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주 대인예술시장의 사회적관계망 특성 및 예술인의 지속적 활동의사에 관한 연구

        박주영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문화를 통해 도시의 가치를 제고하는 ‘컬처노믹스(Culturenomics)’가 오늘날 도시발전의 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다. 예술가들의 창의성과 예술성이 쇠퇴한 지역의 재생에 기여하고, 도시경제에 파급효과를 미치며, 이에 따른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창작공간이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2008년 이후이기 때문에 창작공간과 예술인 관련 연구는 대부분 사업 초기 형성단계를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도시재생 사업의 사업효과 및 지속성을 위해 사업 후 유지관리 단계에서의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대상지인 대인예술시장은 2008년 광주비엔날레를 계기로 자발적으로 모여든 예술인과 기존의 상인이 공존하고 있는 지역이다. 현재 사업 진행 8년차에 접어든 사례지로 예술인이 시장에 모여들면서 쇠퇴하던 시장은 활력을 되찾았으며, 시장의 이미지가 제고 되었다. 하지만, 사업 초기에 모여들었던 120여명의 예술인은 현재 40여명 정도로 줄어들었으며, 예술인의 모임 또한 사라져 가고 있는 등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재생 지역의 사후평가 및 지속가능성의 측면에서 광주 대인예술시장의 네트워크 특성을 예술인 간, 상인 간, 예술인과 상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창작공간에서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중 지역활성화의 필수기능인 예술인의 지속적 활동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분석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 대인예술시장 네트워크 분석결과, 예술인의 네트워크는 초기보다 약화 되었으며, 밀도 또한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예술인의 네트워크를 강화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하며, 예술인 협의체를 구성으로 네트워크를 단단히 해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대인예술시장 내 문화클러스터가 조성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예술인과 상인의 협업점포는 예술인과 상인을 연결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예술인과 상인의 네트워크를 강화시키는 거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술인과 상인의 교류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을 통해 네트워크를 강화시켜 더 많은 예술인과 상인이 협업점포를 구성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상인의 네트워크 분석결과 일주일에 한번, 야시장 때에만 영업을 하는 기획점포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기획점포는 시장의 네트워크를 떨어뜨리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므로 정책적으로 이를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넷째, 예술인과 상인의 네트워크 분석결과 청년상인은 시장 내 정보전달의 기능할 담당하고 시장의 활력을 부여 하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청년상인의 유입을 통해 시장이 좀 더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예술인의 지속적 활동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을 살펴본 결과, 예술인은 상인, 시민과 함께는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활동 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예술인과 상인, 시민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개발하여, 예술인이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통해 대인예술시장이 활성화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광주 대인예술시장을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된 후 유지관리의 단계에서 예술인 간, 상인 간 그리고 예술인과 상인 간의 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지역활성화의 주체인 예술인의 관점에서 지속적 활동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업의 유지관리 단계 및 지속성의 측면에서 대인예술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토지이용특성별 역세권 이용자의 도보거리 추정에 관한 실증분석

        김준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has increasingly received attentions since a lot of urban problems are emerging as a major issue: traffic congestion, energy consumption, air pollution, noise pollution, car accidents, and destruction of the green belt. Public transportation, especially subway, becomes a key to solve problems caused by cars. It is because subway is a mean of mass transit and are converged around subway stations. Subway also has an effect on land use and spatial structure of subway area. In this respect, there is a growing social interest in effective development in subway areas. In this regard, sever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Ministry of Land have been devising or executing some related plans in order to induc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rough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Subway areas must be develope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in their catchment areas and reflecting them in order to efficiently use some limited land. However, the law concerning train and some regulations about land use are currently in practice that a 500m radius is evenly applied to access area of every subway station which is a criterion of development and plan in subway areas. They are not practical in reality. Focusing on the realit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in subway areas in advance is important because they greatly influence human activities and travel pattern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the range of catchment area by estimating the walking distances of subway users in subway areas having each characteristic of land use. The main procedures are the followings. Firstly, based on the land use pattern in the vicinity of subway station, this study checks 250 stations in Seoul except those on the 9th line (Gyeongui line), not yet