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팀 리더의 감성리더십이 팀 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종철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21세기 들어서 세상의 지식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디지털 사회로 급속도로 변화되고 있다. 세상이 변화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변화하는 세상에 맞춰 능동적으로 변화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주도할 지도자와 리더를 우리 사회는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팀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팀 리더의 감성리더십을 주축으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호텔기업이 경쟁력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감성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직무성과를 위한 다양한 측면에서 실질적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호텔조직의 역량을 극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체계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ㆍ경기 지역의 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팀 구성원의 감성리더십, 팀 구성원의 자기효능감, 직무성과 요인들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요인분석 결과 감성리더십은 ‘관계관리능력’, ‘자기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사회적인식능력’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선행연구와 같은 요인들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를 사용하여 연구하는 것이 의미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른 변수들과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일반 기업과 제조업에 관한 감성리더십 연구는 많지만 호텔의 감성리더십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결과 감성리더십이 제조업과 일반기업 모두에서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첫째, 팀 리더의 감성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함으로서 “팀 리더가 팀 구성원에게 지속적인 감성적 리더십을 요구되어 진다.”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즉 팀 리더는 감성적 리더십을 지속적으로 하므로 종업원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여 활기차게 근무환경 및 분위기가 형성되고 가게의 전반적인 분위기도 밝아 질것이다. 둘째, 팀 리더가 자신에 대한 감정과 능력을 파악하며 이를 통하여 새로운 기회와 목표에 도전함으로써 팀 구성원들에게 새로운 비전과 함께 동기부여 시킨다면 팀 구성원들은 각자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과 함께 자신감 또한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호텔기업은 팀 리더가 감정과 능력, 장점 및 단점, 자신의 성격 등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여야하고, 이를 위해 호텔기업에서는 팀 구성원들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리드할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 이다. 또한 리더를 통하여 리더 자신과 주변 종사원들과의 인간관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조직의 감성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관리자들을 위한 리더십과 관련된 여러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위의 내용에서 살펴본 것처럼 팀 리더는 자신 스스로 내면을 파악하고, 구성원의 감성을 배려하고 이해하는 것과 동시에 조직 구성원들과 관계를 자연스럽게 형성해야 할 것이다. 호텔기업은 조직 구성원이 점점 다양해지고 팀 구성원들의 가치관이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이처럼 팀 리더는 일상생활에서 팀 구성원들이 느끼는 감성을 이해하고 이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팀 구성원들 스스로의 감정에 대해 통제하고 이를 활용하여 직무 수행능력에 대한 믿음과 함께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믿을 수 있으며 각자의 일에 더욱 노력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하는 과정에 있어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지 작성 시 감성리더십의 경쟁요인에 관한 수많은 변수들 가운데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요인 몇 가지를 선정하여 조사하여 분석한 것은 호텔마다의 환경의 다르다는 기업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연구자 판단에 의해 설정한 것에 문제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실증조사가 이루어졌다. 좀 더 정확한 연구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 교육프로그램의 실시여부에 따라 효과성 검증이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호텔에서 감성지능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이 실행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서로 다른 관점에서의 비교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Entering the 21st century, the society is rapidly evolved into a new digital society based on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the world. It is an inevitable fact that the world is changing and people could survive if they should actively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world. Our society needs leaders to lead this shift. This study thus aimed to identify effects on self-efficacy mainly focused on emotional leadership of team leaders as an influential factor on job performance of team members, propose strategic implications of emotional leadership and self-efficacy for hotel companies to hold competitive positions, thereby suggesting practical research directions for job performance in diverse aspects as well as systematic basic data contributing to maximizing competence of hotel organizations. This study conducted survey among hotel employees in Seoul and Gyeonggi-do for empirical research. The following results show several implications by testing influential associations of emotional leadership, self-efficacy of team members, job competence, and factors. First, analysis of factors suggested that emotional leadership consists of “ability of maintaining relationships,” “self-perception ability,” “self-control ability,” and “socially cognitive ability.” This composition was found to consist of factors as shown in earlier studies. It is meaningful to conduct research by using variables employed in this study and proposed theoretical evidence to be adopted in research with other relevant variables. Previous studies mainly focused on emotional leadership regarding general companies and manufacturing industry, while there is little research on emotional leadership in hotels. This study found that emotional leadership gave positive impacts on job performance both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general companies. First, it proposed the direction that “team leaders are required to show constant emotional leaderships towards team members” identified as emotional leadership of team leaders give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In other words, active working environment and ambience will be created and overall store mood will be brightened by employees' self-efficacy will be boosted as team leaders keep on showing emotional leadership. Second, individual team member is expected to be confident with their individual ability and their confidence will be promoted as team leaders understand their own emotion and abilities, challenge new opportunities and goals, and ultimately motivate them with a new vision. Therefore, hotel companies should understand emotion, abilities, strong points and bad points, and personalities of team leaders exactly and develop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to lead team members in a desirable direction. Moreover, it should operate a couple of systematic programs associated with leadership for executive members to help them manag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 and their own employees and enhance organizational emtional competence. As seen above, team leaders should reflect their inner minds, consider how members feel, and naturally form relationships with members at the same time. Members are diversified and their values are rapidly changing in hotel companies. Thus, team leaders will have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their emotions and maintain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m. It is strongly confirmed that these efforts will help members control their emotions, trust their job performing abilities by using them, and exert their abilities under tough situations, and make more efforts in what they do.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in the course of research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lied in the fact that selecting a couple of factors considered important among many variables on competitive factors of emotional leadership,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m in case of writing questionnaires did not consider different corporate characteristics that environments vary according to hotels and set them solely judged by the researcher. Second,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regardless of whether education on emotional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carried out. Effectiveness needs to be tested depending on whether education on emotional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undertaken to elicit more accurate results.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assumed to compare results from another perspective depending on whether educational programs associat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in hotels are performed.

