에서의 인정, 사회적 인정, 법의 강제력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서의 인정을 불러온다. 다양한 층위에서의 인정은 가족이 단순히 법적으로 정의되거나 한 나라의 국경 안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수행적으로 구성됨을 보여준다. 네 번째, 해외 혼인신고를 통해 만들어지는 법적 부부에 대한 인정은 역설적으로 정상가족 이데올로기가 법을 통해 강력히 작동하고 있는 상황을 경유하여 나타난다. 한국사회에서 혼인과 혈연을 중심으로 한 가족은 법을 통해 규범적인 것으로 인식, 구성, 재생산 되는 반면 법의 테두리 바깥에 있는 비혈연, 비혼인 가족은‘비정상’이거나 잔여적인 존재로 배치된다. 그런데 해외 혼인신고를 한 여성/퀴어커플은 다른 국가의 법을 통해 인정받은 혼인관계라는 점에서 그것이 국내에서는 실제 법적효력이 없을지라도 사람들의 인정을 불러일으킨다. 다시 말해 한국사회에서 법이 가족규범을 형성하고 지정하는 역할을 해왔던 상황은 여성/퀴어커플이 법적 부부라는 것에 대한 인정을 작동시키는 조건이 된다. 다섯 번째, 해외 혼인신고는 혼인제도를 통한 국가의 권력이 상대적이고 임의적임을 드러내는 실천인 한편 특정한 관계에 정상성을 부여하는 국가 권력을 경유한다는 점에서 여성/퀴어커플의 행위성을 ‘인정받는 자’의 자리에 서게 만든다. 해외 혼인신고는 다른 국가의 혼인제도를 경유한 인정이 이성애 관계만을 ‘정상적인’ 혼인 관계로 재생산하려는 혼인제도의 의도를 넘어서는 효과를 내는 역설을 보여준다. 하지만 동시에 다른 국가의 혼인제도의 권위를 이용함으로써 다른 국가는 혼인을 인정하는 주체로서 권위를 갖게 되며 이는 인정하는 주체로서의 국가와 인정받는 자로서 시민의 구도를 지속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최근 혼인의례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여성/퀴어커플의 해외 혼인신고를 통해 법적 혼인의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법률혼주의 제도의 작동과 해외 혼인신고라는 수행의 정치성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연구에서는 해외 혼인신고가 만들어내는 역설적인 인정이 법률혼주의 제도를 통해 국가가 특정한 관계를 정상적인 것으로 규정하는 권력의 임의성과 상대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해외 혼인신고를 통한 인정이 관계에 정상성을 부여하는 국가의 권력을 경유하면서 구성되고 있음을 논하고자 했다. 법을 통한 인정의 자리를 마련하는 작업은 관계에 정상성을 부여하는 국가 권력의 작동에 대한 문제제기와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어떠한 인정의 자리를 만들어 갈 것인지에 대한 성찰과 고민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 코로나 시기, 사이판 한국 간호사들 : 돌봄노동의 초국적 이동과 저/숙련 노동의 재구성

        임세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인 간호사의 북마리아나제도 사이판 이주를 추동하는 구조적 요인을 살펴보고 이들의 이주 경로 및 경험이 국가 경계 및 고숙련/저숙련 노동의 경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나아가 저숙련 노동으로 평가절하되어 온 돌봄-재생산- 간호노동의 사회적 의미가 재구성되는 과정을 논한다. 간호이주 관련 논의는 경제적 이익 또는 가족 및 친족 부양을 주요 목적으로 한 ‘글로벌 사우스’에서 ‘글로벌 노스’로의 이주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방식은 이분화된 국가 간 위계를 고착화하고 젠더화되어온 돌봄-재생산-간호노동의 복잡한 구성과정과 그 의미의 전환 가능성에 관해 논하기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비판적 개입이 필요하다. 한국과 북마리아나제도 사이판은 ‘글로벌 노스’와 ‘글로벌 사우스’ 모두에 속하지 않는 지역‧국가다. 한인 간호사의 사이판 이주를 분석한다면 기존의 논의에서 설명되지 못한 이주 요인‧경로‧실천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노스’와 ‘글로벌 사우스’의 위계와 고숙련/저숙련의 이분화된 위계에 균열이 일어나고 재구성되는 과정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간호사와 관련된 논의는 열악한 노동환경 또는 의료공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간호인력 확충의 문제를 중심으로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처우개선 또는 교육시스템의 확장 등 일부 정책적 개선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는 결과중심적 접근방식은 문제의 핵심을 비가시화한다. 간호노동 환경과 간호사의 경험을 복잡성을 파악하기 위해선 사회‧문화‧구조적 요인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그 과정이 이루어져야만 간호사 부족의 문제의 주요 원인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간호사의 업무는 의사를 보조하거나 환자에게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인으로 제한되었고, 간호노동의 의미는 젠더화되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구조적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간호사가 돌봄-재생산 노동을 수행하는 주체로 위치되며 사회‧문화적으로 여성화‧탈숙련화되왔다는 점에서 페미니스트 시각을 통해 분석해야 한다. 한편, 간호노동이 사회‧문화적으로 여성화‧탈숙련화되어온 과정만을 분석하는 것의 한계는 간호사의 젠더화된 위치를 전환할 가능성에 관한 논의로 확장하기 어렵게 한다는 점이다. 전환 가능성을 논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이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정치‧사회‧경제‧문화적 지위, 업무 범위, 의료시스템 등은 국가적‧상황적‧사회적 맥락에 따라 유동하기 때문이다. 간호사의 이주를 분석함으로써 간호사 및 간호노동의 변화되는 사회‧문화적 위치 및 의미를 알아본다면 기존의 의미 및 위치가 재/생산되지 않는 방식으로 문제에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사회‧문화적 위치 및 의미가 유동하며 고숙련/저숙련의 이분화된 경계를 어떻게 교란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한인 간호사의 북마리아나제도 사이판 이주 요인, 과정, 경험을 알아본다. 