opened in 2009. It classifies transferring stations into four types: business-centered & commercial-mixed, residence-centered, residence-centered & commercial-mixed, and commercial-centered & residence-mixed. Secondly, walking distances of subway users are surveyed in station which is delegated according to each type, and analyzed by one-way ANOVA. As a resul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m between Gangnam station and Isu station, as well as between Gireum station and Hwagok station. The walking distances in residence-centered stations are different from them in non residence-centered stations. Thirdly, catchment areas are estimated by cumulative distribution curve with the rate of subway users by distance. The results show that 60% of users are willing to walk up to 260m in Gangnam station, 270m in Isu station, 370m in Gireum station, and 370m in Hwagok station while 90% of them 410m , 450m, 600m, and 570m respectively. As a result, catchment area is up to 550~650m on average from station area which has residential characteristic, and 400~500m from station area having non-residential characteristic. This shows that catchment area is different according to its land use characteristic. This study differs from other studies that it proves the difference in catchment area according to the types of land use. Keyword : Walking Distance, Catchment area, Characteristics of land use, One-way ANOVA, Cumulative distribution curve 교통혼잡, 에너지소비, 대기오염, 소음, 교통사고, 녹지훼손 등 많은 도시 문제가 대두되면서 지속가능한 도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자동차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지하철은 대량 운송수단으로 지하철역의 경우 교통의 결절점이며, 접근성 등의 이유로 토지이용 및 역세권의 공간구조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역을 중심으로 한 효율적인 역세권 개발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토해양부를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는 역세권을 중심으로 대중교통 중심의 고밀복합개발을 통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여러 관련된 계획을 수립하거나 시행 중에 있다. 한정된 역세권의 토지를 합리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역세권의 개발 현황 및 이용 특성 등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에는 역세권 적용 범위만 하더라도 철도법과 국토이용에 관련된 여러 법의 상세계획지침에서 역으로부터 반경 500m 이내로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어 현실성이 다소 부족하다. 토지이용특성은 사람의 활동 및 통행패턴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역세권의 토지이용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역세권의 토지이용 특성을 파악하여 토지이용 특성별로 역세권 범위를 추정하고 이들 간의 범위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지이용특성을 반영하여 서울시 지하철역(250개)을 4개 유형(업무위주 상업혼합 역세권, 주거중심 역세권, 주거위주 상업혼합 역세권, 상업위주 주거혼합 역세권)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분류된 역세권 유형별로 대표역을 각 하나씩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이용자의 도로거리를 조사한 후, 대표역별로 이용자의 도로거리에 차이가 있는지 ANOVA 분석을 이용하여 검토 하였다. 그 결과 강남역(업무ㆍ상업 중심)과 이수역(상업 중심) 그리고 화곡역(주거ㆍ상업 중심)과 길음역(주거 중심)은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즉, 역세권의 토지이용특성이 주거 중심인지 비주거 중심인지에 따라 이용자도보거리 특성에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거리에 따른 지하철 이용자수를 누적분포곡선으로 분석하여 역세권의 범위를 추정한 결과, 강남역은 지하철이용률 60%를 수용하는 1차 도보권은 260m, 90%를 수용하는 2차 도보권은 410m로 분석되었고, 이수역은 1차 도보권이 270, 2차 도보권이 450m로 분석되었다. 길음역은 1차 도보권이 370m, 2차 도보권이 600m로 분석되었고, 화곡역은 1차 도보권이 370m, 2차 도보권이 570m로 분석되었다. 주거중심 특성을 보이는 역세권의 반경은 550~650m정도, 비주거 특성을 보이는 역세권의 반경은 400~500m정도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지이용특성에 따라 역의 이용 반경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역세권 개발 관련 계획 및 법제도 마련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한 현 시점에서, 역세권 범위에 대한 보다 실증적인 연구는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실제 지하철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토지이용 유형별 역세권 공간범위의 차이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감각적이미지가 장소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시각, 청각, 후각을 중심으로

        김형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urban can be understand by five senses, but present researches that are related to urban space is focused on visual images. This research is started to verifying that the five senses except visual sense may affect to identity of place. Haptic and taste sense can be sensed when an object is directly touched. Therefore, the two senses are excluded from this study. Visual, auditory, olfactory senses have a range of cognition. By the information from precious research of the range, a street was decided as the spatial boundary of this study. Through previous researches, Sensory image is defined as ‘an established image by one or several senses.’