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학교생활만족도

        김승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신체적 ‧ 정신적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 중학생을 대상으로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 중학생 총 330명을 대상으로 운동행동변화단계(김병준 등, 2004), 신체적 자기개념(김병준, 2001), 류동훈(1999), 박래근(2005) 등의 연구에 사용된 학교생활만족도 등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성실히 응답한 30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중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운동행동변화단계를 알아보기 위해 χ²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중학생들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학교생활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sheffe test를 사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운동행동변화단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실천, 유지단계의 비율이 높았고,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무관심, 관심, 준비단계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운동행동변화단계가 높은 단계일수록 남학생의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을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운동행동변화단계가 높은 단계일수록 모든 요인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 운동행동변화단계가 높은 단계일수록 체지방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학교생활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운동행동변화단계가 높은 단계일수록 모든 요인에서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들이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경우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 중 신체 전반이, 여학생의 경우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 중 외모가 학교생활만족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운동행동변화단계에 차이를 보였고, 운동행동변화단계가 상승할수록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아졌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이 상승할수록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중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활동으로 인한 운동행동변화단계 상승으로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의 상승효과로 이어져 중학생의 신체적 ‧ 정신적 건강을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to improve and maintain adolescen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30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with questionnaires including school life satisfaction that were previously used in earlier studies regarding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Kim Byung-joon et al., 2004) and physical self-concept(Kim Byung-joon, 2001) and other studies conducted by Ryu Dong-hoon(1999) and Park Lae-keun(2005). And a total of 306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The SPSS Statistics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while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χ²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depending on sex of middle school student while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and moreover, the Scheffe test was used for post-hoc test.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shown below. Firstly, the analysis result of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depending on sex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at male student had a higher proportion of action stage, maintenance stage than female students. On the contrary, the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proportion of precontemplation stage, contemplation stage, preparation stage in comparison to the male students; the higher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the male student’s proportion were higher than the female students. Secondly, the analysis result of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discovered that the higher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the male students were likely to have physical self-concept in every factor. For female students, the higher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they were likely to have physical self-concept in all factors except body fat factor. Thirdly, the analysis result of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showed that the higher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high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all factors. Fourthly,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t revealed that sub-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significantly affected; especially, the whole body and appearance among the sub-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most affected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for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To sum up the research findings, there was difference in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depend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ex and moreover, the higher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higher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s the physical self-concept increased, i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which means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varied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Therefore, as the increase of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due to the physical activity led to an increase in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t’s expected to see the middle school studen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ccordingly.