      • 외식기업의 밀키트 제품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조절초점에 의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김지은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사회의 변화에 따라 1∼2인 가구와 맞벌이 증가 및 고령화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였다. 또한 산업 전 분야에서 편의성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는 식생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소비자들의 효율적 시간 활용에 대한 욕구 증가로 인하여 간편하게 식사할 수 있는 밀키트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밀키트의 맛, 품질, 편의성, 다양성, 가격 등의 평가를 통해 지각된 가치에 따라 호의적 또는 비호의적인 태도를 보이게 되며, 이러한 태도는 밀키트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밀키트 구매 의사결정 구조의 이론 체계의 확장과 심리적 관점에서 소비자의 밀키트 구매 행동을 분석하여 밀키트 제품개발에 필요한 마케팅 차별화 전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외식기업의 밀키트 제품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조절초점에 의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밀키트 이용 경험이 있는 30∼50대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가설에 대한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밀키트 내재적속성인 맛과 품질은 모두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밀키트의 내재적속성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맛보다 품질이 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밀키트 외재적속성의 편의성, 다양성, 가격은 모두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밀키트 제품의 외재적속성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은 가격, 다양성, 편의성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밀키트 제품에 대한 지각된 가치는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가 밀키트를 구매 후 지불한 비용대비 밀키트 제품속성에 대한 맛, 품질, 편의성, 다양성, 가격 등의 전반적인 평가를 통해 지각된 가치가 높아져 소비자의 호의적인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하였다. 넷째, 밀키트 제품에 대한 계획행동이론의 태도, 주관적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키트 제품에 대한 계획행동요소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주관적규범,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 순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계획행동이론의 태도, 주관적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밀키트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예방초점의 조절효과는 태도와 주관적규범에 정(+)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행동통제는 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계획행동요소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예방초점의 조절효과는 부분 채택되었다. 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예방초점의 조절효과가 음(-)의 영향을 미침에 따라 예방초점 성향이 높을수록 밀키트 제품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Along with social changes, the number of single- and two-person households and dual-income households has increased, and the aging population has increased the elderly population. In addition, consumers' desire for convenience in all fields of industry has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dietary life, and the market for meal kits that can be eaten conveniently is growing rapidly due to the increasing desire of consumers to use their time efficiently. Consumers show a favorable or unfavorable attitude depending on the perceived value through evaluation of meal kits' taste, quality, convenience, variety, price, etc. this attitude affects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l kits. Accordingly, by expanding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meal kit purchase decision-making structure and analyzing consumers' meal kit purchase behavior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the need for research that can help with marketing differentiation strategies necessary for developing meal kit products has been raised. Therefore, the study by applying the extended planned behavior theory, is analysed as the effect of the meal kit product attributes of foodservice companies on the purchase intention by the perceived value and the regulatory focus, and desired to present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onsumers in their 30s to 50s who had meal kit experience, and the effect relationship on the hypotheses was verified.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both taste and quality, which are intrinsic attributes of meal kit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and the quality has more influence than the taste in the effect of the intrinsic attributes of meal kits on the perceived value. Second, the convenience, the variety, and the price of extrinsic attributes of meal kits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In this regard, the influence of the extrinsic attributes of meal kit products on the perceived value was found to have an influence in the order of the price, the variety, and the conveni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value of meal kit produc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erceived value increases through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taste, the quality, the convenience, the variety, and the price of the meal kit product attributes compared to the cost that the consumer paid after purchasing the meal kit, which affects the formation of a favorable attitude of consumer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 the subjective norm, and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the planned behavior theory toward meal kit produc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The influence of the meal kit product planning behavior factors on the purchase intention was confirmed in the order of the subjective norm, the attitude, and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he subjective norm, and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the planned behavior theory on the meal kit purchase intention, the regulatory effect of the prevention focus was found to play a positive(+) role on the attitude and the subjective norm, but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ppeared to play a negative(-) role. Therefore, the regulatory effect of the prevention focus was partially adopted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planning behavior factors on the purchase intention. As the regulatory effect of the prevention focu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and the purchase inten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prevention focus, the more negative the attitude toward the meal kit products.

