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50년대 한국소설의 남성 젠더 수행성 연구

        허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1950년대 한국소설의 남성 젠더 수행성을 통해서 민족문학사를 대리보충하는 젠더적 독법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정전화된 한국소설사를 재구하고 분과화된 여성문학의 장을 확장하였다. 한국소설사에서 남성성은 보편주체이자 성맹적인 것으로, 성적 억압의 중추이거나 가부장제 자본주의, 식민지 제국주의의 표상으로 간주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남성성 역시 구성된 젠더라는 점을 밝히며 다양한 남성성/들의 수행성에 주목함으로써 남성성을 탈구축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1950년대 한국사회가 호전적 남성성을 호명하는 반공주의의 배면에 이에 대항하는 젠더 수행성을 생산하고 있다는 데 기인한다. 해방 이후 한국사회는 식민지배로 인해 거세된 남성성을 회복하고, 민족국가를 재건하기 위해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요청하였다. 탈식민이 군사화된 청년이라는 젠더화된 방식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과잉 남성성은 한국전쟁을 통해 가시화된 적의 존재가 치안국가를 촉발하였기 때문이다. 이 치안국가는 과잉 남성성을 국가로 회수하는 과정에서 젠더 규범의 변화를 가져온다. 생존을 위해 여장을 선택한 청년들과 여성동성사회를 건설한 여성국극배우들은 1950년대의 젠더 규범이 다양한 ‘되기’의 과정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1950년대의 남성 젠더 수행성을 염상섭, 정비석, 손창섭의 소설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들은 1950년대 문단을 대표하는 남성작가들로, 당대성을 배경으로 연애와 결혼, 가족과 국가의 문제를 재현하였다. 염상섭은 의사 장남의 결핍된 남성성을 통해 멜랑콜리의 미학을 보여주었다. 통속성에의 함몰로 일컬어지는 1950년대 염상섭 소설은 역전된 삼각관계를 통해 남성주체의 몸을 거래한다. 청년들은 소비 자본주의를 바탕으로 한 연애 수행을 통해 교환관계를 가시화하고, 이 과정에서 남성주체들은 경제력을 가진 여성주체들에 의해 대상화된다. 이러한 남성성은 부계 공동체의 약화로 이어진다. 가부장들은 아내를 의심하고, 아내들은 젊은 남자와 연애하며 자본을 증여한다. 가부장을 부정하고 극복해야 할 남성주체는 기존의 연인과 새로운 연인 사이에서 갈등하며, 가족 건설을 유예하고 미국으로의 탈출을 상상한다. 이러한 ‘아닌 것이 아님’의 부정성은 ‘해방의 아들’을 대신한 의사 장남들의 세계이다. 국가와 사회는 이들을 가부장으로 호명하지만, 의사 장남은 가부장이 되는 것을 주저하고 망설인다. 이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이라는 규범적 허구를 폭로하는 젠더 수행성이다. 남성주체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이미 탈구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남성성을 부정할 수 없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이들은 세대 교체도, 민족국가도 교착된 상태에서 세계의 불완전성을 증언한다. 정비석은 남성 애국자의 형상을 통해서 양가적 남성성을 보여줌으로써 남성성의 복수성을 재현하였다. 정비석 소설의 이상적 남성주체들은 문자화된 몸으로 플라토닉한 사랑을 추구한다. 이들은 한글, 자유, 시 등 문자를 통해 사랑을 발견하고, 지고지순한 순교자적 사랑을 완성한다. 이는 ‘눈물’과 ‘고백’이라는 여성성의 수행을 통해 완성된다. 이는 남성 안의 소문자 자아의 존재를 폭로한다는 점에서 남성 히스테리로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남성 젠더의 연애 수행은 생산의 현장으로 이어진다. 과학자들로 이루어진 영웅들의 남성동성사회는 국가와 민족의 발전을 위해 자신의 사랑을 후속세대에게 양보한다. 생산현장에서 세대 교체를 실천하는 것이다. 이들은 프로파간다와 민족 그 자체로 형상화되어 계몽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요구하는 자유투사, 산업전사, 민족문화의 수호자 등이 되기 위해 남성주체는 자아를 비우고 기표를 패러디한다. 그 결과 이들의 낭만적 사랑은 사실상 무성애적 관계가 되고, 이들의 가족은 더 이상 재생산이 불가능한 영역에 놓인다. 순결한 남성동성사회는 오히려 그 규범을 지나치게 잘 이행하여 주체를 탈존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비석의 남성주체는 소문자 자아를 억압하고 이데올로기 그 자체가 되어야 했다. 즉 고결한 남성성을 수행하기 위해 자아를 텅 빈 기표로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이는 패러디와 연기를 통해 획득하는 남성성이라는 남성성 수행의 양가적 측면을 보여준다. 손창섭은 남성성의 비수행을 통해서 괴물적 희생양을 서사화하였다. 손창섭의 남성주체들은 이성애에 대한 공포를 드러낸다. 이는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언제든 남성을 거세할 수 있다고 상상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여자를 무서워하는 청년들은 이웃 사랑에 대한 윤리를 실천하는 주체들이기도 하다. 청년들은 이웃의 기이하게 일그러진 얼굴을 바라보고 사랑함으로써 주체와 이웃 사이의 비식별역을 가시화한다. 이성애를 거부하는 이들의 동성애적 욕망은 동성사회성을 성애화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국적(國賊)으로 형상화되는 범죄자, 동성애자 등의 남성주체는 동성사회를 동성애적 사회로 만들며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중심축을 뒤흔든다. 또한 형제들 사이의 연대나 이성애적 가족질서와 같은 정상성의 세계는 폭력으로 귀결된다. 남성주체는 끊임없이 결혼을 요구받지만, 이들은 결혼을 유예하거나 거부함으로써 가부장으로서의 남성성을 부정한다. 이들에게 가족은 불공정한 교환관계이고 희생양을 낳을 뿐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예외 상태에서 손창섭의 ‘잉여’들은 정주하지 못하고 민족국가 밖을 떠돌며, 망국을 상상한다. 이는 가족장치의 질서에 균열을 내는 것이기도 하다. 군인도, 남편도, 아버지도 되지 않는 국적으로서의 남성성을 가시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희생양이지만 국가질서를 내파한다는 점에서 괴물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비국가적 연대가 보여주는 공존의 가능성은 이들이 윤리적 책임감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직접적 군사주의와 국민에 대한 폭력적 예속으로 실존을 의심받는 시대에 어떻게 남성성을 재구성해야 할지에 답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염상섭, 정비석, 손창섭의 세 작가는 남성 젠더의 미수행을 통해 결핍된 남성성을, 규범의 수행을 통해 양가적 남성성을, 규범의 비수행을 통해 부정된 남성성을 체현하였다. 이들의 소설은 남성 젠더의 수행을 통해 남성성을 재구성함으로써 민족국가의 상상을 내파하고 새로운 젠더 규범이라는 감각의 재분배를 가져온다. 이는 1950년대 문학의 정치적 가능성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1950년대 한국소설의 남성 젠더 수행성을 통해서 여성문학의 젠더적 전환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남성성을 성적 억압의 중추이자 적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남성성 역시 탈구축된 젠더임을 밝힐 수 있었다. 이는 대문자 여성이 없는 것처럼, 남성 역시 우연적이고 반복적인 수행을 통해 구성된 역사적 담론 구성체라는 점을 바탕으로 젠더 연구로서의 남성성 연구를 본격화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1950년대 한국소설의 남성성을 수행을 통한 주체의 구성뿐만 아니라 미수행, 비수행을 통한 주체의 탈구축까지 고찰함으로써 ‘젠더 허물기’의 문학적 가능성을 살폈다. 남성성의 소설사를 젠더의 눈으로 유표화함으로써 남성 작가의 작품을 헤게모니적 남성성이라는 지배적 허구에 관한 텍스트로 읽어낸 것이다. 이를 통해 1950년대 염상섭, 정비석, 손창섭 소설의 수행성/들은 남성성을 허무는 과정이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는 대문자 남성이라는 소설사의 보편적 주체를 비헤게모니적 주체로 만들었다. 이는 그동안 민족문학사의 전사로 여겨져 온 1950년대 소설을 새로운 정치의 장으로 발굴해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다양한 남성주체의 형상을 발굴하고, 이 형상이 근대성과 길항하는 양상을 통해 삶의 새로운 형태들을 발명하는 감성적 분배를 밝힘으로써 미학적 정치성을 획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염상섭의 신문연재소설, 정비석의 대중소설, 손창섭의 비실존주의 소설 등 제도화 · 정전화되지 않은 1950년대 소설의 문학적 가능성을 재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de-construction of masculinity in modern Korean novels in the 1950s. By analyzing male performativity, a gendered reading could be suggested that supplements the universal and objective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In Korean literature, masculinity has been regarded as a general, scientific, and gender-blinded subject. In the field of women's literature, masculinity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sexual oppression, patriarchal capitalism, or imperialism. This paper aims to explain male gender as a complex historical discourse and examine male performativity. Doing male gender means making gender discussion turn from women's literature to a broader field of literature. With the Cold War, hostile masculinity spread through 1950's South Korean society.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Korean War, Korean society had a divine goal to recover the castrated masculinity of the Joseon colonial period. The interpella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was to rebuild a nation by militarized masculinity. In this environment, to become a soldier meant being a proper citizen. Therefore, women automatically became second-class citizens. This gendered over-masculinity was reinforced during the postcolonial movement. People wanted to have a great father and a well-governed family. Lee Seung-man's concept of "Uni-nationalism" was built on the identification of family and nation. In this unification,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hegemonic father-figure. Therefore, over-masculinity integrated the Lee regime with the security of anti-communism. This dynamic caused cracks in gender norms. The appearance of transgenders, such as drag queens(kukkuk) and female transvestites, was welcomed. It was a unique situ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mass culture and shows freedom of gender in 1950s. Yeom Sang-seop showed a melancholic aesthetic of semi-heir's impoverished masculinity. In his novels, young men trade their bodies for economic gain in inverted love triangles. They represent the political economy of love through the exchange of love in capitalist society. During this process, male subjects are objectified by women with financial means. Patriarchs suspect their wives are romantically involved with young men. This weakened patriarchy created the concept of "heirs melancholia." Semi-heirs hesitated to succeed the father's role. They chose not-to-choose marriage. They did not become engaged, andthenarrativeendswithanopening . The incomplete narrative indicates hesitation of choice. Male performativity reveals that the hegemonic fiction of masculinity has gone. People already know that hegemonic masculinity is dislocated, but they cannot deny it. They are stuck with an impasse in terms of masculinity. Jeong Bi-seok represents the binal masculinity of male patriots. His ideal male subjects pursue martyred platonic love with a signified body. Through tears and confessions, male subjects achieve male respectability by performing a female role. This could be a sign of male hysteria, which reveals a female ego in a male body. Jeong chooses male heroes, such as a spy, an industrial worker, and a guardian, to represent national culture. He constructs a male homosociety for industrial heroes, who give up their love for the nation. He parodies the male role that does not produce children. The pure homosociety adheres to its norms too well, so that their masculinity becomes ex-istent. Son Chang-seop represents a monstrous male scapegoat not-doing masculinity. Son's male characters are afraid of female sexuality. They feel castrated when women approach them. A draft evader and homosexuals made the homosociety become homosexual. They disturb the heteronormativity. The sons deny masculinity by refusing to marry. They regard family as an unfair exchange system. Therefore, Son's "surplus" characters have no permanent residence, and they imagine national ruin. They become nomadic subjects and destroy national govermentality. Son depicts masculinity not as a soldier, husband, or a father. This non-national citizen community, however, shows responsibility toward neighbors. They search for ways to co-exist within the politics of the exception-state. This is the answer to the reconstruction of masculinity in a time of military-centered government. This study explores the study of male performativity. Due to the marked dominance of males literary history, it is possible to make male authors' works the “dominant fiction.” However, by considering doing and not-doing gender, the deconstruction of masculinity in modern Korean novels of the 1950s could have a politicalaesthetic as male performativity. I t could thereby reconstruct the canonized novels of 1950's Korean literature and open up the possibility of the gendered view of masculinity.