      • 자기암시 중재가 운동의 지속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고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참여자가 많아지고 있으나 중도에 포기하는 인원이 증가하고 현 시점에서 운동참여자들의 자기암시를 알아보고, 운동지속시간과 정서에 어떠한 변화와 운동 변화단계별로의 특성을 파악하여 생활체육참여자에게 자기암시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지속적인 운동참여를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김병준(2006)이 운동변화단계 질문지를 통하여 연구 참여자들은 무관심, 관심, 준비, 실천, 유지단계의 다섯 단계집단 중 무관심/관심, 준비, 실천/유지단계로 세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긍정적, 부정적 정서를 알아보기 위하여 Watson, Clark(1994)이 개발하고 이강헌, 김병준, 안정덕(2004)이 수정 보완한 한국판 긍정적, 부정적 정서질문지(PANAS-X)를 사용였으며, 개인별의 운동 강도로 맞추어 측정하기 위하여 Noble & Noble(1998)이 개발한 주관적 운동 강도 척도(RPE)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을 이용하여 자기암시 중재 전과 후의 운동지속시간, 긍정적인 정서, 부정적인 정서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세 집단에서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 지속시간이 증가하였으며, 세 집단 중 무관심/관심단계에 속한 집단이 더 지속시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암시 중재 전과 후 긍정적인 정서는 증가하고, 부정적인 정서는 감소하였으며, 세 집단 중 준비단계에 속한 집단이 더 많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암시 중재 전 연구 참여자들의 집단별 질적연구 결과 무관심/관심단계에 속한 집단은 부정적인 자기암시와 구체적이지 않은 자기암시를 사용하며, 준비단계에 속한 집단은 구체적이지 않으면서 단기적인 자기암시를 사용하고, 실천/유지단계에 속한 집단은 구체적이면서 단기적인 목표와 장기적인 목표의 자기암시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자기암시 중재 후 인터뷰내용에서는 분석은 전문가 협의를 통해 내용 분석과 타당도를 알아본 결과 무관심/관심단계에 속한 집단은 기분상승과 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끈기를 느꼈고, 준비단계에 속한 집단은 목표달성과 목표설정, 부정적인 정서보다 긍정적인 정서를 더 많이 느꼈으며, 실천/유지단계에 속한 집단은 고강도 운동에도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느낌과 지속적으로 운동을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llow participants of sports for all to recognize importance of self-suggestion and to induce continuous participation in exercise, by examining exercise participants' self-suggestion and grasping on which change there is in exercise duration time and emotion, and on the characteristics by exercise behavior change stage, at the point of time that people grow who give up in the middle even if exercise participants are getting larger. Through questionnaire of exercise behavior change stage by Kim Byeong-jun(2006),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three groups with indifference/interest, preparation, practice/maintenance stage out of five-stage group in indifference, /interest, preparation, practice, and maintenance stage. To examin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Korean-version PANAS-X was used that was developed by Watson, Clark(1994) and was modified to be supplemented by Lee Gang-heon, Kim Byeong-jun, and Ahn Jeong-deok(2004). To measure in line with exercise intensity by individual, RPE(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developed by Noble & Noble(1998)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exercise duration time before and after self-suggestion intervention and a change i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by using SPSS 17.0. As a result, the duration time after intervention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intervention in three groups. Among three groups, the group of belonging to indifference/interest stage was indicated to have more effect on duration time. Positive emotion before and after self-suggestion intervention increased. And, negative emotion reduced. Among three groups, the group of belonging to preparation stage was indicated to have more effect. Also, as a result of research participants' group-based qualitative research before self-suggestion intervention, it was surveyed that the group of belonging to indifference/interest stage uses negative self-suggestion and unspecific self-suggestion, that the group of belonging to preparation stage uses unspecific self-suggestion and short-term self-suggestion, and that the group of belonging to practice/maintenance stage uses self-suggestion, which is specific, short-term goal, and long-term goal. Also, in the analysis of interview contents after self-suggestion interven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ent analysis and validity through expert consultation, the group of belonging to indifference/interest stage felt a mood elevated and the tenacity available for continuously exercising. The group of belonging to preparation stage felt more positive emotion than negative emotion in goal achievement and goal establishment. The group of belonging to practice/maintenance stage expressed a feeling available for continuously exercising even in high-intensity exercise and a will to participate in exercise continuously.

      • 운동 지속실천자의 운동행동 변화단계 체험

        장성덕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스포츠 동호회에서 운동을 지속하는 사람들의 운동행동 변화단계의 과정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행동을 살펴보고 스포츠 동호인들이 인지하는 의미와 가치를 심도있게 파악하고 우리나라 스포츠 동호인들의 운동지속실천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는 국민생활체육인천광역시농구연합회에 등록된 클럽에서 활동하는 회원들 중, 운동행동 변화단계 질문지(이강헌, 김병준, 안정덕, 2004; Marcus 등, 1992)를 통해 ‘유지단계’의 상태에 있는 동호인 6명을 연구참가자로 선정하였다. ‘유지단계’의 상태에 있는 동호인 6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포커스집단 면접(focus group interview)과 개인별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여 ‘유지단계’의 상태에 이르게 된 과정과 단계유지, 단계향상에 관여하는 지속요인과 방해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모형화 하였다. 질적자료 분석의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타당도를 높이도록 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삼각 검증법(triangulation), 참가자 확인(member check), 전문가 협의(specialist meeting)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관심단계와 관심단계에 있는 참가자 중 대부분은 과거(학창시절)에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는 참가자들이 대부분이었으며 이는 동호회에 가입하는데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직접적인 계기로는 주변인(친구, 직장동료)에 의함이 대부분이었다. 이 중 내적동기가 높은 참가자는 팀 분위기가 빈약할 때에도 이를 풍부한 분위기로 바꾸기 위해서 팀원에 대한 격려나 칭찬을 빈번하게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풍부한 분위기는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준비단계에서는 팀원과 지지적인 관계를 갖게 되는 경우에는 운동실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반대로 부정적인 관계는 운동포기라는 극단의 결과를 나타내기도 했다. 준비단계에서는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팀원이나 운영자 또한 풍부한 분위기를 만들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천단계와 유지단계에서는 운동으로 인해 체력증진, 기술향상 등 자신의 신체적이고 기능적인 변화에 많은 관심을 가지며 상당히 안정된 단계였다. 이렇게 운동실천이 안정되는 이유는 반대조건화(부정적인 행동들을 긍정적인 행동으로 대체하는 것), 강화관리(긍정적인 행동변화에 대한 보상은 증가시키고 부정적인 행동에 대한 보상은 감소시키는 것)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긍정적인 심리의 변화는 직장과 가정에서도 긍정적이고 능동적으로 생활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 중.고등학교 체조선수의 자기관리와 심리기술의 관계