      • 단체급식 조리종사원의 주방환경이 직무만족과 장기근속에 미치는 영향

        이길영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itchen-condition to cooking employee's satisfaction of working and how satisfaction affects on continue of service'. I hope this essa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mpanies to draw up efficient human resource control plan, improve their outcome. And also, develop better kitchen-condition managing program for those working on institutional food-service area. Pre-investigation was performed with survey-questions made through advanced research to fulfill this study. After credibility and validity testing, questions were rectified, then I started researching and analysing. 'SPSS Window Ver, 21.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working on analysing collected-survey. The results were. First of all, on the thesis 'kitchen-condition positively affects on worker's satisfaction', working-condition does significantly impact on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facility-condition does not. Because of the growth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market and inroad of major firms, facilities, the physical environment, are having systemic growth. This steady growth might be the major reason why 'physical environment' does not give that much impact on satisfaction. Second, worker's satisfaction does significantly impact on continuing their service. When workers feel satisfied, they look their group on the bright side and make amicable personal relationships, which lower negative factors on their work. Thus, this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s on 'maintaining employment and employment stability'. These are what continuous service means in institutional food service market. For the last one, on the thesis 'kitchen-condition positively affects on continuous service', working-condition(non-physical) significantly impacts on. On the other hand, working(physical) and facility conditions do not. Interior and exterior working-condition are stood out as major point these days. The company itself and every external factors are now included as working-condition. Working(physical) and facility condition are key point on production. However, working(non-physical)-condition is of great importance the former factors, and need to be recognized as crucial point on employment problem. These are implications in accordance with former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actors in this study, kitchen-environment in institutional food service can be divided into three constituents; physical working environment, facility environment, and non-physical working physical working environment. This formation was verified with former study. Using these factors in study is meaningful, and also give theoretical grounds to other studies related to this research. Second, other variables can be applied to verify casual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this study. And also, these kind of studies would work as basic data to improve on management of institutional food service worker and their environment. The limitation and later research directions are: First, example was made in locally limited range, since the survey was only answered from those working on capital area. It is hard to generate since the target is all of those engaging in institutional food service market. Second, this study has confines since it was based only on advanced research. This confines need to be supplemented. And also, more detailed and systematic study is required. For the last one, study of kitchen-environment for workers in institutional food service is not enough. Additional study on this issue will be need. 본 연구에서는 단체급식 조리종사원들의 주방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직무만족이 장기근속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와 기업 성과를 향상시키고 단체급식 조리종사원의 주방환경을 개선하고 운영관리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설문문항을 구성하고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실시하고 문항에 대한 수정을 통해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SPSS Window Ver, 21.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방환경요인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에서 작업환경과 직무환경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설환경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체급식 시장규모의 성장과 대기업의 시장진출로 인하여 주방의 물리적 환경인 시설환경은 규모와 시장경제의 영향으로 체계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어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직무만족은 장기근속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만족을 통하여 자기가 속한 조직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원만하고 만족스러운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직무에 대한 부정적 요인들이 감소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직무만족은 장기근속의 개념인 단체급식 시장의 고용유지와 고용안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주방환경요인이 장기근속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에서 직무환경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작업환경과 시설환경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조직 내 외적인 직무환경이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기 시작하였고 조직 그 자체와 외부에 있는 모든 요인들을 직무환경의 범주에 포함 시키고 있다. 