이를 통해 한인 간호사의 사이판 이주에 어떠한 구조적 요인이 국가 간 상호작용하며 작동했는지 알아보고, 한인 간호사들이 국가의 경계를 넘어가며 간호노동을 해석하는 형식의 전환 과정을 탐구한다. 나아가 전 세계적으로 국가적 이동이 차단된 팬데믹 시기, 이들의 이주가 가능했던 국가‧사회‧역사적 맥락을 파악함으로써 돌봄-재생산-간호노동의 젠더화된 의미 및 ‘글로벌 노스’와 ‘글로벌 사우스’의 경계에 균열이 발생하는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조사, 현장조사,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분석했다. 연구자는 사이판 한국 간호사 12명, 보조 연구참여자 3명, 사이판 병원 관계자 3명, 북마리아나제도 비자 대행 관계자 1명, 총 19명의 연구참여자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구조적 요인과 북마리아나제도의 조건이 맞물려 한인 간호사의 사이판 이주가 추동된다. 한국의 간호사는 성별분업에 따라 직업화되었다. 역사적으로 간호사는 관련 법‧제도를 통해 의사의 업무를 수행하기도 했지만, 해방 후 근대화의 과정에 변화되고 그 체계가 유지된 현행 법‧제도에 의해 탈숙련화되었다. 간호사와 관련된 법‧제도가 모호하게 유지되면서 간호사는 의사의 업무로 여겨지는 일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조건은 간호사를 고숙련노동을 수행하는 저숙련노동자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했다. 한국의 구조적 요인은 북마리아나제도의 식민지배의 역사 및 이민법의 연방화와 맞물려 한인 간호사의 사이판 이주를 추동했다. 식민지배의 역사에 의해 형성된 북마리아나제도의 이민자중심 경제구조와 이민법의 연방화에 따라 구축된 북마리아나제도 특유의 이민법이 이들의 전략적 이주를 가능하게 했다. 둘째, 사이판으로 이주하는 간호사들은 미국과 미국 간호사를 상상하며 자신의 삶을 기획한다. 이들은 체계화된 의료시스템에서 간호노동의 사회적 지위를 인정받기 위해 이주하기도 하며 ‘정상성’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을 살고자 이주를 모색하기도 한다. 사이판에서의 삶과 사이판 병원에서의 근무 경험은 이들이 상상한 공간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이들의 이주 과정에서 작동하는 사회적 가치는 경제적 이익 또는 가정 및 친족 부양으로만 이야기될 수 없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셋째, 돌봄-재생산-간호노동의 의미는 국가를 막론하고 언제나 동일하게 고숙련/저숙련의 이분화된 경계에 위치해 있지 않는다. 돌봄-재생산-간호노동의 의미는 국가‧법‧ 제도‧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유동하며 구성된다. 국가의 경계를 넘어가며 정합적으로 고숙련 노동자 또는 저숙련 노동자의 지위를 갖게 되지 않으며, 각국의 법‧제도‧사회‧ 문화‧구조적 요인이 교차하며 고숙련과 저숙련을 넘나드는 주체로 자리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는 이동이 차단된 팬데믹 시기에도 국가의 장벽을 넘어갈 수 있게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돌봄-재생산과 국가가 자연적인 것이 아닌 함께 유동하며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임을 드러낸다는 점이다. 이는 돌봄-재생산-간호노동이 고숙련/저숙련의 젠더화된 위계적 경계에서 저숙련 노동으로 위치되어 온 것과 간호이주에서 논의되는 글로벌 노스와 글로벌 사우스의 헤게모니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 문제의식을 토대로 한인 간호사의 사이판 이주 요인, 과정, 경험을 분석한다. 글로벌 노스와 글로벌 사우스의 경계에 있는 지역‧국가를 가시화하고 역사화함으로써 돌봄-재생산-간호노동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가와 돌봄-재생산 노동의 관계에 대한 페미니스트 시각을 확장하려는 시도로 읽힐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factors that drive the migration of South Korean nurses to Saipan, Northern Mariana Islands. It analyzes the impact of their migration and experiences on national boundaries and the boundaries of high and low-skilled labor. It discusses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social meaning of care-reproductive-nursing labor, which has been devalued as low-skilled labor. Discussions on nurse migration have been centered on migration from the ‘Global South’ to the ‘Global North’ and posits that the main purpose of migration is related to economic interests or to support family and relatives. This approach requires critical intervention in that it re-strengthens the dichotomous hierarchy between Global North and Global South,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converting its perceived social recognition. South Korea and Saipan, Northern Mariana Islands, are places that do not belong to either of the Global North and Global South. Analyzing the migration of South Korean nurses to Saipan, it will be possible to reveal migration factors, routes, and practices that have not been explained in previous discussions that have been centered on the migration from Global South to Global North.