      • 오정희 소설의 젠더정치성 연구

        최수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가장 큰 목적은 오정희의 작품에서 살펴볼 수 있는 미학적 급진성을 바탕으로 여성 감각의 분할에 따라 나타나는 여성의 정체성 형성과 젠더정치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오정희가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했던 70년대와 80년대는 독재와 민주 사이의 투쟁이 격렬했던 만큼 정치적 방향성이 명료하게 존재하는 시기였다. 때문에 당시의 문학은 국가권력의 비민주성과 반민중성을 폭로·고발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려는 형태의 문학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즉 “문학의 정치화”가 ‘정치주의적인 정치화’와 ‘미학적 정치화’로 나뉠 수 있다면, 당시의 정치적 문학은 정치주의적인 정치화가 지배담론을 이루고 있었다. 오정희는 이와 같은 시기에 작품 속에서 여성 감각의 분할을 통해 형성되는 젠더정치성을 고찰함으로써, 문학의 ‘미학적 정치화’를 구축한 작가라고 볼 수 있다. 오정희의 소설에서 나타나는 단절, 교란, 불화, 불일치 등은 정치성의 해방을 통해 합의된 공동체의 윤리를 의심하는 정치적인 사유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정희의 전 작품을 대상으로 나타나는 젠더정치성의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오정희 소설의 미학적 전복성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한국여성문학에서의 작가의 역량과 의의를 더욱 공고히 하고자 한다. 현재까지 진행된 선행연구에서 오정희의 소설은 성장소설적인 측면과 정신분석학적 관점, 그리고 여성주의에 따른 몸 담론과 모성성 등을 중심으로 논의가 전개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선행연구의 성과를 수용하면서도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오정희 소설에서 살펴볼 수 있는 전략적 수행과 감각적 각성을 통한 젠더정치성의 변모 양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오정희의 젠더정치성에 관한 작가적 인식은 기존의 지배질서와 끊임없이 불화를 일으키는 여성 인물들의 사유와 행위를 통해서 구현되고 있으며, 이것은 감각의 분할에 따라 문학적 관습에 저항하고자 하는 작가의 정치적 무의식을 살펴볼 수 있게 한다. 당시 독재국가권력의 정당화를 위해 강요되었던 산업화와 근대화는 여성의 권리와 노동력에 대한 희생과 도구화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오정희의 작품들은 억압적인 여성들의 삶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 이전에, 일상 속에서 우연적으로 촉발되는 불투명한 ‘사건’과 ‘혁명’을 바탕으로 나타나는 젠더정치성을 주목하고 그것이 지닌 정치적 저항성을 포착하고 있다. 랑시에르(Jacques Ranciere)의 논의에 따라 문학성의 본질이 감각의 분할을 통해 기존의 관점을 거부하는 데 있다고 본다면, 그러한 의미에서 오정희의 작품들은 지배질서가 규정하는 젠더적 역할을 변화시키고 이를 재조직하는 정치성의 본질과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다. 오정희의 이러한 젠더정치성은 시·공간의 교란을 바탕으로 신체적 불구성과 상호적인 관계성을 탐색하는 것에서 나아가, 죽음을 통한 탈주 등을 모색하며 규정된 존재와 세계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현재에도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신자유주의와 ‘포스트발전국가론’으로 인해 젠더정치성이 누락되어 있는 지점들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젠더정치성에 대한 논의들을 더욱 확장시키고 그것의 의미에 더욱 정치(精緻)하게 접근하기 위해서 포스트마르크스주의적 관점과 여성주의적 관점에 대한 이론적 ‘절합’(articulation)’에 따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작품에서 나타나는 젠더정치성의 보다 구체적인 맥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며, 오정희 소설에서 나타나는 차별화되고 비위계적인 젠더정치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오정희의 소설은 억압적인 정치현실을 표면적으로 나타내는 것 대신에 현실에 대한 비고정적인 범주화를 통해서 정치적인 욕망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정희의 작품에서 살펴볼 수 있는 ‘차이에 민감한 연대’를 바탕으로 ‘정치적 경험을 회복’하고자 하는 모습들은, 타자에 대한 포용과 배제라는 이분법적 논의에서 벗어나 상호인정을 통한 다원적인 젠더정치성을 구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정희 소설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합일’을 추구하는 정치성의 반대지점에 있는 정치성의 담론적 효과와 그것에 따른 양상을 규명함으로써 작가가 구축하고 있는 젠더정치성의 문학사적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오정희의 첫 작품집과 그 시기에 발표된 단편들을 중심으로, 오정희의 초기 소설에서 나타나는 잉여적인 균열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불화의 젠더정치성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의 오정희 소설에서는 미혼모, 불임여성,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를 가진 여성 등 보편적인 범주 안에서 배제되고 삭제되었던 위치의 여성주체들이 출몰한다. 이러한 여성들은 ‘일반성’을 훼손하는 ‘결함’으로 간주되었던 대상들이었고 존재만으로도 위협적이었기에, 이들의 등장은 기존 담론의 재배열과 재배치를 요구한다. 따라서 오정희는 이들이 ‘보이지 않아야만 하는’ 주체였던 점을 폭로하면서 불화의 젠더정치성을 통해 이들의 정치적 실존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들의 개체성은 불투명성을 바탕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이들은 일상 속에 안주하면서도 저항성을 나타냄으로써 기존의 체계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으려는 잉여부분을 포함한 젠더정치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불화의 젠더정치성은 기존의 재현체계로는 식별되지 않는 ‘잉여’의 자리들과 적극적으로 관계하며 스스로 노출된 공백을 보충하고자 하는 정치적 움직임을 수반한다. 또한 오정희 소설에서 나타나는 불화의 젠더정치성은 기존 체계에 대한 끊임없는 투쟁과 동시에 누락된 ‘잉여’로 인한 균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상호인정을 위한 정치성의 밑거름으로 작용한다. 오정희 소설에서 등장하는 중산층 여성이나 불임 여성, 노년기의 여성 등은 각각 동일한 맥락으로 범주화되지 않으며, 같은 하층 계급 여성이라 할지라도 각 인물들이 느끼는 불안과 소외로 인해 형성되는 젠더정치성은 서로 다른 ‘잉여’를 포함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오정희의 두 번째 작품집과 그 시기에 발표된 단편들을 중심으로, 오정희의 중기 소설에서 나타나는 상호주관적인 투쟁을 바탕으로 한 상호인정(認定)의 젠더정치성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의 오정희의 소설은 타자의 인정을 자기실현의 조건으로 인식하는 젠더정치성을 구축하고 있다. 이때 나타나는 ‘상호인정’은 단순히 서로를 동등한 존재로 인정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호인정’은 오히려 서로가 다른 욕망과 가치를 추구한다는 점을 인정한다는 것이며, 차이를 삭제하려는 권력담론에 저항하려는 움직임을 함축하고 있다. 따라서 상호주관적인 젠더정치성 안에서 ‘차이’와 ‘분열’은 소멸되어야 할 부정적인 요소가 아니라 존중되고 인정되어야 할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여성의 정체성 형성과 관련하여 ‘상호인정’은 서로를 독립적이면서도 의존적인 존재로, 자신을 위한 존재이면서도 타자를 위한 존재로 인정하는 관점이다. 오정희의 소설에서 이러한 ‘인정’은 일회적 사건이 아닌 역동성 속에서 변화무쌍하게 전개되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즉 오정희의 소설 속에서 여성의 정체성 형성은 젠더규범 안에서 항상 다시 문제제기 되고 갈등하며 또 다시 새롭게 인정하는 과정 자체를 통해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인정의 젠더정체성의 구축은 제도적인 젠더규범에 맞서기 위한 자신의 선택에 대해 책무를 다하려는 정치적 여성주체의 출현을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희생’과 ‘배려’를 바탕으로 한 전통적인 여성주의적 윤리에서 나아가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성찰적인 윤리학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시기의 오정희의 소설들은 유년기 시절을 다루는 소설들과 가족구조에 대한 정치성을 나타내는 소설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오정희는 급격한 산업화와 함께 등장한 다양한 가족 해체의 징후들을 다루었다. 이때 작품 속의 여성주체들은 전근대적인 가족주의를 가로지르며 양가적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성찰적 윤리학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것은 가부장적 질서 아래에 있는 가족의 위기를 폭로함과 동시에 절대적 가족주의에 대한 해체와 분열, 재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오정희는 특히 일상적 공간에서 치밀하게 작용하는 봉건적 억압기제에 대한 저항성을 중심으로 인정의 젠더정치성을 구축하고자 했다. Ⅳ장에서는 오정희의 가장 최근의 작품집과 그 시기에 발표된 단편들을 대상으로 한 후기 작품들을 중심으로 다원적 혼성성을 바탕으로 나타나는 탈주의 젠더정치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오정희가 후기에 이르러 발표한 중편소설들은 신자유주의와 맹목적 애국주의를 바탕으로 한 획일화된 정치적 논리에 대해 비교적 적극적인 반감을 나타내고 있다. 오정희는 억압적 정치적 상황에 대한 전시적인(spectacle) 행동들에 대한 혐오를 나타내면서, 냉철하고 관조적인 입장의 여성주체를 통해 공적영역에 대한 다원적인 젠더정치성의 확산을 나타내고 있다. 근대 후기에 이르러 이전의 명료함은 ‘새로운 불투명성’으로 전환되었다. 오정희는 그 속에 존재하는 진보적 흐름들은 현재 질서의 대안에 관한 전망을 상실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작품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타자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원성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오정희는 유한한 존재의 사멸성과 제한적 영토국가, 역사적 사건 등을 변위(transposition)함으로써 정치적 다원성을 보다 구체화시키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응하는 우발적 개별자인 여성주체들을 통해서 새로운 불투명성에 직면한 젠더정치성에 대한 전망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시기의 여성주체들은 ‘죽음’과 공존하는 순간에도 혼종적 충실성 바탕으로 “상처와 고통에도 불구하고”가 아니라 그것들을 가로질러 긍정하는 젠더정치성의 확산을 살펴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탈주의 젠더정치성은 젠더정치성이면서 동시에 젠더정치성을 가로지르며 유목적 윤리학을 형성한다. 여성의 권리와 노동력에 대한 희생과 도구화를 직접적인 규정을 통해 강조할 경우, 오히려 이것은 미학적인 젠더정치성의 삭제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감각의 분할을 통해 문학적 관습에 저항하고, 우연적으로 촉발되는 불투명한 사건을 통해서 발생하는 젠더정치성을 주목하고자 하는 작가의 정치적 무의식은 젠더정치성을 통한 미학적 전복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획득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정치적인 것’에 대한 작가의 열망은 공동체 속 개인의 정치 윤리에서 나아가, 다원적인 혼종성을 바탕으로 하는 탈주의 젠더정치성으로 확장되어 나타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오정희 소설에서 나타나는 젠더정치성의 통시적 흐름은 비연속의 연속을 통한 정치적 긴장감을 발생시키며,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분법적 구도에서 벗어나 유동하는 미학적 정치성을 획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오정희 소설 속 여성주체들은 재현체계를 벗어나는 힘을 드러내고 있으며 당대의 허구적 담론에 통합될 수 없는 우발성을 통해 끊임없는 정치적 변위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전략적인 불일치를 기본으로 하는 여성 인물들의 주체화 양식은 타자적 형상들을 재규정함으로써 오정희 소설에서 나타나는 미학적 급진성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ormation of female identity and gender politicity with the division of female senses on the basis of the aesthetic radicalism found from Oh Jeong-hee’s works. The 1970’s and 1980’s, when Oh was actively engaged in literary creation, were the times in which the political orientation was as clearly as the struggle between the tyranny and democracy was intense. Consequently, the mainstream of literature at that time tried to reveal and charge the non-democratic and anti-popular nature of the state power and present alternatives. That is to say, if the "politicization of literature" can be divided into ‘politicist politicization’ and ‘aesthetic politicization,’ the former constituted the major discourse in political literature at that time. Oh J대ng-hee can be designated as a writer who was built ‘aesthetic politicization’ of literature around gender politicity in such times. Disconnection, disconcertion, discord, disagreement etc. seen from Oh’s novels generate political thought that one doubts community ethics agreed upon in terms of the liberation of politicity. This study, therefore, tries to fully grasp the aesthetic overturn in Oh’s novels and further solidify her competence and significance in Korean female literature by analyzing the gender-politic aspects of Oh’s entire works. The previous studies so far have discussed Oh’s novels with the focus on the Buildungsroman side, the psychoanalyst viewpoint, and the body discourse and motherhood in tandem with feminism. While accepting the achievements of the previous studies as such, this study tries to characterize the aspects of changes in gender politicity in terms of the strategic performances and sensuous awakening in Oh’s novels in order to escape from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Oh’s recognition as a writer has been realized via the thoughts and actions by female characters who incessantly cause discord with the existing order of ruling, and this allows us to consider the writer’s