        박희억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 문 초 록 중·고등학교 체조선수의 자기관리와 심리기술의 관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박 희 억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체조선수의 자기관리와 심리기술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하여 대한체조협회에서 주관하는 ‘2018 전국 종별선수권 체조대회’에 출전한 중·고등학교 선수 165명을 모집 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편의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 자기관리 척도는 허정훈(2003)이 개발한 운동선수 자기관리 설문지(ASMQ)를 사용하였고, 심리기술은 김병준, 최마리(2017)가 개발한 스포츠 수행전략검사2(TOPS2)를 설문지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수집된 자료 중 유효한 자료만을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통해 확인하여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연구를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관리와 스포츠수행전략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고 기계체조 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심리기술의 관계를 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급에 따른 자기관리와 심리기술에서 고등학교 선수보다 중학교 선수에게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입상경력에 따른 자기관리와 심리기술에서 입상경력 5회 이상의 선수보다 1~2회, 3~4회 선수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경력에 따른 자기관리와 심리기술에서 운동경력 5년 이상 선수보다 운동경력 1~2년, 3~4년 선수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중·고등학교 체조선수의 자기관리와 심리기술의 관계에서 심리기술의 요인들이 자기관리에 중요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ABSTRACT Relationships Between Self-Management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Skills in Middle and High School Gymnas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ha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Hee-eok Park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management and psychological skill of middle and high school gymnasts. To do so, this study selected 165 middle and high school gymnasts that participated in the ‘2018 National Gymnastics Championships by Type’ organized by the Korea Gymnastic Association as population and selected final study subjects using convenience sampling. As research tools, the study used Athletes’ Self-Management Questionnaire (ASMQ) developed by Jeonghoon Seo (2003) for self-management criterion and modified and improved Test of Performance Strategies 2 on Sports (TOPS2) developed by Byeongjun Kim and Mari Choi (2017) according to this study. Only the valid data from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confirmed the construct validity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hecked the reliability of survey through Cronbach's α to confirm that the survey had appropriate reliability and validity to perform research. The study perform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sport performance strategy and drew the following result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sport performance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gymnasts. First, self-management and psychological skill had more significant impact on middle school gymnasts than high school gymnasts according to school level. Second, self-management and psychological skill according to award history also had a significant result as gymnasts with 1-2 or 3-4 times of awards had more influence than gymnasts with 5 awards or more. Third, self-management and psychological skill according to sports career showed a significant result as gymnasts with 1-2 years or 3-4 years of sports career had more influences than gymnasts with over 5 years of sports career.