      • 학교 건물에서 이산화탄소 기준농도 유지를 위한 환기량 실험 및 분석

        윤정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is study, a measure was taken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a major factor in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in order to identify the actual amount of ventilation in the library and the change in carbon dioxide, and to use it as a design basis for improving indoor environment in schools by comparing it with ventilation control standard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hange in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rough regression R2 values of CO2(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arget subject of ventilation 960CMH are shown to be 0.918. 91.8% of sample data can be interpreted through regression equation, therefore two variables are suggested to be highly correlated. R2 values of CO2(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arget subject of ventilation 760CMH are shown to be 0.8665. 86.65% of sample data can be interpreted through regression equation, therefore two variables are suggested to be highly correlated. R2 values of CO2(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arget subject of ventilation 660CMH are shown to be 0.8334. 83.34% of sample data can be interpreted through regression equation, therefore two variables are suggested to be highly correlated. The number of people subject to non-operating operation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0.833. This shows that 83.13% of the sample data can be interpreted as regression and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2) The change in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gression The measurement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960CMH at a measurement of 38 persons showed a minimum of 1329ppm to a maximum of 1509ppm, an averag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1398ppm, and an average out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510ppm. It decreased by 12% from 1500ppm which is the management standard of school health law. CO2 The measurement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760CMH at a measurement of 32 persons showed a minimum of 1474ppm to a maximum of 1506ppm, an averag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1398ppm, and an average out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530ppm. It decreased by 2% from 1500ppm which is the management standard of school health law. The measurement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660CMH at a measurement of 28 persons showed a minimum of 1482ppm to a maximum of 1497ppm, an averag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1490ppm, and an average out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550ppm. It decreased by 0.9% from 1500ppm which is the management standard of school health law. 3) For 35 people, the change in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by wind volume is At a ventilation volume of 960CMH,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kept below 1500 ppm, and the standard value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16.4%. ventilation capacity per person is 27.4CMH For ventilation volume 760CMH, it was not possible to maintain indoor carbon dioxide below an acceptable concentration of 1500 ppm and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9% with reference. Ventilation per person is 21.6CMH. For ventilation volume 500CMH, it was not possible to maintain indoor carbon dioxide below an acceptable concentration of 1500 ppm and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32% with reference. Ventilation per person is 14.2CMH. For ventilation volume 825CMH, it was allowed to be kept lower than 1500 ppm, which is the permitted concentration of indoor carbon dioxide, and was appropriate to the reference value level. Ventilation per person is 23.5CMH. 4) In case of CO2 concentration change when the volume of wind changes for the number of target personnel Through the experiment, CO2 concentration standard could be maintained when ventilated with variable ventilation volume according to optimum ventilation level per person, 23.5CMH. As a result, In case of using ventilation machine to ventilate carbon dioxide, one of major pollutant in School Health Law Enforcement Regulation [Maintenance Standard for Air Quality] to maintain 1500ppm of CO2 concentration, 21.6m3 of current ventilation volume per person is considered to be insufficient. Therefore, desired indoor CO2 concentration would be achieved as ventilation volume per person is improved from 21.6m3 to 23.6m3.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공기오염물질 주요 인자인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도서관내 실제 환기량과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파악하고 환기 조절기준과 비교하여 학교 내 실내 환경개선을 위한 설계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하였다.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회귀분석을 통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량에서는 환기량 960CMH의 대상인원과 이산화탄소 농도의 결정계수는 0.918나타났다. 이를 통해 표본데이터의 91.8%가 회귀식으로 해석될 수 있고 두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환기량 760CMH의 대상인원과 이산화탄소 농도의 결정계수는 0.8665나타났다. 이를 통해 표본데이터의 86.65%가 회귀식으로 해석될 수 있고 두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환기량 660CMH의 대상인원과 이산화탄소 농도의 결정계수는 0.8334나타났다. 