작업환경이나 시설환경은 제품을 생산하는 직접적인 요인 이외에 단체급식 시장에서 간접적인 요인으로 판단 할 수 있는 직무환경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고 고용문제에 있어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요인분석 결과 단체급식 주방환경은 작업환경, 시설환경, 직무환경 요인으로 구성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은 선행연구와 같은 요인들로 구성되었는지 확인 하였다. 변수를 사용하여 연구하는 것이 의미가 있고 관련된 다른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한 것에 의미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변수들을 적용하여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이러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단체급식 조리종사원의 주방환경에 운영관리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서울, 수도권 위치한 단체급식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 졌으며, 표본 추출에 있어 지역적 제한된 범위에서 이루어졌다. 단체급식 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키는 데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단체급식 종사원의 주방환경, 직무만족, 장기근속대한 하부요인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한정적인 연구로 볼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향후 단체급식 종사원의 주방환경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외식기업의 조직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상웅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외식기업과 같은 서비스 산업의 경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만족한 고객으로 인해 서비스 상품에 대한 고객충성도는 높아져 결국 기업의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어왔다. 그러므로 서비스 업계의 대표적인 외식산업에서는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인적자원의 활용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식기업의 조직공정성, 궁극적으로는 조직시민행동을 비롯해 직무만족, 조직몰입 등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외식기업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며 향후 외식기업 종사원의 조직공정성에 더 효율적이며 다양한 방향을 제시해 조직 관리를 통해 기업성과 간 관계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며,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확보, 적용상 문제점을 검토하기 위하여 본 조사에 앞서 예비조사(pretest)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6월 1일부터 10일까지 10일 동안 실시하였으며, 본 조사는 2015년 7월 1일 ~ 7월 30일 까지 30일 동안 실시하였고, 설문조사는 면접원이 직접 외식기업을 방문하거나, 외식업계 종사원에게 조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협조를 얻어 설문자들이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공정성 요인 중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요인 모두‘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시민행동 요인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시민행동 요인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공정성 요인 중 ‘상호작용 공정성’ 요인만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공정성 요인 중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 요인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배공정성’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의 검증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조직시민행동이 높아지게 되면 직무성과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있다. 결과적으로 외식기업의 조직공정성을 통한 종사원의 조직시민행동의 상승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인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게 되고, 이는 외식기업의 효과적인 운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외식기업 종사원들의 직무 성과 차원에서 조직공정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직공정성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직무수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공정한 대우 및 처리 과정을 강화하여 조직효과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기업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결정하는 요인은 일반 기업의 종사원에 비하여 인적서비스를 행하는 종사원들이 상호작용 공정성 즉, 권리의 존중이나 예의 등 대인적 처우의 지각이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 결과는 서비스 종사원들의 인적자원 관리 시 이들의 감정이나 인격, 대인적인 처우 등을 중심으로 관리 경영한다면 고객 만족은 물론 기업의 경영성패를 좌우하는 큰 지표가 될 것이다. 둘째, 종사원들은 자신들의 직무에 만족을 느끼고, 자신들의 직무에 만족할 때 자신들의 조직에 대해서도 만족 할 수 있으며, 조직에 대한 충성도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외식기업 종사원 역시 자신들의 직무에 대해서 만족할수록 자신들이 근무하는 조직에 대한 강한 애착심을 갖게되어 몰입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외식기업의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측정하여 이에 대한 기대효과를 추정해보았다. 이는 외식기업 종사원들의 조직공정성 연구들은 개념적이며 직관적인 연구들을 진행한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선행연구들 보다 발전적인 이론적 기여를 할 수 있다는 데 있어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조직공정성을 측정함에 있어 다양한 설문 진행의 어려움으로 인해 보다 다양하며 일반화된 조사를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필요성이 있다.