political unconsciousness with which she tries to resist literary conventions by means of the division of senses. The modernization imposed for the purpose of the justification of the developmental autocratic state at that time proceeded on the basis the sacrifice and instrumentalization of women’s rights and labors. In such a situation in the times, Oh’s works reveal gender politicity that brings the ‘revolution’ occurring via accidentally triggered opaque events in the position of routine life. Considering, on the basis of Jacques Ranciere’s discussion, that the nature of literariness lies in rejecting the existing viewpoints through the division of senses, Oh Jeong-hee’s works are associated with the nature of politicity that changes and reorganizes the gender roles defined by the ruling order. Proceeding further from the exploration of bodily deformity and mutual relatedness on the basis of the spatiotemporal disconcertion, Oh’s such gender politicity gropes for escape in terms of death, and shows resistance against defined existence and the world. This allows us to take a look at the points where gender politicity, which appears based on still emerging neo-libertarianism and the ‘post-developmental state theory,’ is omitted. From such a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s at an analysis based on a theoretical ‘articulation’ of the post-Marxist and the feminist viewpoints in order to further extend and concretize discussion of gender politicity. Such an attempt will allow us to set up more concrete contexts of gender politicity, and to more effectively examine the distinct and non-hierarchical gender politicity shown from Oh Jeong-hi’s novels. Oh Jeong-hee’s novels activate political desires in terms of unfixed categorization instead of superficially presenting oppressive political reality. In addition, the efforts made in her works to ‘restore political experiences’ in terms of a ‘solidarity sensitive to differences’ represent pluralistic gender politicity via mutual approval beyond the dichotomy of embracement and exclusion of others. Consequently, this study tries to clarify the literary-historic implications of the gender politicity built by the writer by characterizing the discourse effects of the politicity standing opposite to the politicity pursuing universal ‘union’ in her novels and their aspects. Chapter II deals with the gender politicity of discord occurring on the basis of redundant cracks with reference to Oh’s early works. In Oh’s novels in this period, those female subjects emerged who were excluded and deleted from universal categories, including single mothers, infertile women, physically and mentally disabled women etc. As those women were regarded as ‘deficits’ damaging ‘commonness’ and threatening even with their existence, their emergence required rearrangement and replacement of the existing discourses. Oh Jeong-hee, thus, revealed the fact that they were those subjects who ‘should not be visible,’ and tried to define their political existentiality in terms of the gender politicty of discord. Their individuality was formed on the basis of opacity, and they show the gender politicity involving redundant parts that try not to fully agree with the existing system by showing resistance while settling in everyday life. This gender polticity of discord actively makes relations with positions of ‘marginality’ that are not identified by the existing system of reconstruction, and accompanies political movements trying to make up gaps that are revealed by themselves. Also, the gender politicity of discord in Oh’s novels incessantly struggles with the existing system and causes cracks due to the omitted ‘marginality’ to attempts at providing a ground for mutual approval. The middle class women, infertile women, elderly women etc. are not categorized in identical contexts respectively, and even in the case of women in the same low class, the gender polticity formed by the anxiety and alienation felt by individual characters involve mutual different ‘marginalities.’ Also, they proceed to form the gender politicity of discord by reflecting with their existential conditions and revealing the instability of the existing order. Chapter III examines the gender politicity of mutual approval based on mutually subjective struggles with reference to Oh Jeong-hee’s mid-term works. Oh’s novels in this period construct the gender politicity recognizing others’ approval as a condition of self-realization. Here, ‘self-realization’ is not limited to peoples’ simple approval of each other’s equal existence. ‘Mutual approval’ rather means acknowledgement of the fact that they pursue different desires and values, and implies the movement trying to resist the power discourse attempting at deleting the differences. Consequently, ‘differences’ and ‘fissions’ within mutually subjective gender politicity are not negative elements that should vanish, but work as positive elements that should be respected and approved. With respect to the formation of female identity, ‘mutual approval’ is a viewpoint from which women approve others as independent but at the same time dependent existences, and as existences for themselves and for others. Such ‘approval’in Oh’s novels appears not in ephemeral events but in protean courses with dynamicity. Female identity is formed through the courses themselves in which women raise issues, conflict themselves with each other, and newly recognize each other again within the gender norms. Construction of such gender politicity of approval enables the advent of political female subjects who try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for their own selections against the systematic gender norms. In addition, it allows them to proceed beyond the traditional feminist ethics based on ‘sacrifice’ and ‘consideration’ to build reflective ethics based on mutual respect. Oh Jeong-hee especially made efforts to construct the gender politicity of approval around the resistance against the feudal mechanism of oppression elaborately operating in routine spaces. She captured political movements through allegorical approval resonating in such a course.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Oh’s novels in this period dealt with childhood and show politicity about family structures. She addressed diverse signs of family deconstruction, which had appeared along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Furthermore, the female subjects in her works in this period traversed the pre-modern familism and tried to construct reflective ethics based on ambivalent relations. This reveals the crisis of families under the patriarchal order, and at the same time, shows deconstruction, fiss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absolute familism. Chapter IV examines anti-ideological gender politicity occurring based on pluralistic gender hibridity in terms of Oh Jeong-hee’s late works. Her novellas released in her late years reveal comparatively active antipathy against the uniform political logics based on neo-libertarianism and blind patriotism. Showing her disgust with spectacle behavior for the oppressive political situations, she represents spread of pluralistic gender polticity over public sectors through cold and meditative female subjects. By late modern times, the clearance of the past was turned into ‘novel opacity.’ Pointing out that the progressive stream existing in it loses the vision about some alternatives to the current order, Oh Jeong-hi shows that plurality has come to be more important as it enables one to set up specific others in literary works. She has tried to concretize political plurality by transposing mortality of finite existence, limited territorial states, historical events etc. and to grope for a vision for gender politicity facing novel opacity in terms of female subjects, accidental individuals responding to it. In particular, the female subjects in this period enable us to consider spread of the gender politicity with which they affirm wounds and pain not "in spite of them" but across them on the basis of hybrid loyalty at the moment of coexistence with ‘death.’ Furthermore, this anti-ideological gender polticity is a kind of gender politicity, but transverse gender politicity to form nomadic ethics. If one superficially emphasizes sacrifice and instrumentalization of female rights and labors, it can rather bring about aesthetic deletion of gender politicity. Thus, the writer’s political unconsciousness, which resists literary conventions in terms of division of senses and pays attention to gender politicity occurring from accidentally triggered opaque events. In addition to this, the writer’s passion for ‘political things’ that enable her to escape from the existing thoughts turns out to be extended from her individual political ethics in the community to anti-ideological gender politicity based on pluralistic hybridity. Consequently, we can tell that the diachronic stream in Oh Jeong-hee’s novels generates political tension via continuity of non-continuity, and escape from the dichotomy of offenders and victims to attain aesthetic politicity. Also, the female subjects in her novels reveal energy with which they go beyond the reconstructive system, and bring about incessant political transpositions in terms of contingency that is not able to be integrated into the contemporary fictional discourses. The mode of subjectification based on such strategic disagreement enables us to see the aesthetic radicalism from Oh Jeong-hee’s novels by redefining others’ shapes.