이를 통해 표본데이터의 83.34%가 회귀식으로 해석될 수 있고 두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무가동의 대상인원과 이산화탄소 농도의 결정계수는 0.8313나타났다. 이를 통해 표본데이터의 83.13%가 회귀식으로 해석될 수 있고 두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2) 회귀분석을 결과에 따른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량에서는 대상인원 38명, 환기량 960CMH의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결과 최소 1329ppm에서 최대 1509ppm까지 측정되었고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는 1398ppm으로 분석되었으며, 외기 이산화탄소 농도는 평균 510ppm으로 측정되었다 . 학교보건법의 관리 기준인 1500ppm과는 12% 감소하였다. 대상인원 32명, 환기량 760CMH의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결과 최소 1474ppm에서 최대 1506ppm까지 측정되었고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는 1487ppm으로 분석되었으며, 외기 이산화탄소 농도는 평균 530ppm으로 측정되었다. 학교보건법의 관리 기준인 1500ppm과는 2% 감소하였다. 대상인원 28명, 환기량 660CMH의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결과 최소 1482ppm에서 최대 1497ppm까지 측정되었고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는 1490ppm으로 분석되었으며, 외기 이산화탄소 농도는 평균 550ppm으로 측정되었다 . 학교보건법의 관리 기준인 1500ppm과는 0.9% 감소하였다. 3) 대상인원 35명을 대상으로 각 풍량별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량에서는 환기량 960CMH의 경우 실내 이산화탄소 허용 농도인 1500ppm 이하로 유지가 가능했으며, 기준과 약 16.4% 감소하였다. 1인당 환기량은 27.4CMH 이다. 환기량 760CMH의 경우 실내 이산화탄소 허용 농도인 1500ppm 이하로 유지가 불가능했으며, 기준과 약 9% 증가하였다. 1인당 환기량은 21.6CMH 이다. 환기량 500CMH의 경우 실내 이산화탄소 허용 농도인 1500ppm 이하로 유지가 불가능했으며, 기준과 약 32% 증가하였다. 1인당 환기량은 14.2CMH 이다. 환기량 825CMH의 경우 실내 이산화탄소 허용 농도인 1500ppm 이하로 유지가 가능했으며, 기준값 수준으로 적정하였다. 1인당 환기량은 23.5CMH 이다. 4) 대상인원에 대한 풍량 변화시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량에서는 실험을 통해 1인당 적정환기량인 23.5CMH로 인원에 맞는 변풍량으로 가동을 하였을 때 이산화탄소 기준농도 유지가 가능하였다. 결과적으로 학교보건법 시행규칙[공기 질 등의 유지관리기준]의 오염물질 중 이산화탄소를 기계 환기장치로 이용하여 주된 환기하는 경우 이산화탄소 농도 1500ppm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학교보건법 기준 1인당 환기량인 시간당 21.6세제곱미터는 미흡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시간당 23.6세제곱미터로 강화 하여야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 아내 없는 남성의 아버지 되기 : '미혼부'의 출생신고 과정과 부계혈연주의의 역설

        이영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becoming a legal father of an unmarried father(mihonbu) who has to proceed with a lawsuit to register their children's birth in South Korea from a feminist perspective. Currently, in South Korea, mihonbu can register their child’s birth as a ‘father’ only after a lawsuit due to the regulation of the person obligated to report an out-of-wedlock birth under the Family Relations Registration Act and the presumption of biological father under the Civil Act. Since the family legal system regulates that a legal father can only be established ‘naturally’ within legal marriage and imposes a duty on women to register out-of-wedlock birth, mihonbu cannot register their children’s birth if children’s birth mother refuses or cannot register her children’s birth, and also cannot be a legal father. Mihonbu who raise their children unregistered until they complete a lawsuit for months to more than a year and are placed in blind spots without any support as caregivers face having to choose to raise their children unregistered, give up parenting, or pay high costs to complete a lawsuit. In this situation, as the problem of children's basic rights being violated becomes serious, research on mihonbu in South Korea is focusing on the basic rights of unregistered children and the problem of birth registration system. In addition, mihonbu is viewed as a socially vulnerable group at the same level as unmarried mother(mihonmo), many research focuses on preparing support systems and revision of the law. However,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current discussion of mihonbu makes it difficult to capture the point where the reproduction of unmarried men lies in a specific legal and social position in the principle of normative family formation. In the current structure of the law, which establishes the normality of the family while stipulating that the legal fatherhood can be secured only through the presence of the wife, mihonbu is in a specific position. The issue of mihonbu is also linked to the issue of children's basic rights, but it needs to be closely analyzed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n that it is a political-site that reveals the fictional-aspects and paradoxical points of the paternalistic family order of the institutionalized form.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explores the specific context and meaning of mihonbu different from mihonmo and critically intervenes in the social discussion of mihonbu which is focusing on revision of the law and guaranteeing basic rights for unregistered children. Through this, this study attempts to politicize the issue of mihonbu as a problem that can transform conventional wisdom, order, and naturalized beliefs about family relations, and argues the need to position men as subjects of reproduction. To do this, based on the feminist discussion of South Korean family law, this study analyzes how mihonbu have been positione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South Korean society, and analyzes the issues of mihonbu, which have been dealt with in the public system since the 2010s, and the birth registration litigation process.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support for mihonbu by the single father organization ‘A Association’ in South Korea and in-depth interviews with mihonbu who completed a lawsuit to register their children's birth to see the specific process of unmarried men being located as mihonbu and becoming legal fathers. 