      • 스포츠 심리기술훈련에 관한 특수부대원의 인식

        황창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수부대원을 대상으로 훈련, 실전 상황에서 요구되는 심리요인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심리기술훈련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김병준(2003)이 개발한 심리훈련에 관한 운동선수의 인식과 지원방안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정·보완하였으며, 10점 Likert 척도와 폐쇄형 문항,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총 121명의 현역 특수부대원(간부 이상)을 모집하였으며, 비대면 설문 링크를 배포한 후 수거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10점 Likert 척도는 t-검정과, 빈도분석을 구하였고, 폐쇄형 문항은 백분율 분석, 개방형 문항은 귀납적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부대원은 심리기술훈련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훈련, 실전 상황에서 심리요인의 중요도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실전 상황에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파병 경험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특수부대원은 심리기술훈련에 대한 교육 경험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명 중 4.8명 이상이 심리문제를 경험하였으며, 해결 방법으로는 주로 동료와 의논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로 호소하는 문제는 불안, 압박감, 자신감, 긴장 등을 겪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심리요인의 공헌도와 조절 능력에서 격차점수가 높은 것으로는 과감한 판단, 감정조절, 이미지 트레이닝으로 밝혀졌다. 넷째, 특수부대원 88% 이상 심리기술훈련을 희망했으며, 심리기술훈련이 진행된다면 대표적으로 개인적인 방식과 체계적으로 받기를 희망했다. 또한 심리기술훈련 효과에 대한 의문, 상담 비용, 누구를 어떻게 찾아가 받을지에 관한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하였다. 다섯째, 김병준(2003)과 권순우(2022)의 연구에서 스포츠선수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와 특수부대원의 요구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세 집단 모두 훈련, 실전(시합) 상황에서 심리요인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심리기술훈련 요구 또한 비슷한 양상을 추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특수부대원을 대상으로 심리기술훈련이 진행될 때 프로그램의 구성 및 개발과 접근방식에 대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factors required in training and battle for special forces members in Korea, and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A total of 121 active-duty special forces members (military official or more) were recruited and collected after distributing non-face-to-face questionnaire links. For data processing, SPSS 24.0 program was used, t-test and frequency analysis were obtained for a 10-point Likert scale, and percentage analysis was performed for closed questions and inductive categorization was performed for open-ended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pecial Forces members perceived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positively, and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factors in training and battle situations was found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by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battle situation, and no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dispatching troop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pecial forces members had very little educational experience in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and more than 4.8 out of 10 experienced psychological problem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olution was mainly to discuss with colleagues.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 problems were anxiety, pressure, confidence, and tension. Third, bold judgment, emotional control, and image training were found to have high gap scores in the contribution and control ability of psychological factors. Fourth, more than 88% of special forces members wanted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and if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was conducted, they hoped to receive it in a personal and systematic way. In addition, a lot of information was needed on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the cost of counseling, and who to go to and how to receive it. Fifth, in the study of Kim(2003) and Kwon(2022),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sults of a survey on sports players and the demands of special forces members, in all three groups, psychological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raining and actual battles(competi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quest for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also pursued a similar pattern. The results reveal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on the composition, development, and approach of the program when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is conducted for special forces members.

      • 중학생의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학습된 무기력과 자기인식

        서유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신체활동, 학습된 무기력, 자기인식의 관계를 밝혀 학습된 무기력을 경험하는 학생들에게 신체활동을 권장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ACSM(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과 미국 ‘연방의무감(Surgeon General)'의 권고사항에 근거하여 중등도 강도 운동을 신체활동이라고 정의하였으며, 학습된 무기력은 일상생활 전반에서 느끼는 무기력감으로 지속적인 실패경험으로 노력을 시도조차 하지 않는 상태로 정의하였다. 자기인식은 스스로 상황을 극복한다는 믿음인 자기효능감과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신체적 자기개념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중 자아정체감 시기에 해당하는 중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층화표집법을 이용하여 인천시 소재 5개 중학교 남녀 중학생 119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로 신체활동의 측정은 한국 청소년 신체활동 설문지(KYPAQ)를 사용하였고, 학습된 무기력의 측정은 신기명(1990)이 개발한 학습된 무기력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기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김병준(2001)이 개발한 신체적 자기개념 질문지(PSDQ)와 김아영(1997)이 개발한 자기효능감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 배포 후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신체활동의 수준이 높았으며, 학습된 무기력은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인식 중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도 전체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아 남학생이 더 긍정적 자기인식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중학교 3학년이 1, 2학년 보다 신체활동 수준이 낮았으며, 학습된 무기력도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인식 중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은 1학년이 다른 학년 보다 전체적으로 긍정적 자기인식을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신체활동에 따른 학습된 무기력이 신체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되고 있기 때문에 학습된 무기력의 감소는 신체활동 실천일과 관계가 있다. 신체활동에 따른 자기인식 중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 모두 신체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즉 긍정적 신체 자기개념의 형성, 높은 자기효능감은 신체활동 실천일과 관계가 있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학습된 무기력과 신체적 자기개념이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어 학습된 무기력이 높을수록 부정적 신체 자기개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자기존중감 요인이 학습된 무기력을 예측하는데 가장 의미 있는 공헌도를 보이고 있었다. 학습된 무기력 집단에 따른 신체활동과 자기인식의 분석 결과 학습된 무기력이 낮은 집단이 신체활동 수준이 높고, 긍정적 신체 자기개념과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학습된 무기력의 경험은 낮은 신체활동 수준, 부정적 자기인식과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습된 무기력의 감소는 신체활동과 관계가 있으므로 이 연구를 토대로 미래연구에서 신체활동 중재를 통한 학습된 무기력 변화 연구와 신체활동량에 따른 학습된 무기력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신체활동의 실천을 통해 청소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유익한 도움을 제공할 것이라 사료된다.