      •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테이블구성요소의 선택속성 연구

        이상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consider about direct food space such as furniture and spatial lay-out in addition to food production, table components, and table for meals, and to propose the composition and direction of food space through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awareness of food space, utilizing lifestyles.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272 adults and conducted th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aired t-tes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is used IP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able setting components were classified into dinner ware and table devices. The table exterior components are classified into lighting, lighting device factors, fresh environment and interior factors. The lifestyles of each food life accounted the low rate in all the factors, compared with the food culture-centered group that showed the significantly higher rate than any other groups, in statistical terms. But such lifestyles were divided into the general food life group higher than any other groups in all the factors but convenience pursuit, and the group of low awareness in all the aspects and low concern for food life, and the convenience and palate group lower than the food culture-centered group but higher than the general food life group. Second,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the components of food space according to lifestyles, the analytic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as the stark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s to components of food space according to lifestyles, compared with that according to demographical factors.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choice attributes of food space show the substanti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food life, just like the choice attributes of restaurants. Third, concerning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choice attribut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as no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able devices, while there was the difference in that of dinner ware, lighting, lighting devices, fresh environment and interior design. According to the analytic outcome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it, dinner ware remained the status quo, while table devices ranked low. As for components in addition to table setting, lighting and lighting devices showed the excessively high level, while fresh environment and interior design remained the status quo and low level, respectively in turn. Regarding the direction to be improved in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it, there was the consistent result irrelevant of lifestyles. Lastly, concerning the influence of the awareness of satisfaction of choice attributes on the satisfaction of restaurants, the analytic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that the factors of dinner ware, lighting, lighting devices, fresh environment have the influences on it. Here, it must be noted that the factor of fresh environment has the influence on it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the foregoing analytic result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fresh environment proved low. Considering this, it is shown that although fresh environment is at the low ranking, the factor needs high attention, because the low ranking just means that it does not need to be improved so much, and there is the difference from excessive high rate and status quo which mean that it does not need to improve the current con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our restaurants are equipped with moderately high-level food space that does not need so much attention. In order to satisfy customers higher under such awareness, the first thing to be considered is to create the fresh environment. Subsequently, it needs to show attention to table devices at the low ranking are raised as the factor that ought to be improved along with fresh environment. In this regar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plainly the importance of the lifestyles of food life. Thus, it is considered that such lifestyles of food life would be utilized as an indicator indicating the differences of awareness of objects in relation to all factors of food life. 본 연구는 음식연출, 테이블 구성요소, 식사를 위한 테이블 이외의 가구 및 공간배치와 같이 직접적인 식공간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라이프스타일을 사용하여 식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여 식공간의 구성방향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성인 272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군집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대응표본 t 검정,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중요도 만족도 분석을 위해 IPA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테이블 세팅구성요소는 디너웨어와 테이블 소품으로 구분되었다. 테이블 외부 구성요소는 조명과 소품요인, 쾌적한 환경, 인테리어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라이프스타일은 모든 영역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특징이 나타나는 식문화 중시집단, 식문화 중시집단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각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낮게 나타났지만 편의추구를 제외하고는 모든 영역에서 나머지 집단 보다는 높은 일반적인 식생활 집단, 모든 인식이 낮은 식생활 저관심 집단, 식문화 중시집단보다는 낮지만 일반적인 식생활 집단에 비해 미각추구와 편의추구가 높은 편의·미각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식공간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한 결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식공간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 차이는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른 차이에 비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음식점 선택속성과 마찬가지로 식공간 선택에 있어서도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선택속성의 중요도 인식과 만족도 인식 차이 연구결과 테이블 소품의 중요도 인식과 만족도 인식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디너웨어, 조명과 소품, 쾌적한 환경, 인테리어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결과 디너웨어는 유지, 테이블 소품은 저순위로 나타났으며, 테이블 세팅 외 구성요소에서 조명과 소품은 과잉, 쾌적한 환경은 유지, 인테리어는 저순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중요도-만족도 분석의 개선방향 도출에서 라이프스타일에 관계없이 일관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선택속성의 만족도 인식이 레스토랑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디너웨어, 조명과 소품, 쾌적한 환경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앞선 중요도-만족도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와 비교하며 저순위에 해당하는 쾌적한 환경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비록 저순위이지만 쾌적한 환경에 보다 높은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이 나타난다. 