본 연구는 자녀의 출생신고를 위해 법적 소송을 진행해야 하는 ‘미혼부(未婚父)’의 ‘아버지’가 되기 위한 과정이 한국사회에서 어떠한 정치·사회적 의미를 가지는지 여성학적 관점으로 탐구한다. 2010년대 이후 그 존재가 인식되기 시작해 정책 용어로 사용되고 있는 ‘미혼부’는 법적인 ‘아내(妻)’가 없는 미혼 상태에서 출생한 자녀를 본인의 친생자로 신고하여 부자관계를 확립하고자 하는 남성을 의미한다. 현행 가족법의 구조에서 미혼남성은 자녀를 양육하고자 해도 소송과 재판을 통해서만 ‘아버지’가 될 수 있다. 법적인 ‘아버지’의 지위는 아내가 출생한 남편의 친생자를 통해 확립되며, 미혼남성은 혼외출생자의 신고의무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법적인 아버지 지위를 아내-여성을 매개로 했을 때만 확보할 수 있도록 규정하여 미혼남성은 아버지가 되기 어렵게 하는 현행법의 구조를 부와 자의 생물학적 연결성을 가족(가문) 재생산의 원리이자 질서인 ‘부계’로 형식화하면서 이를 법률혼관계 내의 출산을 규범화하는 방식으로 재생산하는 가부장적 통치권력의 작동 원리로 접근한다. 본 연구는 가족관계를 부계혈통(부의 성과 본) 승계와 동일시하는 한편으로 미혼남성은 아버지가 되기 어렵게 하는 법적 규제의 효과와 의미는 무엇인지 탐구함으로써 ‘미혼부’라는 사회·제도적 범주를 양산하는 가족법 체계를 문제 삼고, 이를 통해 ‘아버지가 될 수 없는 미혼부’와 ‘미등록 아동이 되는 미혼부 자녀’라는 제도적 공백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은 가족에 대한 기존의 정의와 개념, 그리고 부계가족주의를 해체하고 상호 간의 연대와 사회적 관계맺음을 중심으로 가족의 정상성을 재정립하는 사회·제도적 변혁의 시작이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미혼부는 가족관계등록법의 신고의무자 규정과 민법상의 친생자추정 규정으로 인해 복잡한 법적 절차를 거쳐야만 ‘아버지’로서 자녀의 출생신고를 할 수 있다. 수개월에서 1년이 넘는 기간의 소송이 완료될 때까지 아이를 미등록 상태로 양육하며 양육자로서 어떠한 지원도 받지 못한 채 사각지대에 놓이게 되는 미혼부들은 자녀의 양육을 포기하거나, 미등록 상태로 양육하거나, 값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언제 끝날지 모르는 소송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을 마주한다. 아동의 기본권과 미혼부의 가족구성권 및 자녀에 대한 법적 권리를 침해하는 문제가 심각함에 따라 미혼부에 대한 최근의 논의들은 ‘미혼부 문제’를 ‘미혼모 문제’와 같은 사회복지 차원의 문제와 법리적인 문제로 접근하면서 지원제도 마련 및 법률 제/개정 방안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본고는 미혼부의 경험과 관련 법·제도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미혼부를 미혼모와 같은 층위에 있는 사회적 범주로 접근하거나, 표면적인 법률 조항 개정에 집중하는 것이 미혼남성의 재생산이 규범적인 ‘가족’ 구성의 원리에서 특정한 법적·사회적 위치에 놓이는 지점을 포착하기 어렵게 한다고 본다. 미혼부는 여성과의 위계적인 관계에서 가족의 대표자이자 권위자로서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남편-아버지를 중심으로 가족 규범을 재생산해온 가족법의 역사적 맥락에서 잔여적인 범주로 양산되는 존재다. 미혼부 문제는 아동의 기본권 문제와 맞닿아 있기도 하지만 가족-부성-모성에 대한 자연화된 믿음 및 통념의 허구성과 제도화된 형태의 부계주의적 가족질서의 역설적인 지점을 드러내는 정치적 장(site)이라는 점에서 여성학적 관점에서 면밀히 분석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미혼부가 어떤 존재로 의미화되어 왔는지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범주로서의 미혼부의 특정한 맥락과 의미를 탐구하고, 미혼부 문제에 대한 사회적·법적 논의가 출생신고 제도 개선 등 표면적인 법률 제/개정에 집중되어 있는 것에 비판적으로 개입하여 미혼부 문제를 ‘가족관계’에 대한 통념과 질서, 자연화된 믿음을 변혁시킬 수 있는 문제로 정치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가족법에 대한 여성학적 논의를 기반으로 삼아 미혼부가 한국사회의 역사적 맥락에서 어떠한 존재로 위치 지어져 왔는지 분석하고,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2010년대 이후부터 공적인 영역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 미혼부 문제의 쟁점과 구체적인 출생신고 소송 과정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미혼부 단체 ‘A협회’의 지원을 받은 미혼부 가정의 유형별, 사례별 특징을 분석하고, 자녀의 출생신고를 위한 소송을 경험한 미혼부를 심층면접하여 미혼남성이 ‘미혼부’로 위치 지어져 ‘아버지’가 되는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미혼부가 어떠한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맥락에 놓여있으며, 그러한 맥락에서 어떤 존재로 범주화되고 있는지 탐구한다.

      • 한국사회 무연고사망자의 상주되기와 장례실천을 둘러싼 가족정치

        이소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ttempted to critically intervene in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phenomenon of ‘increasing number of the unclaimed deaths' by analyzing the process of dividing the boundaries surrounding institutional relatives in Korean society. This is because the phenomenon of "increasing number of the uncalimed deaths” is reproduced as a natural result of dying alone amid a discourse that emphasizes how many deaths are "abandoned” by their family. However, in this discourse, the situation in which the concept of the institutional relatives which defines the category of the unclaimed dead is narrowly defined only by kinship based on blood ties and marriage does not become a problem for discussion that needs analysis. For this reasone, the process of continuously producing the category of the unclaimed deaths, who cannot be explained as a natural result of dying alone, becomes invisib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osition the phenomenon of "increasing number of the unclaimed deahts” as institutionalized death created by a social structure based on direct-centered normal familyism by introducing the category of the institutional relatives through the Korean funeral law.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 in-depth research,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using the site where the public funeral of the unclaimed dead people was held as the specific object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itutional meaning of the relatives means "a person who manages the body and cemetery of the deceased”, and this concept of instituional relatives was characterized by the premise of a hierarchy between the“universal”and the “remaining” relativ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tatus of the“universal” relatives worked with the management/intervention of the “family” who refused/avoided the acquisition of the body. Above all, based on the economic support ability of the“family” who gave up the body, the boundary between the “family that abuses the welfare system” and the“family that properly uses the welfare system” was being produced. Second, the category of "remaining” relatives creat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boundaries of institutional connectors was filled by "Sang-Ju(상주; 喪主) of the unclaimed” who wanted to manage the funeral of the deceased at a cultural and practical level. This category of‘Sang-Ju of the unclaimed' consisted of three