      •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서 3R 정서조절기법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다니엘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학교폭력예방의 방안의 하나로 실시된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서 남자 중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와 Lauer(2005)의 3R정서조절기법을 실시하여 공격성의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에서 3R정서조절기법이 공격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학교폭력예방의 대안으로 적합한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남자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3R정서조절기법을 적용하는 3R집단과 그렇지 않은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공격성을 비교하였다. 각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참여하는 남자 중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Buss & Durkee(1975)의 적의성 검사의 일부로 된 ‘공격성 진단 검사’와 Murry의 욕구 이론에서 공격 욕구 검사를 참고하여 제작된 황정규(1964)의 공격 욕구 검사를 참고로 하여 허일범(1997)이 재구성한 것을 본 연구의 공격성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오수현, 2013). 또한 3R정서조절기법 시행에 있어 자기점검리스트를 적용하여 개인의 책무성을 더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design)를 실시하였다. 단일 사례분석은 결과 값을 그래프로 표기하기 때문에 처치 효과여부를 판단하는데 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다(김병준, 오수학,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3R 기법이 학생들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ohen’s d값을 사용한 효과크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3R 처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공변량 분석은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독립변수로 하고 3R 기법 처치 이후의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는 공격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즉,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만이 공격성을 감소시키지는 못한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서 3R정서조절기법의 사용이 공격성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즉,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참여하며 3R정서조절기법을 사용하는 방안이 공격성을 감소시켰다. 셋째, 두 집단 간의 공변량분석을 통한 비교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서 3R정서조절기법의 사용이 공격성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서 3R정서조절기법을 사용할 시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의 긍정적인 측면과 더불어 유의한 차이가 없던 공격성까지도 감소시켜 학교폭력예방의 대안으로 적합할 것이라 판단된다.

      • 정구선수가 인식한 자기관리행동의 상대적 중요도

        성상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정구선수가 인식한 자기관리행동의 상대적 중요도 성 상 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본 연구는 정구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과 자기관리행동에 대한 인식과 상대적 중요도에 대하여 전국 남녀 전체 20개 팀(남: 15개 팀, 여: 5개 팀)에 소속된 약 200여명의 선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응답한 103명의 응답 결과를 성, 선수급, 포지션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자기관리행동’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김병준(2003)의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이원비교 분석에 윤영길(2004)의 상대적 중요도 질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초통계치 분석과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정구선수들의 실제 생활에서 나타나는 자기관리행동과 정구선수가 인식하고 있는 자기관리행동 사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자기관리행동 요인 중 정구선수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은 훈련관리, 몸관리, 정신력관리, 생활관리, 대인관계관리, 고유행동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생활에서는 대인관계, 정신력관리, 몸관리, 훈련관리, 생활관리, 고유행동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정구선수의 자기관리행동은 성, 선수급, 포지션 배경변인의 특성에 따른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각각의 변인 간 상호작용은 없었다. 단, 통계적인 차이는 없으나 평균값에서 실업팀 선수 집단이 대학팀 선수 집단 보다 전체적으로 약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 비만과 체력의 상대적 수준에 따른 중학생의 신체활동 및 심리특성

