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유학기제 요인분석과 수업모형 개선방안 연구 : 수학과목의 수업방법 및 자율과정중심으로

        남성우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자유학기제를 통해 학교교육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이고 있는 수업방법과 자율과정 운영에 대하여 몇몇 학교들의 의견을 제시하고 자유학기제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개선점을 분석하여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하여 수학교과 수업방법과 자율과정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The ways to support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free-learning semester is proposed as the math teaching method, based on constructivism, and operational plans for curriculum autonomy will be instituted after having reviewed the process and results of other schools’ free-learning semester, which will bring changes in education and also curriculum autonomy as a whole.

      •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문항 분석 : 수학B형을 중심으로

        김용운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육을 받기 위해 필요한 내용과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문항을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용영역에서 46단원 중 18단원은 매년 한 문제 이상 출제되었고, 행동영역에서 이해 능력의 문항 수는 증가하고 문제해결 능력의 문항 수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이공계 진학을 위해 수학영역을 대비하는 학생들은 주요 단원과 이해, 문제해결 능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In thesis, we analyzed mathematics area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tems in the content domain and behavior domain to identify the contents and level necessary to receive a college education. 18 of the 46 sections in the content domain have been every year more than one question and the number of comprehension questions wa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the problem-solving skills questions was decreased in the behavior domain. Therefore, students who prepare mathematics area in order to enter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need to focus on the main sections, comprehens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 비대면 대학수학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안 연구 : 대학교 미분적분학1 수업을 중심으로

        안진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2020년부터 COVID-19로 인하여 대부분의 학교에서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됨에 따라, 효율적인 비대면 교수학습법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 수학과목의 대면수업 경험 유무에 따라 ‘수업활용, 수업방식선호, 시험, 질문, 배속, 판서, 과제, 효과’등을 요인으로 한 비교ㆍ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교 수학과목의 대면수업 경험이 있는 학생 집단의 경우, 대면수업 경험이 없는 학생 집단의 경우 그리고 두 집단이 섞여 있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효율적인 대학교 수학과목 비대면 교수학습방안을 제안한다. As most schools switched to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from 2020, the needs to develop effective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merge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factors such as ‘class utilization, preference for teaching methods, test, question, video speed, professor's writing, assignment, effec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offline classes in university mathematics courses. With this, I propose an effective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university mathematics subjects suitable for a group of students with offline class experience in a university math class, a group of students without offline class experience, and a mixture of both groups.

      • 역사-발생적 원리에 따른 교과구성 : 수Ⅰ 로그 단원에 대하여

        심은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Logarithm is one of the contents that have been taught formally i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But pedagogical problem come from the fact that such a deductive approach can hardly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logarithm.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riticisms about the deductive approach of the school mathematics and the historico-genetic approach which has been presented as an alternative from 18th century, and we tried a didactical analysis about the concept of logarithm. And we developed a lesson plan based on the historico-genetic approach and the content of the current textbooks.

      • 비고츠키 이론을 활용한 지도방안연구 : 수열의 극한 단원을 중심으로

        김균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Vygotsky's Zone of Promaximal Development (ZPD) is an important principle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paper, I studied the teaching method for Mathematics education using the Vygotsky's Zone of Promaximal Development (ZPD) Moreover, I suggest the useful teaching method such as guide line of the lecture focused on[limit of the sequence ] using the Vygotsky's Zone of Promaximal Development. 비고츠키의 ZPD 이론은 수학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원리이다. 이 논문에서는 비고츠키의 ZPD이론을 이용한 교수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수열의 극한 단원을 중심으로 비고츠키의 이론을 접목한 학습지도안을 제안하였다.

      • 역사 발생적 원리를 활용한 기하와 벡터 교과서의 재구성 : 일차변환 단원과 이차곡선 단원을 중심으로

        김인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Mathematics was not in its complete form from the beginning, but it was axiomatized through verification and reconsideration of errors present in suggested hypotheses. The current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places focus on finding principles to generalize mathematics teaching, thereby making the concept more elaborate and more holistic rather than allowing for a developmental process of acquiring mathematics knowledge. The result of this all-inclusive approach to mathematics is that the student has to face the topic as a complete subject and may have difficulties in accessing it. In this thesis, I restructure the high school second-year text “Geometry and Vector” by following the histo-genetic principles suggested and developed by Freudental, Klein and Polya in the 19th century.

      • 이공계 대학 신입생의 수학 기초학력과 대학입시제도 관련 연구 : 미분적분학1 교과목을 중심으로

        김재웅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mathematical capability is very important to the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freshmen, and there are many consideration for the guidance of the non-enough mathematical ability students. In this point of a view, we study the system of entrance examination policy of the university including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the curriculum of the calculus including pre-calculus subject. We also analyse the record of the calculus 1 of the freshmen of the Kyung Hee University related the system of the entrance examnation. Finally, we suggest the desirable system of entrance examination policy of the university for the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unit.

      • 제 4차 산업혁명과 중ㆍ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 한국, 일본 그리고 싱가포르 중심으로

        장요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the role of mathematics has become incredibly important.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human resource in mathematics required by our future societ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omposit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by exploring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the 2017 Curriculum Guidelines of Japan, and the 2020 Mathematics Syllabuses of Singapore, focusing the areas of industrial mathematic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tents and advantages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Japan and Singapore, then suggests direction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s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수학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수학 인재를 육성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2017 학습지도요령, 싱가포르의 2020 Mathematics Syllabuses를 분석하여 수학과 교육과정 구성을 살펴보고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산업수학 분야를 중심으로 비교 및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과 싱가포르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장점을 알아보고, 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우리나라 중ㆍ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