levels: cohabitation-based living partners, loose caring communities, and mutual aid i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ommon thing that penetrated all levels of these ‘Sang-Ju of the unclaimed’ wa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route through which the deceased's funeral was actually rejected. This is because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relatives in funeral law is supported in the relationship with normative familism based on the medical/administration/judicial/welfare system. Third, those who arrived at the public funeral ceremony were performing to be ‘Sang-Ju of the unclaimed’through interaction with the ritual culture created by the system called the Public funeral institution. Time for "reading a condolences” is the most “general”practice of being‘Sang-Ju of the unclaimed’through participation in public funerals. And in addition, there were active ‘Sang-Ju of the unclaimed’ who "prepared” for participation in the ceremony. However, in the case of ‘Sang-Ju of the unclaimed’, it was often revealed as a segmented experience that it was impossible to take over the remains through an public funeral ceremony, given that the right to take over the remains "unconditional”after the cremation process was completed. As a resul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s the social pathway in which the unclaimed deaths is created in Korean society, placing the phenomenon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unclaimed deaths in the context of institutionalized familism, not the natural result of dying alone. And what can be seen from this is that the problem of normal familyism in Korean society does not end at the same time as the death of an individual, but is more systematized/strengthened after the death of an individual. However, the reality of strengthening normative familism paradoxically allows us to think about how unstable and vulnerable the category of institutional relatives is. In this context, this study's proposal goes beyond the revision of the funeral law in Korean society. For this reason, this paper calls the core of the enactment of the Comprehensive Relationship Registration Act can be achieved as expanding the scope of discourse such as the "Partnership Act” and "Relations Act.”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제도적 연고자를 둘러싼 경계가 구획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증가하는 무연고사망자’라는 현상을 둘러싼 담론에 비판적으로 개입하고자 했다. 얼마나 많은 무연고사망자들이 연고자에게 ‘버림 받았는지’를 강조하는 담론 속에서 ‘증가하는 무연고사망자’라는 현상은 고독사의 당연한 결과로 재현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담론으로는 애초에 무연고사망자를 규정짓는 연고자의 개념이 혈연과 혼인에 기초한 직계가족만으로 협소하게 정의되는 상황은 분석이 필요한 논의의 대상으로 문제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담론으로는 애초에 무연고사망자를 규정짓는 연고자의 개념이 혈연과 혼인에 기초한 직계가족만으로 협소하게 정의되는 상황은 분석이 필요한 논의의 대상으로 문제화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고독사의 당연한 결과로 설명할 수 없는 무연고사망자의 범주가 계속적으로 생산되는 과정은 비가시화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장사제도를 통해 연고(자)라는 범주가 도입되고, 배타적인 경계가 구획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증가하는 무연고사망자’라는 현상을 직계중심의 정상가족주의에 기초한 사회구조가 만들어내는 제도화된 죽음이라는 차원으로 위치 짓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무연고사망자의 장례식이 이루어지는 현장을 연구의 구체적인 대상으로 삼아, 참여관찰법과 심층연구 그리고 문헌조사에 기반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고(緣故)의 제도적인 의미는‘망인의 유체와 묘지를 관리하는 자로서 제사주재자’를 뜻하며, 이러한 이러한 연고개념은‘보편적’연고자와 ‘나머지’연고자 사이의 위계를 전제로 구성되는 특징을 보였다. 그런데 이처럼 ‘보편적’연고자의 지위는 시신인수를 거부/기피한‘가족’에 대한 관리/개입과 함께 작동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시신을 포기한 ‘가족’의 경제적 부양능력을 기준으로 하여 공영장례조례라는‘복지제도를 악용하는 가족’과‘복지제도를 올바르게 이용하는 가족’이라는 경계가 생산되고 있었다. 둘째, 제도적 연고자의 경계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나머지’연고자들의 범주는 문화적이고 실천적인 차원에서 고인의 장례를 주관하고자 하는‘무연고 상주'들에 의해 채워지고 있었다. 이러한‘무연고 상주’범주는 동거기반 생활동반자, 느슨한 돌봄공동체, 그리고 지역사회 상호부조라는 세 가지 층위로 구성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무연고 상주’들의 모든 층위를 관통하는 공통점은 실제로 고인의 장례를 거절당하게 된 경로의 구성과정이었다. 장사법의 제도적 연고개념이 실제로 현실에서 적용되어 작동되는 과정은 의료/행정/사법/복지 등의 영역이 근간으로 하는 정상가족주의와의 관계 속에서 뒷받침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셋째, 무연고공영장례식에 도착한 ‘무연고 상주'들은 공영장례조례라는 제도가 만들어낸 의례문화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주되기를 수행하고 있었다.‘조사 낭독’시간은 공영장례 참여를 통한 상주되기의 가장‘일반적인' 실천이며, 이에 더하여 고인예식의 참여를 미리‘준비’하는 적극적인‘무연고 상주’들도 존재했다. 그러나‘무연고 상주’들의 경우, 화장절차가 모두 종료된 이후에 ‘무조건적으로' 유골을 인수할 권리를 주장할 수 없다는 점에서, 무연고장례식을 통한 상주되기는 유골인수의 불가라는 분절된 경험으로 드러나곤 했다. 유골을 인수받기 위한 ‘유일한’기회는 보건복지부 장사업무를 통한 장례주관자 지정의‘사전 신청’이지만, 이러한 절차를 실제로 현실화하는 과정은 지속적인 협상과 갈등에 기반한 인정투쟁의 연속이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무연고라는 죽음이 만들어지는 사회적 경로를 밝혀냄으로써, 무연고사망자의 증가라는 현상을 고독사의 당연한 결과가 아니라 제도화된 가족주의라는 맥락에 위치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한국의 사회구조를 작동시키는 원리로서 정상가족주의의 문제가 개인의 죽음과 동시에 끝나는 게 아니라 개인의 죽음 이후에 더욱 체계화/강화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이렇게 정상가족주의가 강화되는 현실은 역설적으로 제도적 연고(자)의 범주가 얼마나 불안정하고 취약한지를 생각해보게 해준다. 오히려 혈연/혼인에 근거한 연고(자)를 구성하는 사회적 신념체계야말로 이토록 강력한 규제와 차별, 그리고 배제가 없이는 유지되기 어려운 것이다. 그리고 제도적 연고자이길 포기한 ‘가족’들이나 ‘무연고 상주’들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불인정의 문제가 심화되는 현상은 그만큼 이들의 존재가 장사법 상 보편적 연고(자)의 무의미함/허구성을 가장 직접적으로 폭로할 수 있는 위협적인 존재라는 점을 생각해보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가 제언하고자 하는 바는 장사법이라는 개별법률의 개정을 넘어선 포괄적인 가족구성권담론의 확장으로, 이 같은 포괄적 관계등록법의 제정의 핵심은 섹슈얼리티에 기초한 커플관계의 권리보장이슈를 중심으로 발전해온‘생활동반자법’, ‘관계법’등의 담론의 외연을 확장시킴으로써, 더욱 느슨하고 새로운 층위의 연대관계를 차별 없이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고 볼 수 있다.