저순위는 개선의 필요성이 낮다는 것일 뿐 과잉이나 유지와 같이 현재의 상태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우리의 레스토랑이 식공간 구성에 있어서 집중이 필요한 영역이 없을 만큼 어느 정도 높은 수준의 식공간 구성이 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인식상태에서 보다 높은 고객 만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쾌적한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고, 차후, 쾌적한 환경과 함께 저순위의 개선요인으로 도출 된 테이블 소품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식생활의 제반 요인과 관련하여 대상의 인식차이를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로서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뷔페레스토랑 프로모션 메뉴특성에 대한 지각이 고객만족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특 1급 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김성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호텔산업의 뷔페 레스토랑은 20세기 후반에 접어들어 기업의 경영전략이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단순히 투숙객만을 대상으로 식사를 제공하던 단순한 업무에서 탈피하여 투숙객을 기본적으로 투숙하지 않은 고객까지 고객으로 유치한다는 고객의 다양화를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특급호텔 뷔페 레스토랑은 신규 고객창출도 중요하지만 기존 고객 관계 유지와 관리로 만족과 구매행동을 통한 수익을 증대 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중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급호텔 뷔페레스토랑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고정고객관리와 신규 고객창출을 위해 호텔 레스토랑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모션 메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촉진수단 중 고객이 호텔 뷔페 레스토랑을 재방문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유형이 무엇인지 파악해 호텔 뷔페 레스토랑의 영업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되어진 문헌을 바탕으로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기존에 이루어 졌던 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설문을 진행 하였다. 설문지는 뷔페레스토랑의 프로모션 메뉴를 경험해본 서울, 경기지역의 20세 이상 성인 남·녀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단기적인 관점인 프로모션과 장기적인 관점인 만족과 구매 행동간의 모형관계를 증명하기 위하여 Hierarchical Regression을 이용하여 F값이 유의하게 변하는지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뷔페레스토랑의 프로모션 메뉴 특성에 대한 지각과 고객만족, 구매 행동 간의 가설검증결과 연구 개념들 간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밝힐 수 있었다. 특히 만족은 프로모션 메뉴 특성과 구매행동 사이의 매개 변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첫 번째 가설은 프로모션 특성들의 대한 두 가지 요인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 되어졌다. “보상적 요인”, “차별적 요인”이 고객만족 p<0.01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로모션 메뉴에 다른 레스토랑 메뉴와는 다른 차별적인 특성이 존재하며 이것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분석에서는 총 세 가지 요인 중 만족을 매개 변수로 한 모형에서 구매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로는 “차별적 요인”이 유일하게 p<0.01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만족이 프로모션 메뉴특성에 대한 지각과 구매행동 사이에 매개 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세 번째 가설에서 고객만족이 구매행동에 p<0.001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한다. 현재 진행 중인 프로모션 메뉴가 고객만족과 구매 행동간에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밝혀 줄 수 있고, 이를 근거로 하여 앞으로 뷔페 레스토랑이 어떠한 방식으로 프로모션 메뉴를 운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As the corporate management statement startegies began to be introduced into the restaurants of the hotel industry in the late 20th century, restaurants started to break away from the simple task that just provided meals only for the hotel guests and to seek diversity of customers. which attracted as restaurant guests the hotel guests primarily, as well as customers who did not stay at hotels. In this environment, it was important to create new customers in the position of luxury hotel restaurants, but increasing profits through revisit and word-of-mouth intention by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existing customer relation became one of the important tasks. To prove the hypothesis in this study the study model and hypothesis were set based on literature survery of existing studies, and enquetes was prepared based on the existing and enquetes survey was made. This enquetes was distributed to both male and female, experienced in using family Restaurant in seoul and kyunggi area, and data had been collected. also to prove the model relationship between promotion, short tern point of view, and satisfaction and Buying Behavio. long tern point of view, the significant change of F-value had been checked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The hypothesis testing result between the perception of promotion menu characteristics, proposed by the study,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Buying Behavior, has proved the there were a relationship of significant influence among the factors of this study. In particular the Satisfaction is the parameter between promotion menu characteristic and Buying Behavior. The first hypothesis was proved that two factors of promotion characteristic made influence to Customer Satisfaction. “discriminative factor” and “Reward factor” made positive influence to Customer Satisfaction at the level of p<0.001. this meant that there was the discriminative factor, different for other restauramt. in pormotion menu and this “discriminative factor” made influence to Customer Satisfaction From the analysis to prove the second hypothesis it was porved that only “discriminative factor” among three factors made positive influence directly to Buying Behavior, in the model using Satisfaction as a variable, by the lavel of p<0.001. Also it was prov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was acting as a parameter between the perception of promotion menu characteristic and Buying Behavior. with reference to the third hypothesis Customer Satisfaction made positive influence to Buying Behavior at the level of p<0.001.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could be provided. prove whether there is an influential relationship of existing promotion menu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Buying Behavior, and from this base the direction, how the promotional menu should be managed at buffet Restaur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