      • 한국 대중연애서사의 이데올로기와 미학

        진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599

        한국 대중연애서사를 사랑의 양상과 의미에 따라 사적으로 구분하고 구체적 분석의 항목으로 사회적, 문학적, 심리학적 통찰을 시도한 본 논문은 대중문학 연구를 위한 분석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대중문학 연구의 산발적 노력을 종합하고 대중문학 텍스트를 재편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대중문학사를 작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본 연구에서 논의의 중심이 되는 대중연애서사는 남녀 간의 사랑의 담론이 여타 권력과 사회적 특수성과 결합, 대결하면서 당대적 주체를 형성하는 일련의 서사를 말한다. 대중연애서사를 분석하기 위한 ‘다관점적 해석학’은 대중서사의 내ㆍ외적 조건을 역사적이고 미학적인 방법으로 설명한다. 사랑을 사회를 이해하는 방법적 고안물로 해석한 사회학적 이론을 중심으로 사랑의 사회ㆍ역사적 구성물로서의 성격을 확인해 보고, 각 시대별로 변화되는 사랑의 양상이 사회의 가변적 코드로서 특수한 내적 규율과 역사적 특수성의 결과임에 집중한다. 시대별로 변화되는 사랑의 양상이 변별되는 내적 속성과 사회의 구조 변동으로 특정한 이데올로기를 내포한다면 방법론의 다른 한 축을 형성하는 미학적 측면에 대한 고찰은 연애서사의 구조적 공식성과 수용미학 이론에 기대어 살펴보았다. 대중연애서사의 구조적 공식으로 멜로드라마와 로망스, 성장소설의 구조를 선별하였다. 공식이 서사적 측면에서 등장인물과 플롯을 형성하는 원리라면 대중성의 측면에서는 독자들과 공감대를 구축하는 근거가 된다. 독자들은 텍스트의 미학을 현실적 경험과 가치, 도덕율에 따라 ‘대중적 판별’로 전회시키는데 이러한 판단은 일정한 태도로 드러나게 된다. 이처럼 대중연애서사의 이데올로기와 미학을 각 시대별로 변화되는 사랑의 양상과 그 의미에 집중하는 것은 사랑을 통해 당대 인간들의 자기 이해와 세계관, 역사 규정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 방식은 ‘사랑하기’가 어떠한 역사적 주체 형성에 도모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랑’은 이렇게 당시의 시대적 특수성과 부합하여 그에 적합한 ‘인간학’을 만들어 낸다. Ⅱ장에서는 1930년대 후반기 대중연애서사에 집중하였다. 1930년대 대중연애서사는 정신적 사랑의 절대성, 육체적 사랑에 대한 거부, 순정화, 대중을 위한 개인의 헌신 등을 통해 이상주의적 사랑의 경향을 드러낸다. 숭고한 사랑을 실천하는 서사주체는 성모, 예수, 보살 등의 종교적 인물로 등치되고 즉흥적인 충동과 거리가 먼 고도로 이상적인 비전(아가페적 사랑)을 따른다. 옳고 그름과 선악에 대한 명확한 이분은 멜로드라마적 공식성을 통해 구현됨으로써 인과응보(因果應報)라는 당위적 가치를 실현시키는 도덕적 우화의 성격을 지닌다. 우상적 주체들의 헌신적이고 희생적인 사랑의 태도는 심미주체로 하여금 숭고함을 미감케 한다. 수용주체들은 서사주체의 행위를 모범으로 규정하고 자신들의 역할에 행위모델로 삼게 된다. 도덕적 주체들의 이상적 행위는 당대의 독자들에게 자신들이 나아가야 할 바를 제시하는 모범적 행위이기에 1930년대 대중연애서사는 연애소설이면서 계몽적 교육소설로 역할하게 된다. Ⅲ장에서는 대중문학의 공과(功過)를 동시에 보여주는 전후 시기 대중연애서사를 중심으로 열정적 사랑의 모순성과 이로 인해 배태되는 역설적 주체를 고찰하였다. 1950년대 대중연애서사는 열정의 능동적ㆍ수동적 성격을 동시에 갖는 이중적 인물을 서사에 전면에 배치한다. 내용을 구조화하는 공식적 측면에서 볼 때 분리-입문-회귀의 로망tm적 모험구조는 일탈-전락-회개의 편력으로 서사화 됨으로써 서사주체의 행위는 희극과의 근접성 속에서 도덕적으로 마무리된다. 전후 대중소설은 연애를 핵심 소재로 수용하여 전쟁 후 고단한 일상을 살아가는 독자들에게 즐거움과 재미를 주었다. 즐거움은 독자들에게 풍속의 문화 산물을 통해 소비되고 적극적 쾌활과 현대적 명랑을 선보이는 서사주체에 의해 수용주체에게 향유된다. 하지만 수용주체가 현실의 삶에 대해 긍정하고 도덕적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서는 서사주체의 부정적 자극이 체험되어야 한다. 당대 독자들은 양가적 주체의 에로스적 사랑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지만 그들의 행위를 비판하고 감계함으로써 또다른 역설을 발생시킨다. Ⅳ장은 대중문화의 성장 속에서 대중연애서사가 폭발적 인기를 누렸던 산업화 시기를 고찰하였다. 1970년대 대중연애서사에서 전면화되는 낭만적 사랑은 자기 반성적 개인의 새로운 세계와 둘이 하나가 되는 상호 지향성을 통해 새로운 주체 형성의 계기를 마련한다. 낭만적 사랑을 수행하는 주체는 반성적 자의식을 지닌 주체로 개인적 자아의 성장을, 이전 세대의 문화 이념과 가치에 대한 반성과 지향을 꾀한다는 점에서 성장의 형식을 갖는다. 1970년대 개발이 불러들인 욕망의 폭발과 그 패망을 동시대에 경험한 대중독자들은 난폭한 성장의 신화 속에서 그 속도감을 정지시키고 삶의 실패를 무화시켜버리는 유순한 누이같은 서사주체를 통해 일상을 위로받는다. 멜랑콜리가 진정으로 추구하는 것은 상실된 대상이 아니라 그 대상의 부재이며 이 대상이 현존하지 않는 한 독자들은 자신의 죄를 면죄 받을 수 있게 된다. 혁신의 신화 속에서 자발적 희생양은 사회적 폭력을 미화하며 신성화된다. 대중독자들은 정화의식을 통해 부끄러움과 죄의식을 털어 버리고 성장의 이념으로 편입된다. 본고는 대중연애서사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전성기를 이루었던 시기를 중심으로 연애서사의 인기를 가능하게 했던 당대적 사랑의 양상과 의미를 사적으로 고찰하였다. 서사 속에서 사랑하고 성장하고 소멸하는 문학주체는 그들에게 공감하거나 반감하는 수용주체에게 선망과 경계의 대상이 됨으로써 당대에 적합한 사랑을 산출한다. 이때의 사랑은 기능적이며 효용적이다. 사랑을 이상화, 열정화, 낭만화 하는 문학적 표현들은 그 주제들과 관념들을 우발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당시의 사회와 그 변화 추세에 반응한다. 따라서 각 시대의 사랑의 양상과 의미는 ‘사회구조’와 ‘사랑하기’의 연관관계를 통해 시대와 당대 주체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열어줄 수 있다. This study that are classified Korea's most popular romance novel into meaningful analysis of specific topics of social, literary, and psychological insight is presented for the study of popular literature. It is the sporadic efforts to synthesize popular literature study. Through a comprehensive reorganization of the popular literature text, it's an effort to create a chronicle popular literature ultimately. In order to analyze the popular romance novel, 'Analysis of Multi-exclusive' describes popular literature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as its historic and aesthetic way. Based on the sociological theory which is love is the method to understand the social, this study focuses on that the change of the different form of love each time is the variable results of a special internal discipline and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 as a social code. If the love that has been changed by era involves specific ideology which is informed distinctive internal characteristic and changes in social structure, the consideration of an aesthetic form which is the other side of methodology is examined against the theory of structural formula and the aesthetics of reception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romance. Through the structural formula of popular romance novel, melodrama, romance, and bildungsroman are selected in this study. If the formula is the fundamental principle to form characters and plots in the narrative side, in terms of popularity side is the basis for building a consensus with the reader. The reader change the aesthetic of the text to popular discrimination followed by practical experience, values, and morals. This kind of decision reveals to a certain attitude. The reason why ideology and aesthetic of public narrative focus on the meaning of love and changes each era is possible to understand self-understanding of the contemporary human world and the history throughout the love. In this way, 'Love' produces its appropriate humanics accord with a particularity of the times Chapter II focuses on the late 1930s' public romance narrative. 1930's popular romance novel revealed the tendency of idealistic love that contains the absoluteness of the living spiritual love, refusal of physical love, purity of love, and personal commitment for the public. The main character of action of sublime love becomes the religious figures such as Virgin, Jesus, and Buddha, and it follows high level of ideal vision(Agape). The crystal clear separation of two sides about right and wrong, and good and evil has the characteristic of moral fable to execute the value of the sollen through the melodramatic formulation. These idols' dedicated and sacrificial love presents a noble for the public. The reader stipulate main character's act to a role model, and adapt to their own role. In chapter III, contradiction of passionate love and its generated paradoxical character were investigated with focusing on the popular romance novel in the postwar period which showed the merits and demerits at the same time. 1950s' popular romance novel places dual character at first who has the active and passive of passion. In terms of a formula of structuring information, romance's adventure structure of separation-initation-return becomes narrative, and the action of main character is finished morally in the approaching the comedy. Popular romance novel in post-war period that carried a love as a core material gave pleasure and fun to all readers who were exhausted after the war. Pleasure is consumed and shared for the reader to cultural products by the main character who have enthusiastic sanguineness and modern brightness. But, to affirm everyday life and to protect the moral value for the reader, main character's negative stimulus should be experienced. The reader in that period feel pleasure through the Eros of paradoxical character, but that they criticize their action and are on their guard brings another paradox. In ChapterⅣ, industrialization period that popular romance novel was highly enjoyed in the growth of popular culture was investigated. Characters to perform a romantic love have a grown-up novel form in the point of a reflective self-consciousness about the previous generations' ideology and values and its aim. The readers who experienced the explosion of desire and the destruction that were brought 1970's industrial development were comforted with a main character such as benign sister who stops the pace of aggressive growth and neutralizes the false of life. The voluntary victims in rapid industrialization are sanctified to beautify social violence. Through the public ritual of purification, the reader shakes off the shame and guilt, and incorporates into the ideology of growth. In this study, the aspect of contemporary love and meaning that popular romance novel achieved popularity were discussed in private. Main characters who love, grow, and disappear in a novel make an adequate contemporary love in terms of becoming an object of envy and alert to the reader who feel sympathy or antipathy for them. At this time, love is the functional and effective. Literary expressions that idealize, passionate, and romanticize a love react not accidentally selecting subjects and concepts but contemporary society and changing trend. Therefore, the pattern of love and meaning in an every era can open a new path to understand the era and the main character in that period through the 'social structure' and 'love' relationship.