      • 동일한 에너지절감조치에 대한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과 LEED 친환경 건축물 인증의 에너지 성능 비교분석

        정석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내외 인증 간의 건축물 에너지 성능 평가도구와 평가방식이 상이하다 보니 국내 건축물이 법령에 따라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을 득하고 동시에 국제 친환경 건물인증을 득하려고 할 때 인증 기준에 따라 에너지절감조치에 (Energy Efficient Measure: EEM) 따른 에너지 성능이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과 LEED 인증을 득한 실제 건축물을 대상으로 동일한 에너지절감조치를 적용하였을 때 두 인증방식에 따른 정량적인 에너지 성능 평가를 진행하고 어떤 에너지절감조치가 어떤 인증에 더 유리한지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그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외벽 및 창호 단열성능 개선 사항에서는 두 인증 모두 성능개선이 뚜렷하지 않았고, 창면적비 조정에 따른 에너지 증감량은 두 인증 모두 유사하였다. 2) 조명밀도 저하, 고효율 터보냉동기, 변유량 펌프 운전, 변풍량 공조기 운전: 두 인증 모두 1차 에너지소요량이 줄어들었다. 3) 흡수식 냉동기 적용, 외조기 삭제: 두 인증의 결과가 반대로 도출되었다. 4) 지열히트펌프, 연료전지: 정책에 의한 신재생에너지 보정계수 적용 여부에 의해 결과가 반대로 도출되었다. 5) 태양광 시스템: ASHRAE Standard 90.1 에너지 성능평가에서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성능평가보다 에너지 소요량 절감량이 더 크게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과 LEED 인증을 획득하려는 건물에서 적절한 에너지절감조치를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s evaluation tools and methods for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BEER) are different from those for international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uch as LEED, the performance of the same energy efficient measure for the same building can differ significantly per certification.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what energy efficiency measures are more advantageous for which building energy performance certification, by evaluating primary energy savings of the measures that are applied to a real building who is already certified by BEER and LEED.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required insulation and air-tightness of building envelope over the last decade have already been in a high standard and clients would not willingly agree on smaller fenestration ratio, the reduction of energy demands by building envelope measures seems not be easily obtainable. Therefore, installing high-efficiency HVAC&R systems and introducing renewable energy systems would be a more effective strategy for both BEER and LEED. Specifically, efficient HVAC&R systems and PVs are more advantageous to achieve LEED credits. However, ground source heat pumps and fuel cells have led to less LEED credits, while they are more advantageous to raise the BEER grade.

      • 임신거부증 담론에서 나타나는 ‘비정상적’ 재생산 경험의 구획

        손의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concept of ‘denial of pregnancy’ is based on normative motherhood and to claim the necessity of renaming this term as a ‘late recognition of pregnancy’. When woman is not aware of her pregnancy until 20 weeks of gestation, this situation is categorized as a denial of pregnancy by medical experts. This type of pathologization assumes that ‘normal’ woman can realize her pregnancy at a certain point and the criteria of normality in this explanation is established by normative motherhood. The discourse around denial of pregnancy represents an experience of late recognition of pregnancy as a result of immaturity and lack of maternal instinct. To criticize pathologizing particular reproductive experience, this research focuses on a process of constructing the category of denial of pregnancy and makes an attempt to place this issue in line with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rights(SRHR).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before the concept appeared, the case of woman who didn’t recognize her pregnancy was shown in the news reports of neonaticide and abandonment of baby. Henceforth occurred medicalization of pregnancy and this made an experience of late recognition of pregnancy as an ‘abnormal’ pregnancy experience. With the Expanding boundaries in psychiatry, an attempt was made to explain this abnormality in medical theory. Second, denial of pregnancy is being reproduced as an experience of 'abnormal' pregnancy according to the maternal norm. The Korean mass media reproduces this term as a psychosis and a cause of crime. This kind of representation is rooted in a discourse that regards the lack of maternal love as abnormality. The influence of these discourses is also reflected in the attitude of the judiciary to punish neonaticide and abandonment of newborns. Third, the experience of late recognition of pregnancy reveals the influence of normative motherhood on the interpretation of reproductive experiences and shows that the experience of 'denial of pregnancy' cannot be explained by the framework of disease and crime alone. According to maternal norms, women interpret their experience of late recognition of pregnancy as abnormal. This makes women establish strategies for achieving