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and identity of place is the primal object of this study, so it was declar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this study. The sensory experience that received from receptors progresses to the perception process. At the end of perception process, the sensory experience is evaluated by the knowledge of person, who had experienced the sensation. Adjective can be the answer of the evaluation process, so it became the measurement of independent variable. There are many words to explaining a place. Among the words, the sense of place is the most related with sensory image, which is defin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for this study. Therefore, sense of place is defined as a bigger concept of sensory image. There are researches that visual, auditory, olfactory images are related to place, and sensory image was differently perceiv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 Previous researches that related to this study is only concentrated on a sense or visual sense. This research is different as previous researches due to analyze a visual, auditory and olfactory image effects on identity of place in one research. Sense of place, which is consisted by sensory images, is related with place identity. The analysis model is settled with sensory image as independent variable and identity of place as dependent variable. Adjective that can evaluate by sensation was selected from previous urban related research and adjective research, and then the selected adjectives were verified by the definition and example from standard Korean dictionary. The dependent variable measurement was also decided from previous place identity researches. Research site is selected to Deahak-ro district because of quite amount of previous research, which can help to interpret the analysis of this study. Seven-point likertscale was used for identity of place surveying and sementic differential scale was used for surveying sensory images. Four street types in Daehak-ro district were defined, and then a street from each type was selected by site analysis. The surveying was practiced on the streets in real time. The surveyed data was analyzed to descriptive data. The data explained the difference among the streets. Chi-square test of sensory image on each street was statistically verified the difference among streets. Visual, auditory, olfactory images factor analysis was implemented on each street to simplify images. The factor analysis is practiced on each sense. To verify that personal character is differently perceived the sensory image, agglomerative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was practiced. As a result, each street generated three to four clusters. MONAVA was implemented to find out that each cluster has a different perception of sensory image or not. There was statistically no difference perception among clusters. Through ordinal logistic regression, the effects between sensory image and identity of street were identified. The identity of Daemyung street was affacted by visual, auditory image. The identity of Daerakro 12 street was affected by auditory, olfactory image. The identity of Dongsung street was affected by visual, olfactory image. The identity of Daehakro 8 street was affected by visual, auditory, olfactory image. There was the street that visual, auditory, or olfactory image did not affect on identity of street. By the interpretation of analysis, the identity of street was affected by streetscape, street furniture, nature environment, music, sound from people, smell from restaurant or cafe, and stink. Daehak-ro district is designated as a culture district, but the facility that related with a theatre culture little affects on identity of street. This research defined that auditory and olfactory sense affects on identity of place. As a result, music and chat from people, and food business for people are important for identity of place. It means people are valuable for identity of place, so the place should be designed to gather people around, easily. Music sound and food, beverage smell was also affected on identity of place, so the factors can be considered when urban policy, planning, and design implements. The vision, sound, and smell that was referred is the speculation from descriptive data, so there should be further quantitative research to define that the identity of place is affected by the vision, sound and smell. Only a street from each type was researched. To secure objectivity, more streets from the types should be researched to compare with this study. Time difference of sensory image was not researched and personal character data was not normally distributed. These ar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도시는 오감을 활용해야 이해할 수 있다는 연구들이 많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도시연구는 주로 시각적인 측면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시각뿐만이 아닌 다른 감각들이 장소의 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하기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촉각과 미각은 직접적으로 닿아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두 감각을 제외한 시각, 청각, 후각을 연구에 활용할 감각으로 정하고 이 감각들을 함께 느낄 수 있는 가로를 공간적범위로 설정하였다. 