      • 조세희 소설의 문체 연구

        윤현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고는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각종 사회 문제가 대두하던 70년대의 사회상을 소설로 형상화한 조세희 소설의 ‘문체’를 분석하여 그의 문학관과 세계인식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기존의 미시적인 측면에만 머물며 정의됐던 문체 연구에서 더 나아가 문장 이하의 측면에 주목하는 미시적인 문체와 문장 이상의 층위에 해당하는 서술자, 서술태도, 초점화, 독자의 텍스트 참여 과정을 분석하는 화용론 등의 거시적인 문체를 통합화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했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 대상을 조세희 소설 전 작품으로 확장시켜 기존 논의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했다. 논의의 출발점은 조세희 소설이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즉, ‘누가’ 보고 있으며, 말하고 있는가 등의 서술자의 문제와 문장 이하 층위의 미시적인 문체 특징을 분석하는 것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조세희의 전 소설에 나타난 문제적인 문체 특징은 각각 ‘연쇄 문체’, ‘중첩 문체’, ‘교차 문체’로 도출됐으며 이는 조세희가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이자 70년대 현실에 대응하는 실천적 전략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Ⅱ장은 유기적으로 연쇄 서술되는 텍스트들에 주목했다. 문장과 문장은 인과적으로 연결되면서 논리적이고 설득적인 서사로 진행된다. 여기에는 스토리를 전지적이고 권위적으로 바라보는 서술자의 목소리가 존재한다. 서술자는 인물들의 행위, 사건을 판단하거나 의문을 던지는 방식으로 스토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또한 한 인물을 초점화하여 서술하는 전지적 서술을 취하면서도 동시에 초점화한 인물만을 평가하고 판단하는 문체 특징이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서두에서부터 서술자의 목소리가 전면에 부각되면서 인물, 사건의 서술보다 그것을 판단하는 서술자의 서술이 텍스트의 중심 서사가 된다. 또한 텍스트 중간에 ‘총칭문장’, ‘일반화’ 등의 문장을 삽입하여 독자의 독서 과정을 적극적으로 유도한다. 이는 텍스트의 다양한 해석을 가로막으며 단정적인 텍스트성을 낳는다. 또한 텍스트 간의 반복, 텍스트 내의 반복 등 다양한 층위의 반복 양상이 나타난다. 이는 텍스트 내에 동일한 문장이 여러 번 서술되거나, 행위와 상태를 나타내는 서술어가 반복되는 것으로 나뉜다. 이러한 반복 서술은 인물과 사건의 고립된 상태를 부각시키는 단절의 문체소로 해석할 수 있다. 이밖에도 한 문장 안에서 비교, 대조의 문법이 사용되는데 이 역시 인물들간의 불화(不和)와 벗어날 수 없는 단절된 상황을 반영한다. Ⅲ장에서는 중첩 서술이 나타나는 텍스트에 주목했다. 본고는 중첩 양상을 1인칭 서술자의 서술 방식에서 오는 문제와 다른 작가의 작품에서 소재/ 구성 방식 등을 중첩시키는 상호텍스트성, 이렇게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했다. 1인칭 서술자에 의해 서술되는 작품은 경험 자아와 서술 자아의 거리 문제가 의미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내일에 갔다오고 싶다」,「죽어가는 강」의 1인칭 서술자는 경험자아와 서술자아간의 거리를 조정하여 이전의 ‘나’를 객관화하고 반성한다. 또한『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쓴 조세희의 자전적 이야기를 소설 공간에 다시 허구화시키는 자의식적이고 고백적인 서술자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사막에서」와 「어린 왕자」는 생텍쥐페리의『어린 왕자』를 패러디화한다. 패러디는 역사의 객관성, 보편성을 상대화한다는 점에서 성찰과 반성의 과정이다. 이미 독자에게 익숙한 동화를 70년대의 현실 공간과 중첩시켜 서술하는 현재에서 ‘어린 왕자’의 의미를 상기시키고 다시 바라보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문장 층위에서는 주어 자리에 ‘우리’가 자주 놓이고 청유형, 명령형의 서술어미가 자주 발견된다. 이는 일종의 독자 참여를 유도하는 글쓰기로 ‘나’의 서사가 곧 ‘우리’의 서사임을 상기시키고, 서술자의 반성이 곧 독자에게 이어져야 함을 드러내는 설득의 문체소다. 이밖에도 자신의 감정을 호소하는 술어의 사용으로 단정적인 세계 인식에 회의를 품고 이를 반성하려는 태도가 나타난다. Ⅳ장에서는 다양한 층위의 서술 양상이 교차되는 텍스트에 주목했다. 텍스트를 중개하는 서술자는 자신의 목소리를 낮추고, 자유간접문체를 사용한다. 서술자의 판단과 평가는 줄어들고, 서술자의 말과 인물의 말 사이의 경계는 사라진다. 이로써 텍스트에는 다양한 목소리, 동일한 대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이 공존하게 된다. Ⅱ장에서는 인물들의 다양한 목소리가 서술자의 주관적인 서술로 수렴되는 특징을 보였다면, Ⅳ장에서는 다양한 목소리가 자신의 위치를 점유하면서 불연속적으로 교차된다. 「뫼비우스의 띠」와「에필로그」는 동일한 액자 소설과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뫼비우스의 띠」에서「에필로그」로 오면서 인물과 사건 등의 초점 대상은 전지적 서술자에 의해 교차 초점화된다. 이는 동일한 구성을 취해 양면을 보여주려는 서술자의 의도적인 서술 장치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서술하는 현재 보다 앞선 과거를 서술할 경우, 서술자는 ‘말하기’ 대신 ‘보여주기’를 택한다. 3인칭 서술자에 의해 서술되는 텍스트에서는 서술자의 발화를 줄이고 인물들간의 대화를 직접 인용한다. 마찬가지로 1인칭 서술자는 ‘나’의 생각, 판단을 삼가고 인물을 관찰, 보고하는 유보적 서술태도를 취한다. 이러한 서술자의 특징은「난장이 마을의 유리병정」에서 극대화 된다. 서술자는 희곡 형식을 도입하여 자신의 존재를 최대한 감춘다. 문장 층위에서는 단문 중심의 문단들이 주조를 이룬다. 단문들의 주어는 다변화되고 술어자리에는 행위 중심의 능동태가 놓인다. 또한 접속사의 부재로 문장 간의 의미상의 거리가 멀어져 문단, 텍스트는 환유적인 양상을 띈다. 서술어 ‘-것이다’, 조사 ‘-것은’ 등의 사용으로 판단과 설명에서 유보적인 태도를 드러낸다. 이러한 특징은 텍스트 내에 하나의 목소리가 우위를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목소리들이 교차 서술되는 타자화 과정을 보여준다. 의미가 귀결되지 못하고 지연되는 문체 양상은 단일화, 규정화에 저항하는 세계관을 반영한다. 조세희의 소설은 어느 작품을 먼저 읽더라도 그것이 시작점이자 연결점이 된다는 평자의 지적처럼, 공시적인 시각에서 의미를 부여해야 마땅한 요소를 지닌다. 이는 본고의 분석 결과 역시 어느 하나가 우위를 차지하거나 한쪽으로 치우치는 방향으로 해석될 수 없음을 뜻한다. 대신 조세희의 소설은 단정적이고 반성적이며 타자성을 지향하는 텍스트성이 공명, 분열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70년대라는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형상화할 것인가에 대한 서술자의 갈등 과정이 그대로 내재되어 있다. 참여적 서술자, 자의식적 서술자, 유보적 서술자의 모순적인 공존이 이를 잘 반영한다. 그동안 계층간의 대립을 극명하게 드러내는 수단으로 분석된 미시적인 문체소에도 사회, 가정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나’라는 개인이 안고 있는 내적인 고민이 반영되어 있다. 문체론적으로 접근해 본다면 조세희 소설의 상징이자 다양한 해석을 가능케 한 ‘뫼비우스의 띠’는 피해자/가해자의 이분법이 반복해서 생성, 해체됨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이는 너와 나의 경계가 뚜렷하게 나뉠 수 없다는 인식에 근거를 둔다. 서술자와 스토리상의 인물, 서술자와 독자, 텍스트와 텍스트 간의 경계가 반복해서 무너지고 생성되는 과정 역시 이와 같은 맥락이다. 본고는 문체의 미시적인 측면과 거시적인 측면을 통합하여 문체 분석을 재시도하는 움직임 속에서 일관적으로 논의되어 온 조세희 소설의 문체 특징에 균열을 내고 다양한 해석을 가능케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문체 분석이 텍스트의 의미를 밝혀내는 또 하나의 유용한 틀이 될 수 있음을 재현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작업이었다고 생각한다.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style' of Sehee Cho's novels, which embody the social state in 1970s when a variety of social issues were surfacing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o's literary view and world recognition. The methodology of analysis has been sought to incorporate both the micro and macro levels: the former focuses on the sub-sentential aspect, while the latter concerns the super-sentential tier like pragmatics, including narrator, narrative attitude, focalization, and readers’ participation in the texts. The existing approaches have been confined to the micro level in their analyses of style.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includes all works of Cho’s so that it can exceed the limits of the existing literature. The discussion departs from a review of narrators, i.e., ‘how’ one talks, including ‘who’ is watching and talking, and sub-sentential characteristics of style in Sehee Cho’s novels. The analysis resulted in the common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Cho’s novels that were ‘serial style,’ ‘overlapping style,’ and ‘crossing style,’ which are interpreted as the way Cho recognizes the world and his practical strategy to react to the reality of 1970s. Chapter Ⅱ pays attention to the texts that are organically narrated in a series. A sentence is causally connected to another, which leads to a description that is logical and cogent. Here exists a voice of a narrator who looks on the story omnisciently and authoritatively. The narrator actively participates in a way that he judges or doubts characters’ acts and incidents. Furthermore, the narrator focalizes a character and describes him omnisciently; and at the same time, he evaluates only the focalized character and passes judgments on him, in terms of the style. On the other hand, the voice of the narrator is brought to the forefront from the opening: the narrator’s judgments of events, rather than the events themselves, play a central role in the texts. In addition, readers are actively invited into reading the texts through the inserted sentences like ‘generic sentences’ and ‘generalizations’ in the middle of texts. This seals off diverse renditions of a text, begetting a conclusive textuality. There also appear repetitive patterns in multiple levels such as iterations among texts and iterations within a text. Either the same sentence is repeated several times, or a predicate that depicts an act and state is repeated. This iterative narration can be understood as a stylistic element of severance, which lays emphasis on the isolated state of characters and events. The usage of comparison and contrast within a sentence also reflects the discord among characters and the unavoidable status quo of rupture. Chapter Ⅲ discusses the texts with overlapping narration. This thesis looks at the overlapping patterns into two, an issue of the first person narration and an interactive textuality in which subject matters and organizations from other writers’ works are overlapped. In a work in which the first person is used for narration, the issue of distance between the experiential ego and narrative ego criticall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meanings. The first person narrator in I’d like to visit tomorrow and The dying river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experiential and narrative ego, and objectifies and introspects the prior ‘me.’ The narrator in A small ball shot by a dwarf, which was fictionalized from the author’s autobiographical story, is revealed as self-conscious and confessional. In the desert and The little prince are parodies of de Saint-Exupery’s Le Petit Prince. Parody is a process of reflection and reconsideration in that it relativizes the objectivity and universality of a history. The works intend to recall and reconsider the meaning of ‘the little prince’ from the present perspective by overlapping the already-familiar tale to readers with the actual space of 1970s. At the level of sentences, ‘we’ is frequently placed, and the endings of comitative and imperative are often discovered. This type of writing is a stylistic element of persuasion that induces readers’ participation, by way of which ‘my’ stories are also ‘our’ stories, and the narrator’s reflection should be relayed to the readers. Besides, the use of predicates which appeal the narrator’s feelings shows skepticism about the conclusive recognition of the world and an attitude to reflect on it. Chapter Ⅳ deals with the texts that have narrative patterns crossed at various levels. The narrator that relays texts lowers his voice and uses a free indirect style. The judgment and evaluation of a narrator are cut back,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talk of the narrator and that of the characters disappears. Thus there coexist diverse voices and standpoints for the same object, in a text. Chapter Ⅱ discusses how various voices of the characters converge on the narrator’s subjective description, whereas Chapter Ⅳ shows the state in which various voices get crossed discontinuously while occupying their own positions. The Mobius strip and Epilogue have an identical structure of story within a story. However, the focal objects of characters and events become focalized alternatingly, from The Mobius strip to Epilogue by the omniscient narrator. This can be rendered as the narrator’s purposeful device by which he attempts to show both sides by utilizing the same organizing structure. In showing the prior time to the present in narration, the narrator opts for ‘showing,’ rather than ‘talking.’ In a text in which the third person narrator involves, the narrator reduces his utterance and directly quotes the conversations among the characters. Likewise, the first person narrator restrains himself from ‘my’ thoughts and judgments, and takes a reserved stance with which he observes and reports characters. This characteristic of a narrator is maximized in The glass soldier of the dwarfs’ town. The narrator conceals his existence as much as he can, by introducing a form of drama. A majority of paragraphs consist of short sentences, at the level of sentences. The subjects of short sentences are diversified, and the active voice, which is act-oriented, is used in the loci of predicates. The absence of conjunctions makes the distance between sentences farther in meaning, wherefore paragraphs and texts become metonomical. A reserving attitude reveals itself in judgments and explanations by means of predicate ‘…to be that’ (kes ita) and marker ‘…that’ (kes-un). The characteristic of this kind shows a process of estranging in which many voices are alternatingly depicted, as opposed to a single voice that takes precedence over others. The stylistic pattern, in which meanings are not concluding but delayed, reflects the outlook on the world that resists unification and regularization. As in a critic’s commentary that any one of Sehee Cho’s novels will be a beginning and connecting point, Cho’s works should be interpreted synchronically. Therefore, the analyses in this thesis cannot be given priority or bias in any direction. Cho’s novels show a pattern that the textuality, which is conclusive, reflective, and otherness-oriented, resonate and dissolve. They internalize the process of a narrator’s conflicts in how to perceive and configure the situation of 1970s, which is well reflected in the contradictory coexistence of different narrators, i.e., participative, self-conscious, and reserving. The micro-level element of style, which has been analyzed as an instrument to reveal stark confrontation among social classes, also reflects the internal agony of individual ‘I’ who is a member of a society and a family. From a viewpoint of stylistics, the ‘Mobius strip,’ which is a symbol of Cho’s works and enables various accounts, is interpreted as an index showing that the dichotomy of victim/offender is repeatedly generated and dismantled. This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a borderline between you and me cannot be clearly drawn. By the same token, the process of breakdown and generation of borderlines can be understood, among narrator and characters, narrator and readers, and texts and texts. This thesis is implicational in that it makes a move to incorporate the micro and macro levels of analyzing style, by challenging the unitary discussion on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Sehee Cho’s novels and making possible multifarious interpretations. It is also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shows that the analysis of style can provide another framework to examine a purport of texts.