normality. But at the same time, their experiences expose the contradiction of normative ideologies of motherhood. This study places a concept of ‘denial of pregnancy’, which has been used only as a medical term, as an extension of the discussion of women's reproductive rights. As the experience of late recognition of pregnancy has been subsumed into the realm of a disease, it has only been discussed in a medical field. Due to this, the way how the concept pathologizes specific pregnancy experience has not been criticized enough. This thesis demonstrates that denial of pregnancy as a medical term has been constructed by conforming to motherhood standards. It also allows to intervene in present social structure that imputes all responsibility for crime to women and emphasizes an existence of possible health risk caused by late recognition of pregnancy. Furthermore, by insisting on reconceptualizing the phenomenon as 'late recognition of pregnancy', this research released a new fissure in the existing discourse which has been codified late recognition of pregnancy as abnormal-problematic experience. 본 연구는 ‘과학적’ 지식으로 받아들여져 온 임신거부증이라는 개념이 기존의 모성 규범에 따라 특정한 재생산 경험들을‘비정상’으로 분류하고 있음을 드러내고, 이러한 담론에 문제를 제기하기 위해 해당 현상을 ‘늦은 임신 인지’로 명명할 것을 주장한다. 의학 담론 안에서 늦은 임신 인지의 경험은 임신거부증이라는 질병으로 개념화 되었다. 이러한 병리화는 ‘정상적’인 여성이라면 초기에 임신 사실을 인지할 수 있음을 전제로 하는데, 이 때 ‘정상’의 기준은 규범적 모성에 대한 기존의 문법을 따르고 있다. 임신거부증을 ‘미성숙’하며‘모성애가 결핍된’ 개별 여성의 ‘비정상적인 경험’으로 재현하는 현재의 담론 구조 속에서, 임신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예기치 못한 출산을 경험하는 것은 범죄 혹은 질병으로만 설명된다. 때문에 이것이 야기할 수 있는 건강상의 위험이나 법적 처벌의 가능성은 여성 개인의 책임으로 전가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임신거부증이라는 개념이 구성되는 과정과 이것이 재현되는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여성의 성과 재생산권이라는 문제의 일부로 위치시키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신거부증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기 이전, 임신 사실을 알지 못하는 상황은 영아살해 및 유기 사건을 보도하는 과정에서 포착되어 왔다. 이후 임신의 의료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임신 사실을 늦게 인지하는 것은‘비정상적’인 임신 경험의 경계 내부로 포섭되었으며, 정신의학의 외연이 확대되면서 이러한 비정상적 경험을 병리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가 등장했다. 영아살해, 혼외 임신, 10대 임신 등의 경험은 의학적 분석이 필요한 문제로 간주되었으며, 이 때 늦은 임신 인지는 ‘문제적’재생산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그 결과 늦은 임신 인지의 경험은 여성의 정신적 미성숙함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변화하였다. 임신거부증이 의학 체계 안에서 자리를 잡아감에 따라 이는 은폐와 거부라는 서로 다른 개념으로 분화되었으며, 의학 전문가들은 생물학으로 성차를 설명하고 모성을 여성의 본능이라고 주장해 온 서구 의학 담론의 논리를 사용해 임신거부증을 기존의 질병 범주 안으로 삽입시키고자 하였다. 여성이라면 자연스럽게 임신 사실을 받아들이고 태아에 대한 애정을 가져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이는 ‘정상적’인 재생산에 실패한 것이라는 의학 분석에 따라 임신거부증은 거부와 은폐로 구분되었으며, 하나의 ‘장애’로 규정될 수 있었다. 둘째, 임신거부증은 모성규범에 따라 ‘비정상’적인 임신의 경험으로 재현되고 있다. 한국의 언론은 임신거부증을 정신병과 범죄의 원인으로 재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현의 바탕에는 모성애의 결핍을 ‘비정상’으로 간주하는 담론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담론의 영향력은 영아 살해 및 유기를 처벌하는 사법부의 태도에서도 드러난다. 모성규범이 임신거부증을 규정하는 핵심적인 기준이 되고 있음은 방송 프로그램의 재현에서 또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20주 이후 임신 사실을 인지했다는 동일한 임신의 경험은 ‘정상적 모성애’의 발휘 여부에 따라 황당한 사건 또는 임신거부증으로 서로 다르게 재현되었다. 태아에게 위해가 가해졌을 때에만 임신거부증이라는 명명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은 늦은 임신 인지 경험의 병리화가 모성 규범에 기반해 이루어지며, 임신거부증 개념의 핵심이 임신 인지 시기가 아닌 태아의 생명 보호에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현실의 늦은 임신 인지 경험은 모성 규범이 재생산 경험의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드러내고, ‘임신거부증’에 해당하는 경험이 질병과 범죄라는 틀 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여성들은 모성 규범에 따라 자신의 늦은 임신 인지 경험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해석하며 정상성 획득을 위한 전략을 만들어 낸다. 동시에 이들의 경험은 이러한 담론이 재현하고 있는 ‘정상적’임신 경험이라는 것의 허구성을 드러내며 내부의 모순들을 지적할 수 있게 만든다. 과학적 모성이라는 이데올로기 아래 임신 사실을 늦게 아는 것은 어머니로서의 자질 부족을 의미하게 되었으며, 늦은 임신 인지는 비정상적인 것으로 규정되어 왔다. 때문에 연구 참여자들은 정상 범주로의 포섭을 위해 자신이 모성 규범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증명하고자 했다. 이들은 늦은 임신 인지를 자신의 잘못으로 돌리거나, 원치 않는 임신의 경험을 부정하고 임신거부증 개념과의 거리 두기 등의 전략을 통해 정상 범주로의 편입을 시도한다. 또한 모성 규범은 임신거부증을 특정한 방식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재생산 경험에 우열을 부여한다. 그러나 늦은 임신 인지의 경험은 그 자체로 모성 규범이라는 것이 얼마나 허구적인지를 보여주며, 정상과 비정상의 이분법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연구참여자들의 이야기는 담론이 부여한 경험 간의 위계질서를 무너뜨린다. 본 연구는 지금껏 의학적 개념으로만 사용되어 온 임신거부증을 여성의 재생산권이라는 논의의 연장선 상에 위치시키며, 해당 현상에 대한 새로운 명명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늦은 임신 인지의 경험이 ‘임신거부증’이라는 질병의 영역으로 포섭되면서 이는 오로지 의학적 차원에서만 다루어졌으며, 해당 개념이 특정한 재생산을 병리화하는 방식에 대한 비판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의 분석은 단순한 가십이나 반인륜적 범죄로만 다루어져 온 임신거부증이 사실은 기존의 모성 규범에 의해서 구성되었음을 드러내며, 늦은 임신 인지로 발생하는 문제를 여성 개인의 몫으로 돌리고 있는 현실에 개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현상을‘늦은 임신 인지’로 재개념화 할 것을 주장함으로써 임신을 인지하는 시기는 여성들 마다 다를 수 있으며 재생산 경험이라는 것이 모두에게 같지 않음을 보여주고,‘임신거부’의 경험을 특수화 하고 타자화 해온 기존 담론에 균열을 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