        임경빈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비만과 체력을 동시에 고려한 비만-상위체력(fat & fit) 학생들의 신체활동 특성과 심리 특성을 파악하여 학생들에게 체력의 중요성과 학교 체육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비만 학생에 대한 선입견 없는 인식과 다양한 신체활동 참여를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구의 fat & fit 사례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비만도(BMI)와 PAPS에서 제시하고 있는 체력 측정법을 바탕으로 하여 비만-상위체력, 비만-하위체력, 표준-상위체력, 표준-하위체력으로 집단을 구성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신체활동 특성을 파악하는데 한국 청소년 신체활동 설문지(KYPAQ)를 사용하였다. 심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김병준(2001)이 개발한 신체적 자기개념 질문지,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내적동기를 알아보기 위해 엄성호와 김병준(2003)이 재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체육수업에서 느끼는 재미를 파악하기 위해 이창섭과 남상우(2003) 개발한 체육수업 재미거리 질문지, 이정우(2001)의 연구에 기초한 체육수업 스트레스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 표준-상위체력 학생들의 신체활동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비만-상위체력의 학생들은 비만-하위체력과 표준-하위체력의 학생들에 비해 높은 신체활동 수준을 보였다. 또한 비만-상위체력 집단의 학생들은 비만-하위체력과 표준-하위체력의 학생들에 비해 높은 신체적 자기개념, 높은 내적 동기 수준을 보였으며, 체육수업을 더 재미있게 느끼고 있었으며, 체육수업에서 하위체력 학생에 비해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과 체력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자기개념과 내적동기, 체육수업 재미 요인의 외모, 자기존중감, 신체전반, 재미노력, 유능감, 신체적정신적건강유지, 성취감 사회성 함양과 같은 하위요인에서 높은 체력을 지닌 학생이 비만도에 상관없이 긍정적인 심리 특성을 나타내는 체력의 주효과를 보였으며, 건강과 근력 요인에서는 비만과 체력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 경쟁상태불안의 촉진적 해석을 위한 심리기법

        오설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시합상황에서 궁극적으로 달성해야할 심리상태로서 경쟁상태불안의 촉진적 해석을 위한 심리기법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고는 고교선수들을 주전 여부와 수상실적에 따라 구분하여 경쟁상태불안의 강도와 방향, 시합상황에서의 심리기술을 비교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를 위해 우수선수들과 포커스 그룹면담을 통해 경쟁상태불안의 촉진적 해석을 위한 심리기법을 탐구하였다. 각 종목협회에 등록된 고교선수 136명을 대상으로 경쟁상태불안 검사지 CSAI-2와 CSAI-2의 수정판 검사지, 한국판 수행전략 검사지 TOPS를 통해 측정한 결과자료를 토대로 기술적 통계로 분석하였으며 우수선수 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라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쟁상태불안의 강도와 방향을 비교한 결과 주전 여부에 따른 경쟁상태불안의 강도는 인지적 불안은 주전선수집단이 비 주전선수집단에 비해 낮게 자신감강도는 주전선수집단이 비 주전선수집단에 비해 높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신체적 불안강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경쟁상태불안의 방향은 주전선수집단은 인지적 불안, 신체적 불안, 자신감 방향이 촉진적 방향으로 나타났고 비 주전선수집단은 자신감 방향을 제외한 인지적 불안, 신체적 불안 방향이 방해적 방향으로 나타났다. 수상실적에 따른 경쟁상태불안의 강도는 인지적 불안, 신체적 불안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자신감 강도는 입상과 결승진출집단이 예선탈락집단에 비하여 높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쟁상태불안의 방향은 입상과 결승진출 집단은 인지적 불안, 신체적 불안, 자신감 방향이 촉진적 방향으로 나타났고 예선탈락집단은 자신감을 제외한 인지적 불안, 신체적 불안의 방향이 방해적 방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합상황에서 심리기술을 비교한 결과 주전 여부에 따른 심리기술은 주전선수집단이 비 주전선수집단에 비해 긴장풀기에서 더 높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상실적에 따른 심리기술은 혼잣말을 제외한 컨디션 조절, 심상/목표설정, 긴장풀기, 감정조절에서 입상과 결승진출집단이 예선탈락집단에 비해 높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경쟁상태불안의 촉진적 해석을 위한 심리기법은 12개의 1차 범주, 8개의 2차 범주, 2개의 차원으로 범주화되었다. 분석결과 경쟁상태불안의 촉진적 해석을 위한 심리기법은 인지적 심리기법, 행동적 심리기법으로 분류되었다. 인지적 심리기법은 긍정적 자기암시, 심상, 통제 가능한 것에 집중하기, 종교에 의지하기 순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행동적 심리기법은 에너지 조절, 대화, 루틴, 자신만의 행동 순이었다. 종합하면 경쟁상태불안의 ‘강도’보다는 개인적인 해석인 ‘방향’에 따라 선수들의 수행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쟁상태불안의 촉진적 해석을 위한 심리기법은 선수들이 시합상황에서 겪는 주된 심리문제인 경쟁상태불안을 긍정적으로 활용하게 해 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