      • 이청준 소설의 환상성 연구 : ‘모성’ 추구 양상을 중심으로

        김소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지금까지의 한국 문학은 환상을 리얼리즘의 영향권 아래 종속시키고자 애써왔다. 때문에 이청준 소설에 있어서의 환상성은 작품 내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과 공간, 그리고 소재적인 특징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인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환상성을 작품 전반의 변모양상을 드러내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삼고, 이를 아들이 추구하는 어머니의 이미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청준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세계는 눈에 보이지 않는, 현실 이면의 감추어진 세계이다. 환상은 이러한 현실 이면을 비춰주는 효과적인 통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청준에게 있어서 환상은 단순한 현실도피 혹은 현실파괴를 위한 수단이 아닌, 이 땅에서 살아남기 위한 화해의 몸짓으로서 구체성을 갖는다. 이때의 화해는 모든 것을 포용하는 어머니의 이미지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어머니는 남성인 아들이 긍정적인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도와주는 타자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청준 소설 전체를 관통하는 서사원리를 ‘환상성’으로 보고, 작품 내에서 추구되는 모성 이미지에 따라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해 보았다. 이를 통해 이청준 소설의 전반기(1965-1974)·중반기(1975-1984)·후반기(그 이후)에 따라 나타나는 환상성이 주체가 추구하는 모성의 양상에 따라 각각 유보적 환상·도피적 환상·초월적 환상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환상을 부각시키는 주체의 ‘모성’ 추구 양상을 전이된 모성·해체된 모성·성화된 모성으로 구분함으로써, 각 시기 별로 나타나는 환상의 특징을 주체가 추구하는 ‘모성’ 이미지와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외부로부터 갑작스레 유입된 환상 앞에서 어떠한 결정도 내리지 못한 채 망설이는 주체의 ‘유보적 환상’과 그러한 환상을 부추기는 ‘전이된 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는 이청준 소설의 전반기에 나타나는 중요한 특징으로, 환상의 효과로 제기되는 주저함이나 망설임을 통해 ‘결정 불가능한 상태’에 몰릴 수밖에 없던 당시 사회 분위기를 반영한다. 그 속에서 개인은 본인이 의도하지 않은 거대한 사회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어느 것도 선택할 수 없는 유보적인 자세를 도출한다. 그러므로 인물들은 방향성을 잃고 부유하며 혼란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혼란으로 가득한 세계는 인물의 의식을 지배하며, 이러한 인물의 의식은 또다시 세계를 혼란으로 몰아가기에 작중 인물들, 나아가 작품을 읽는 독자들을 끝없는 회의에 빠져들게 한다. 이러한 주체의 수동성은 사물화되어 존재하는 어머니를 통해 부각된다. 분명히 존재하지만 사물 속에 투영되어 있기에 발견되지 않는 어머니로 인해 주체의 망설임이 배가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인물이 뚜렷한 목적 없이 부유하는 현실 공간과 환상의 지배를 받는 의식 공간을 통해 구체화된다. 나아가 끊임없이 세계를 의심하게 만드는 수수께끼의 서사와 지속되는 의문의 중첩을 통해 주체에게 회의적 세계관을 부여한다. Ⅲ장에서는 이청준의 중반기에 해당하는 작품을 중심으로, 광기나 정신분열을 겪는 인물들이 추구하는 ‘도피적 환상’을 ‘해체된 모성’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시기는 주로 정치·사회적인 메커니즘과 그 횡포에 대한 인간 정신의 대결 관계가 심화되던 사회상을 드러낸다. 이에 작중 인물들은 현실로부터의 도피를 시도하며, 그것은 광기를 통해 발현된다. 이 시기에 드러난 환상성은 현실과 대립관계에 놓인 극단적인 성향을 띠며, 이 같은 주체의 일탈은 자신을 이해하고 보듬어줄 어머니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강조된다. 조건 없는 애정을 베푸는 모성과 개인의 욕망을 우선시하는 모성의 이미지가 현실과 환상의 이분화를 강조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때의 대립은 따로 분리된 두 개의 공간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공간이 현실과 환상이라는 이중성을 띰으로서 제시된다. 따라서 하나의 공간에 깃든 현실과 환상은 충돌을 일으키며, 하나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다른 하나가 부정되어야 한다는 힘의 논리를 강조한다. 이때 주체는 현실과 환상 사이의 지나친 이분화로 인해 환상으로의 일탈뿐만 아니라, 환상에서 현실로의 귀환마저 엄격하게 차단당하기에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Ⅳ장에서는 이청준 소설의 후반기에 주로 등장하는, 역사적 격변기를 살아간 인물들을 중심으로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초월적 환상’을 ‘성화된 모성’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들은 외부 세계의 변화로 인해 어쩔 수 없는 희생이 강요된 인물들이지만, 주어진 현실에 굴복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삶을 반성하며 보다 나은 미래를 구축해 나간다. 스스로의 노력으로 현실을 극복할 환상을 추구함으로써 문제를 극복해낸 것이다. 이때 새로운 세계의 구축은 새 생명을 출산하고 양육하는 어머니의 신성한 이미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어머니는 피폐한 현실 속에서 주체의 상처를 치유하고 온전한 성인으로 성장하도록 인도하며, 주체가 몸담고 있는 세계 역시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아들은 타자와 나를 구분 짓는 이분법적인 세계를 벗어나, 자신뿐만 아니라 자신을 구원한 어머니마저 구원하며 현실 속에서 환상을 이루어낸다. 이때의 초월은 주체의 내면 성장을 통해 이루어지며, 독자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몸담고 있는 세계를 반성하도록 자극한다. 이청준 작품에 있어 환상은 눈에 보이진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현실의 폭력성을 가시화한다. 때문에 환상은 세계를 정확하게 직시함으로써, 세계와의 진정한 화해를 추구하는 작가의 주제의식을 드러내는데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고 판단된다. 우리가 ‘허구’를 원하는 까닭은 위안을 얻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냉엄한 진실을 발견하기 위함이며, 환상은 그러한 현실과 허구를 사색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환상을 통한 세계와의 화해는 주체인 아들이 어머니를 추구함으로써 보다 극명하게 제시된다. 어머니는 아들과 한 몸을 이루었으나 분리됨으로써, 아들로 하여금 영원히 추구되어야 할 타자로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에 폭력과 대립이 난무하는 세계를 회복시키고자 하는 환상은 새 생명을 출산하는 어머니의 이미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타자로서의 어머니는 역시 타자로 규정된 환상과의 공통항을 형성해내는 까닭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루어진 이청준 소설에 관한 연구는 전짓불로 상징되는 아버지와 그 힘 아래 억눌린 아들의 서사가 주를 이루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상성’을 통해 지금까지 ‘아버지와 아들’을 중심으로 읽혀온 이청준의 작품 세계를 ‘어머니와 아들’이라는 관계 속에서 재조명하는 기회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40여년에 가까운 이청준의 문학 세계를 일관된 주제의식과 방법론을 통해 통시적으로 조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도 문학사적인 의의를 획득할 것으로 확신한다. 이는 작가의 주제의식에 대한 접근과 동시에 개별적 특성을 검토하는 하나의 방법론으로, 이청준 소설 연구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되리라 사료(思料)된다. 이청준은 40여년 가까운 기간 동안 뚜렷한 기복 없이 꾸준하게 작품 활동을 지속해왔으며, 그 가운데 좀처럼 태작(駄作)을 찾아볼 수 없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청준의 문학적 과업에 관한 연구는 전후 본격적으로 전개된 한국 현대 문학사를 조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틀을 제공할 것이다. This thesis is designed to take the fantastics as effective method to any changes that might occur in Lee chung-joon's work, and is analyzed based on the image of the mother which the son's pursuit. Lee's work hardly shows any serious and specific debates in spite of various characters, space and uniqueness of the fantastics factors which can be found in his work. As a result of that, Lee's fantastic factors in his work is analyzed as excessive abstraction and his work is disregarded. Lee's ultimate concept of the world is hiding under what we can it, reality. Thus the fantastics in Lee's work can be an important passage to reveal Lee's works which are mainly describing the world beyond reality. The fantastics that Lee pursues, is not the means of escapism or destroying reality, but the gesture of making peace in order to survive. This peace is made through the image of an accepting and forgiving mother. Because the mother is accomplished by helping his son forms positive identity. Therefore the whole concept of Lee's work is fantasy and can be categorized with three time periods, the early period(1965-1974), the middle period(1975-1984) and the late period(after 1984) based on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fantastic(the reserved fantastics, the escape fantastics and the transcendental fantastics respectively) which be embossed by the different aspects of maternity. Futhermore the different types of maternity(transfer maternity, dismantle maternity and consecrate maternity) can be deeply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the fantastics that occurs in three different time periods. In chapter II , how the hesitation of the subject's reserved fantastic incited by transfer the fantastics takes place from the incoming the fantastics can be examined. This is overall characteristics of Lee's early period work, and reflects in those days hesitation and vacillation can lead the status of impossible decision making by the fantastics effect. In those status, the individual can deduce reserved attitude due to the society. Characters lost their directions and sucked into confusion. The world filled with confusion can control the conscience of the character which lead the character in his work and the readers be skeptical. This subject's passivism is objectified and brought out by his existing mother . The subject's hesitation can be doubled because the existence is reflected onto objects and can not be discovered. This can be concretize through the subject's purposeless reality and fantasy controlled conscience. Moreover, the skeptical global outlook is given to the subject by the constant doubtful questions and enigmas of the epic. In chapter III, focused on Lee's work from the middle period, the escape fantastics through dismantle maternity is examined. This period shows humanity against the oppression of political and social mechanism. Characters from Lee's work try to escape from reality by revealing their madness. The fantastics in this period has antagonistic relationship with reality and the subject's deviation is emphasized on seeking for understanding and comforting mother. The maternity with unconditional love and the maternity with prioritize individual desire force reality separate from the fantastics. This conflict dose not take place in two different space but in one space with reality and fantasy co-existing. Therefore reality conflicts the fantastics in same space and one has to be denied in order to the other can exist. The subject's excessive conflict between reality and fantasy block the subject to come back from fantasy to reality. As a result of that, the subject encounters tragic ending. In chapter IV, the transcendental fantastics through consecrate maternity can be examined from the characters who lived rapid historic transitional in the late period. Although the characters are forced to sacrifice by the changes from the outside world, they are not submissive and keep trying to make better future to themselves. They overcome their situation by giving themselves the fantastics that would conquest reality. constructing new world is accomplished by the image of giving birth and bringing up their children. Mother can guide the subject to be a complete grown-up from the cruel world. Therefore, son can be free from dichotomy and achieve the fantastics in reality by rescuing not only himself but the mother who saved him. That also stimulates readers to meditate and reflect the world they living in. In Lee chung-joon's work, the fantastics itself is not visual but can be visualized by the violence in reality. Thus the fantastics can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face up to reality and expressing the writer's awareness who pursuits to reconcile with the world. The reason we desire 'Fiction' is not to gain comfort but seek the answer to perceive the truth. The fantastics can be useful instrument to speculate both reality and fiction. The reconciliation with the world through the fantastics can be more evidently suggested by son pursues his mother. As mother and son separates from the same body, the mother remains to be pursued by her son forever. The fantastics redeeming the world filled with violence and confrontation is accomplished by mother giving a birth to a baby. However Lee's work has been mostly dominated by father and his repressed son. Therefore, this thesis provides the opportunity to retrace his work with priority given to father and son to mother and son through the concept of the fantastics. Furthermore, it would be certain to remark that nearly 40years of Lee work traced by the subject awareness and methodology with diachrony would achieve the literal significance. This methodology can approach to the writer's self awareness and study individual character and would extend the study of Lee Chung-joon' work. Lee Chung-Joon has been leading a stirring life towards his work nearly 40 years and not published a single inferior work. Hence, Studying Lee Chung Joon' works and his literal tasks would provide an important formality for illuminating Korean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 R. Schumann의 연가곡 "Dichterliebe" Op. 48에 관한 분석 연구 : 반주부를 중심으로

        이하경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art song is a genre that pursues a close combination of poetry and music. It was developed in the 19th century by romantic composers such as Schubert, Schumann, and Brahms. The improvement of the piano, the development of German poetry, and the fusion of romantic aesthetics and music make the development of the art song in Romantic era. In this thesis, the author analyzed Schumann's Lied "Dichterliebe" Op. 48 focusing on the piano accompaniment part. Schumann "Dichterliebe" Op. 48 is a work which harmonizes Heine's romantic poetry and Schumann's music. It describes a poet's love story from the very beginning of falling in love to the end of his love. 16 songs of "Dichterliebe" Op. 48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from the contents of the poem. The first 6 songs describe 'joy of love', 8 songs from the 7th piece narrate 'the pain of parting', and last 2 songs sing 'the vanity of past youth and the pain of lost love'. "Dichterliebe" Op. 48 has four different types of accompaniment; arpeggio accompaniment, chord accompaniment, independent accompaniment from the melody, and recitativo accompaniment that makes dialogue with solo part. Schumann "Dichterliebe" Op. 48 depicts a close connection between poetry and music, and Schumann describes the image of the poem and the emotion of the poet through his music. He makes subtle changes in the rhythm, characters of the chord, directions of the melody, the tonality, the dynamic, and the articulation depending on the contents of the poem and the emotional change of the poet. In addition, the role of the piano in Schumann's Lied is enlarged. The prelude, interlude, and postlude made by piano accompaniment expresses full of color which can not be expressed by a monophony of the vocal melody. A prelude could present the melody of the song in advance, and a postlude would provide a musical connection to the following song by expressing the emotions that are not expressed well enough in the singer's part and by enhancing the completion of the song. In this way, Schumann makes the equal relationship between a melody part and an accompaniment part, and achieves the effect of duet between voice and piano. A pianist playing Schumann's Lied should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poetry first, and study the relationship among poetry, vocal part, and accompaniment part. This thesis would help pianists who play this work through its elaborat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accompaniment type, and explanation of the expressions of the poem.

      • 이효석 소설의 젠더 섹슈얼리티 연구

        전청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이효석 소설의 성적 모티프를 단순히 심미주의적이고 탈정치적인 에로티시즘이 아닌 정치적이고 문화적인 구조가 교차하는 섹슈얼리티의 관점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이때의 섹슈얼리티는 생물학적이고 본질적인 본성이 아닌 역사적이고 불안정한 구성물을 지칭한다. 이효석은 소설 속의 성적 모티프를 통해 정치적으로 탈색된 자연적 원시성을 지향한 것이 아니라, 주체와 타자, 미학, 혼종성이 교차하는 정치적 사유를 확장시켜 그의 성의식을 소설의 모티프로 발현한 것이다. 따라서 이효석의 문학작품 속 성의식은 정치적이고 역사적인 맥락 안에서 다층적이고 혼종적인 양상을 띠고 있으며, 사회주의적 동반자 문학과 모더니즘적 문학으로 양분화된 그의 문학적 갈등과 진폭을 아우르는 경향을 가진다. 식민주의, 구라파주의, 젠더, 주체 등의 여러 권력 관계를 조명해볼 수 있는 풍부한 연구 주제인 섹슈얼리티의 양상을 본고에서는 세 장으로 나누어 설명해보았다. Ⅱ장의‘가족로망스의 재편과 전복적 섹슈얼리티’에서는 이효석의 소설 속 가족로망스의 모티프가 아버지와 어머니, 아이를 중심으로 하는 오이디푸스적 구조가 아닌, 식민지적 고아의 무의식을 통해 비오이디푸스적 근친상간의 욕망을 가지는 전복적 섹슈얼리티의 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때의 근친상간의 모티프는 정신분석학적 오이디푸스의 구조로 환원되지 않는 분열분석적 성격을 띠며,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적 담론을 균열시키는 미시적이고 혁명적인 정치성으로 드러난다. 또한 모성에 대한 은유와 누이 콤플렉스를 통해 여성 인물을 남성 주체의 대타항으로 그려내었던 한국 근대문학 속 가족로망스의 전형성에서 벗어나, 인륜적 자매애를 사회적 보편성으로 확장시키는 주체적인 여성상을 그려내며 여성 식민지적인 가족로망스를 재편하는 의의를 지닌다. Ⅲ장의 ‘남성동성사회의 균열과 탈아적 섹슈얼리티’에서는 이효석의 소설 속에서 남성성이 재구성되고 도전받는 양상을 설명하였다. 보편적이고 지배적이라고 생각해왔던 남성성 또한 복합적이고 상호모순적인 담론으로 구성된 불안정한 결과물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효석의 소설 속에서 동성애의 모티프는 자연적이고 순수한 성이 아닌 남성동성사회의 젠더 권력과 교차하는 다층적인 양상을 가짐으로써 유동하는 남성성의 모습을 보여주는 담론의 무대로 그려진다. 따라서 이효석의 소설 속 동성애는 호모에로티시즘이 제거된 이상적인 남성 간의 우애를 뜻하는 남성결사적 동성애의 면모를 보이고, 남성동성사회 욕망과 맥을 함께하며 균열된 남성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남성동성사회 욕망 안에서 남성성은 일련의 타자들에 대한 지배를 통해 권위를 정립하는데, 이효석의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은 이러한 타자화와 객체화의 시선에 대항하여 유령의 모습으로 자신을 현시한다. 스스로를 여성 유령의 모습으로 가시화하는 여성 인물들은 남성중심주의적 시선에 응하면서도 이를 불완전한 상태로 재현하며 젠더 권력의 위계를 교란시키는 역할을 드러낸다. 단일한 타자가 아닌 혼종화된 유령적 주체들을 통해 권위적인 동일성의 담론에 균열을 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효석의 소설 속 남성성은 자기정립적인 지배적 권력이 아닌 타인의 인정에 의존해서만 존재할 수 있는 탈아(脫我)적인 담론의 구성물임을 확인할 수 있다. Ⅳ장의 ‘물화된 성애의 내파와 전위적 섹슈얼리티’에서는 이효석의 소설에 나타난 전위적인 성적 모티프들의 모습이 물화된 성애를 내파하는 정치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효석의 소설 속 남성 인물들은 관음증적인 시선을 통해 제국주의적 남성성과 여성을 물화시키고 대상화하는 욕망을 드러낸다. 그러나 이러한 관음증적인 시선에는 이러한 환상을 해체시키고 수치심을 불러일으키는 모티프가 함께 존재하며, 이를 통해 ‘식민지-국민-여성’을 대상화하는 ‘제국-국가-남성’의 시선이 성찰의 의식을 가지고 균열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효석의 소설 속 여성의 신체를 물화하는 남성주의적 시선을 농락하는 팜므파탈의 여성 인물들은 상징계의 권력과 부분대상에 집착하는 남성적 주체의 실체를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여성 인물들은 여성적 주이상스라는 실재의 행위를 통해 상징계의 균열과 공백을 시사하는 정치성을 가진다. 이처럼 이효석의 소설 속 섹슈얼리티의 양상을 살펴보면, 그의 작품에 나타난 성적 모티프들이 단순한 자연주의나 미의식에만 치중되어있지 않고 오히려 정치적이고 역사적인 맥락과 함께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식민주의와 제국주의, 주체와 타자, 젠더와 성애와 같은 주제들과 이에 대한 명백한 자의식이 그의 작품 내에 산포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작가 스스로가 지닌 정치적 지향이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를 통해 이효석의 문학작품을 바라볼 경우, 동반자 문학이 보여주는 사회주의적 지향과 그 이후의 모더니즘적인 지향을 단절적인 것으로 바라보았던 기존의 독해를 재고해볼 수 있으며, 파시즘 혹은 제국주의적 보편주의로 비판받았던 정치적 의식의 전략과 내용 또한 재구축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Lee Hyo-seok’s novels from a sexuality approach interwoven with politics and cultures, instead of an esthetic and non-political eroticism. The sexuality approach of this study refers to historical and unstable constitutes, not biological and intrinsic human nature. Through such sexual motives represented in his novels, Lee Hyo-seok manifested his sexual awareness into novels by expanding political thoughts that are intersected with subjects, others, esthetics and hybridity. Therefore, a sexual awareness represented in his works have multi-layered and hybrid aspects in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contexts. This paper explains the sexuality aspects that can shed light on many different relationships of authority including colonialism, Europeanism, gender, and subjects. The following three sub-sections specifically explain this topic. In the first section titled ‘Reorganization of Family Romance and Subversive Sexuality,’ I explain the family romance motive represented in Lee Hyo-seok’s novel in a view that incestuous crave that stem from an orphan’s unconscious. This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edipus organization that cent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mother and children. This motive presents a schism-analysis that is not transferred to an Oedipus’ structure, which shows a micro-political, revolutionary politics that cracks the imperialist structure. In addition, I explained that how Lee’s works have reorganized the traditional family romance motive that focused on colonization of female, maternity, and a sister-complex, which depicted a woman subject that counters men. Importantly, Lee drew independent images of women in his works, which pushes a traditional modernistic Korean literature forward that depicted a family romance in a typical way. In the third section titled ‘rifts of homo-society and ecstatic sexuality,’ I explain how Lee Hyo-seok’s works that highlighted masculinity-related discourses have been challenged by complicated and contradictory discourses. In Lee’s novels, homosexual love was depicted in a sense that has masculinity intertwined with gender authority, rather than naturalistic sexuality. Hence, Lee’s novel represents a masculine bond that homoeroticism is removed. This implies a rift within the masculinity, which is in line with a homo-society. In addition, masculinity in a homo-society sets up authority through dictating others, and women subjects in Lee’s novels supports this argument by detaching and objecting themselves. Perceiving themselves as a ghost, women subjects in his novels tend to disturb the gender-authority hierarchy. They follow the men-centric viewpoint while representing themselves as unstable ones. This approach ultimately confuses an authoritative homogeneity. Masculinity in Lee Hyo-seok’s works exists on such a feeble basis, which is achieved by relying on others’ acknowledgement. In the fourth section titled ‘sexual objectified implosion and subversive sexuality,’ I further explain how subversive sexual motives represented in Lee Hyo-seok’s novels imply political attributions. Male figures in Lee’s works present imperialistic masculinity that objectifies feminine via a voyeuristic viewpoint. However, such views imply motives that raise shamefulness, which confirms a rif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mperialism-nation-men’ that objectifies ‘colony-people-women.’ Also, novels of Lee Hyo-seok reveal a truth behind of men that sticks to a symbolic authority and partial objects through femme fatales. These women imply a rift and a void of symbolism through feminine jouissance. In all, Lee Hyo-seok’s works have political and historical implications, beyond naturalism and aesthetic consciousness. Topics including colonialism- imperialism, subjects-objects, and gender-sexual love, and self-consciousness are prevalent in his works. Lee implies his political orientations through the lens of his works. Therefore, this study can help people reconsider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Lee’s works, which separated a socialist orientation from a modernistic orientation. In the end, I hope re-structuring political consciousness and content in his work that have been criticized as imperialism and fascism.

      • 미용전공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이주현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이 행 복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미용계열 학과 재학생 450명 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 후 통계패키지에 의한 분석을 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삶의 만족도가 행복 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적인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으며, 자기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분 채택되었다. 그리고 회복탄력성이 행복 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내향적 행복감과 자기조절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 향력에서는 유의적으로 모두 채택된 반면, 외향적 행복감과 관계적 행복 감은 부분 채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미용전공 대학생의 삶의 만족 도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내·외향적 관계적, 자기조절 행복감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자기 효능감의 하위요인으로서 과제난이도가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점과, 회복탄력성의 대인관계능력이 행복에 부분적인 부(-)의 영향 을 미치는 점에서 현재 미용전공 대학생의 학업적 부담, 개개인의 심리 적 요인과 더불어 대인관계의 어려움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정적인 정서보다는 긍정적인 삶의 만족에 관심을 갖고 개인의 환경적, 심리적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n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t. To achieve this, a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analysis after an empirical survey of 450 college students from the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adopting the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happiness.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happiness was partially adopted. And both the effect of resilience on introverted happiness and the effect of resilience on self-regulated happiness were significantly adopted in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happiness, while the effect of resilience on extroverted happiness and the effect of resilience on relational happiness were partially adopted. Which indicates that all their lif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introverted, extroverted, relational and self-regulated happiness. However, their happines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academic burdens, psychological factors and interpersonal difficulties in that task difficulty as a subfactor of self-efficacy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an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s a subfactor of resilience has a partial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Consequently, they are highly affected by their environment and psychology with a more interest in positive life satisfaction than negative emotion.

      • 강소천 아동문학의 윤리의식 연구

        허난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ildren’s stories of Gang So-cheon from a perspective of ethics of the other to examine the educational nature of the children’s stories of Gang So-cheon. Through this, it revealed how Gang So-cheon, who wrote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Korean War, embodied ethical behavior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reconsiders the educational nature of children's literature as required in the present era in relation to educational nature as the main reason for the existence of children's literature, and it examines ethical consciousness as we should pursue it in the future. To this end, this paper borrowed Levinas' ethics of the other. Levinas raised issues with subject-centered philosophy, focused on others in their naked form, and insisted on other-centered ethics. This is because social contradictions in which the lives of others are trampled and filled with pain by identified subjects who exclude, suppress, and use violence against others has emerged as a great problem. Gang So-cheon is a writer who received both negative and positive reviews in terms of educational quantity and quality, but the educational quality of Gang So-cheon’s literature has not been scrutinized in detail in past research. Therefore, this paper specifically revealed that the educational nature found in the children’s stories of Gang So-cheon aimed at revealing ethics of the other. Based on the fact that the subject of research is children's literature, this study divided the characters of Gang So-cheon’s children’s stories into adults and children, sectioned subjects according to gender to establish gender equality, and examined ethics of the other discovered among men, women, boys, and girls. In addition, this paper focused on the fact that Gang So-cheon embodied a deeper sense of ethics as the age of his readers increased and classified Gang So-cheon’s children’s stories into childhood fairy tales, general fairy tales, and children's novels, and it described the ethics of others in the childhood fairy tales of Gang So-cheon as "responsibility ethics" in Chapter II, those in general fairy tales as "hospitality ethics" in Chapter III, and those in children’s novels as “substitution ethics” in Chapter IV.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hildhood fairy tales of Gang So-cheon observed in Chapter II, men take care of children in a non-patriarchal manner and make a sweet home while women do maternal activities, protecting the lives of the children and delivering educational teachings to them. Since children who deviate from the teachings of their mother suffer from a life crisis, strong motherhood is required to protect the lives of the children. In this way, fathers and mothers perform responsibility ethics in a way that helps children live well by protecting and maintaining the lives of children and delivering teachings. Boys enjoy the outside world, become frustrated, experience subjectivation, instrumentalize nature, and damage others. But this attitude is criticized through the ending of the work or through other characters, and a thematic consciousness comes to light that one must coexist with other lives according to the prohibition order against killing others. With girls, there are a variety of characters, from selfish subjects to those who exercise care, and details of characters from selfish subjects to ethical subjects to those in between are revealed in detail. Girls were embodied into images that act with care for others and carry out responsibility ethics. In the childhood fairy tales of Gang So-cheon, adults are superior while children are incomplete and they perform and receive responsibility ethics in a beneficent and receptive manner but they are placed within ethical relationships and not relationships of power. In the general fairy tales of Gang So-cheon discussed in Chapter III, realistic social images are reflected in more detail, and situations of deficiency caused by an absence of family are expressed in detail. The father is absent or lives alone apart from his family, and single men, including the father, live as strangers and other people and are welcomed by the subject. In addition, men who welcome others crack the hegemonic masculinity of the times and present an ethical male image. The roles of women are reduced due to death or illness and stepmothers appear, and the dichotomous femininity of good mother-bad stepmother is rejected through works that embody the positive stepmother and the negative mother. If the mother survives, the mother becomes a surrogate head of the household in the absence of her husband, leads a mother-centered family, lives as a strong woman, and tries to warmly receive children. In the general fairy tales of Gang So-cheon, men who welcome others and women who care for children immediately respond to the appeal of others by virtue of metaphysical desires. Boys feel deficits such as poverty, longing, and loneliness, but they empathize with others using such deficits as a driving force and they perform ethical acts. However, some boys appear as identical subjects, resisting with peace mediators, and patterns appear in which hospitality ethics are practiced by peace mediators. Girls make efforts on their own to resolve internal and external deficits and their immaturity as children is enhanced ethically and internally with external help. In addition, the need for hospitality and absolute hospitality is raised by the selfish girl and the girl who realizes the problems of subjects performing conditional hospitality. In the children's novels of Gang So-cheon, which were examined in Chapter IV, various images of subjects who practice substitution ethics towards others through becoming a family are revealed. Men teach their abilities or donate their abilities to others, and women use their abilities and labor to become a family to others and practice substitution ethics. Boys become orphaned or become functional orphans, struggling to survive and longing for subjects to become family. In addition, boys labor to provide economic aid to others, carrying out substitution ethics, and becoming reborn as ethical subjects who experience the lives of others through becoming others. Girls also unfold their talents to help other children economically and practically, and in this process, ethical behavior expands to third parties. The backgrounds in the children’s novels of Gang So-cheon expand to the nation and abroad, and local children are dually otherized as local and central areas are ranked but as children become local and ethical subjects, they create cracks in fictional local concepts and overthrow placeness. Also, in the children’s novels of Gang So-cheon, adults and children who perform substitution ethics for others sacrifice for others when their survival is at stake, but their sacrifice at this time is based on active and voluntary attitudes and not passive and oppressive actions and this moves towards the completion of an ethical subject. This paper examined the ethics that should be pursued and sought by the present era in terms of contact with children's literature. And through this, reconsiderations were made of the value of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educational nature of the children’s stories of Gang So-cheon. The possibilities of ethics of the other were read into as examinations were made of the ethics in children’s stories of Gang So-cheon and based on this, demands were made for a need to rebuild a more complete ethical consciousness from a gender perspective, a peaceful perspective, an ecological perspective, and a global perspective.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boosted and reflected upon this problem awareness. 본고의 목적은 강소천의 동화를 타자윤리라는 관점에서 규명하며 강소천 동화의 교육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전후의 시기에 집필을 한 강소천이 주체와 타자 간에 벌어지는 윤리적 행위를 어떻게 형상화했는가를 밝혀내었다. 이는 아동문학의 주요 존재 이유인 교육성과 연관해 현시대에 요구되는 아동문학의 교육성을 재고하고, 앞으로 우리가 지향해 나가야 할 윤리의식을 고찰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를 차용하였다. 레비나스는 주체중심철학에 문제를 제기하고 벌거벗은 타자에 집중하며 타자중심의 윤리학을 주장했다. 이는 타자를 배제하고 억압하며 타자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동일화 주체에 의해 타자의 삶이 짓밟히고 고통스러워지는 사회적 모순이 크나큰 문제로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강소천은 교육성의 양과 질에서 부정적인 평가와 긍정적인 평가를 동시에 받은 작가이지만, 그간의 연구사에서 강소천 문학의 교육성이 구체적으로 천착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강소천의 동화에서 발견되는 교육성이 타자윤리를 드러내는 데에 목적이 있었음을 구체적으로 밝혀내었다. 본고에서는 연구대상이 아동문학이라는 점에 기반해 강소천 동화의 등장인물을 성인과 아동으로 나누고, 성평등한 윤리학의 정립을 위해 성별에 따라 인물을 구획하여 남성, 여성, 남아, 여아에게서 발견되는 타자윤리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강소천이 독자의 나이가 높아짐에 따라 더욱 심화된 윤리의식을 작품 속에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강소천의 동화를 유년동화, 일반동화, 아동소설로 분류하고, 강소천 유년동화의 타자윤리는 Ⅱ장의 ‘책임 윤리’로, 일반동화는 Ⅲ장의 ‘환대 윤리’로, 아동소설은 Ⅳ장의‘대속 윤리’로 집약됨을 서술하였다. 그 결과를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 살펴본 강소천 유년동화에서 남성은 탈가부장적인 모습으로 아동을 돌보며 스위트 홈을 만들고, 여성은 아동의 생명을 보호하고 아동에게 교육적인 가르침을 전하며 모성적 활동을 하였다. 어머니의 가르침을 벗어나는 아동은 생명의 위기를 겪기 때문에 아동의 생명 보호를 위해서는 강력한 모권이 요구되었다. 이렇게 아버지와 어머니는 아동의 생명을 보호, 유지하고 가르침을 전해 잘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방식으로 책임 윤리를 수행한다. 남아는 외부 세계를 향유하고 좌절하며 주체화되거나 자연을 도구화하며 타자를 훼손하지만, 작품의 결말이나 다른 등장인물을 통해 이런 자세가 비판된다. 이를 통해 타자의 살해금지명령에 따라 다른 생명과 공존해야 한다는 주제의식이 드러난다. 여아는 이기적인 주체부터 돌봄을 행사하는 주체까지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며 이기적 주체에서 윤리적 주체, 그 사이에 속한 인물의 면면이 자세히 노정된다. 여아는 타자에 대한 돌봄을 수행하며 책임 윤리를 수행하는 모습으로 형상화되었다. 강소천 유년동화에서 성인은 우월한 존재, 아동은 미완의 존재이며, 이들은 시혜적, 수용적인 태도로 책임 윤리를 수행하고 받지만, 이들은 권력 관계가 아닌 윤리적 관계 안에 놓인다. Ⅲ장에서 살펴본 강소천 일반동화에서는 현실적인 사회상이 더 자세히 반영되며, 가족의 부재 등으로 인한 결핍 상황이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아버지는 부재하거나 가족 등과 떨어져 홀로 살아가는데, 아버지를 포함한 독신 남성은 이방인, 타자로서 살아가며 주체의 환대를 받는다. 또한 타자를 환대하는 남성은 당대의 패권적 남성성에 균열을 가하며 윤리적인 남성상을 제시한다. 여성은 죽음이나 병 등으로 작중 비중이 축소되어 새어머니가 등장하기도 하는데, 긍정적인 새어머니와 부정적인 어머니가 형상화되는 작품을 통해 착한 엄마-나쁜 새어머니라는 이분법적 여성성이 지양된다. 어머니가 생존한 경우, 어머니는 남편의 부재에 따라 대리 가장이 되어 모중심 가정을 이끌며 강인한 여성으로 살아가고 아동을 환대하기 위해 노력한다. 강소천 일반동화에서 타자를 환대하는 남성과 아동을 돌보는 여성은 형이상학적 욕망에 의해 타자의 호소에 즉각적으로 응답하는 모습을 보인다. 남아는 가난, 그리움, 외로움 등의 결핍을 느끼지만, 그 결핍을 동력으로 타자에게 감정이입을 하며 윤리적 행위를 수행한다. 그러나 일부 남아는 동일화 주체로 등장하며 평화중재자와 길항하고, 평화중재자에 의해 환대 윤리가 행해지는 양상이 발견된다. 여아는 내적, 외적 결핍을 해소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을 기울이며, 아동으로서 미숙한 점은 외부의 도움을 받아 윤리적, 내적으로 고양된다. 그리고 이기적인 여아, 조건적 환대를 수행하는 주체의 문제점을 깨닫게 하는 여아에 의해 환대와 절대적 환대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Ⅳ장에서 살펴본 강소천 아동소설에는 가족 되기를 통해 타자에게 대속 윤리를 행하는 주체의 모습이 다양하게 노정된다. 남성은 자신의 능력을 타자에게 가르치거나 능력을 기부하고, 여성은 능력을 살리고 노동을 해서 타자에게 가족이 되며 대속 윤리를 행한다. 남아는 고아나 기능적 고아 상태 등에 처하면서 생존하기 위해 분투하며 가족이 되어줄 주체를 갈망한다. 또한 남아는 타자에게 경제적인 도움을 주려고 노동을 하며 대속 윤리를 수행하고, 타자 되기를 통해 타자의 삶을 경험한 남아는 윤리적 주체로 거듭난다. 여아도 자신의 재능을 펼치며 타자 아동을 경제적, 실제적으로 돕고자 하는데, 이런 과정에서 제삼자에게까지 윤리적 행위가 확대된다. 강소천 아동소설은 국가, 국외로까지 배경이 확대되어 로컬과 중심부가 서열화 되며 로컬의 아동이 이중으로 타자화되지만, 아동은 로컬적 주체, 윤리적 주체가 되면서 허구적인 로컬 개념에 균열을 내 장소성에 전복을 가한다. 그리고 강소천 아동소설에서 타자에게 대속 윤리를 수행하는 성인과 아동은 자신의 생존이 위태로운 상황에서 타자를 위해 희생하지만, 이때의 희생성은 수동적, 억압적인 행위로서가 아니라 능동적, 자발적인 태도를 전제로 이루어져 윤리적 주체의 완성을 향해 나아가게 한다. 본고에서는 현시대가 추구하고 지향해야 할 윤리의식이 무엇인가를 아동문학과의 접점 속에서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아동문학의 가치와 강소천 동화의 교육성에 대한 재고가 이루어졌다. 강소천 동화의 윤리의식을 고찰하며 타자윤리의 가능성을 읽어내었는데, 이를 토대로 젠더적인 관점, 평화적인 관점, 생태적인 관점, 글로벌한 관점에서 보다 완성도 있는 윤리의식을 재건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보다 진작하고 성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