이론고찰을 통하여 감각적이미지의 정의인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감각의 종류에 의해 구축된 이미지‘와 장소의 정체성의 영향관계를 알아보려고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기 때문에 감각적이미지를 독립변수로 정하였고, 감각기관을 통해 수용된 감각정보를 처리하여 지각의 마지막 과정인 평가과정을 거쳐 답할 수 있는 형용사를 독립변수의 측정변수로 설정하였다. 장소의 개념을 형성하는데는 많은 용어들이 있는데 그 중 장소감이 감각적이미지로 형성되는 장소의 개념이라고 판단하여 장소감을 독립변수의 상위개념으로 정의하였다. 시각, 청각, 후각적이미지는 장소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여 인적특성에 따라 감각적이미지를 지각하고 인지하는 능력이 각각 다르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연구의 차별성은 시각적이미지와 장소를 연구한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청각적이미지나 후각적이미지도 장소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실증분석하는데 있고 하나의 감각과 도시공간을 연구하던 기존의 연구들과 다르게 여러 감각을 함께 연구하여 각 감각이 가로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선행연구의 분석모형을 통해 독립변수의 상위개념인 장소감과 영향관계가 있는 장소의 정체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순서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독립변수의 측정변수는 형용사연구와 기존의 도시관련연구에서 활용되었던 표현어로 구축해나갔고 종속변수의 측정변수는 선행연구와 표준대국어사전의 정체성의 의미를 통해 설정하였다. 대상지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해석에 용이한 대학로지구로 선정하였고 설문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작성하였고 감각적이미지 형용사는 형용사측정법으로, 정체성은 카드분류법으로 7점 리커트척도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로지구의 가로를 네 가지로 유형화하여 각 유형별 대표가로를 설정하였고 현장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한 자료를 토대로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하여 가로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감각적이미지의 가로별 차이검정을 통해 통계적으로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후, 감각적이미지를 단순화하기 위해 가로별 요인분석을 실행하여 각 가로의 시각, 청각, 후각적이미지의 요인을 분류하였다. 인적특성을 설정하여 군집분석을 진행하였고 각 가로별로 3개에서 4개의 집단들이 형성되었다. 집단 간 감각적이미지의 판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을 실행했고 집단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적이미지가 가로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가로별로 순서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시각, 청각적이미지가 대명길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고 청각, 후각적이미지가 대학로12길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고 시각, 후각적이미지가 동숭길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고 시각, 청각, 후각적이미지가 대학로8길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다. 시각적이미지, 청각적이미지, 후각적이미지중 가로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이미지가 가로별로 존재하였고 가로환경, 가로시설물, 자연환경, 음악, 사람에게서 나는 소리, 냄새의 근원이 되는 식음료 업종, 악취가 가로의 정체성과 유의미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학로지구가 문화지구임에도 불구하고 공연문화에 관련된 시설들은 가로의 정체성에 적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과 후각도 가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실증하였다. 그리고 사람이 장소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람이 모일 수 있는 장소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고 음악소리와 식음료냄새도 장소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도시정책, 계획, 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하지만 본 연구의 한계점은 연구에서 추측한 가로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 근원들을 정량적으로 실증할 필요성이 있고 같은 유형의 가로들을 더 연구하여 연구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해야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자료를 정규분포로 조사하지 않았고 시간대별 차이를 생략하였다.

      • 상업시설 내 준공공공간 이용자 만족도 및 주변 상업시설에의 파급효과 분석 : 코엑스 별마당 도서관을 대상으로

        오종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상업시설 내 위치한 준공공공간은 이용자가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 제공과 기업 및 건물의 이미지 상승, 주변상권 활성화의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다.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이러한 공간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코엑스 별마당 도서관, 네이버 라이브러리 등 문화와 결합된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업시설 내 준공공공간인 별마당 도서관을 대상으로 이용자 특성과 만족도를 살펴보고, 주변 상권인 코엑스몰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실증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용자 특성 분석결과 별마당 도서관 이용자는 코엑스몰을 관람 및 구경을 위해 월 1회에서 2회 혹은 그 이하로 주말 오후시간에 방문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이용자 특성을 연령, 방문 시간대, 주중 및 주말, 방문 목적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주중 이용자는 주말 이용자 보다 별마당 도서관을 더 자주 방문하고, 독서 및 휴식목적 이용자는 관람목적 이용자보다 별마당 도서관을 방문 하는 빈도가 높았으며, 주로 주중에 방문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별마당 도서관 이용자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으로 만족하고, 소음 및 혼잡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이하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별마당 도서관 만족도를 이용자 특성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중장년층 이용자가 주중에 방문하는 특성으로 동선 및 접근성의 만족도가 젊은층 보다 높게 나타났다. 주중 이용자는 독서를 목적으로 방문하는 특성으로 소음 및 혼잡에 대한 만족도가 주말 이용자 보다 높게 나타났고, 독서 및 휴식 목적 이용자가 별마당 도서관의 공간, 환경, 운영프로그램에 대해 관람목적 이용자보다 더 높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별마당 도서관 조성에 따른 코엑스몰에 대한 이용자 인식변화 결과 소비금액 부분에서 변화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식변화 비교분석에서는 주중 이용자가 주말 이용자 보다 코엑스몰 전반적 만족도가 더 높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 및 휴식 목적 이용자는 관람 목적 이용자보다 코엑스몰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별마당 도서관 만족도 영향관계와 코엑스몰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 및 휴식 공간, 환경 및 분위기가 별마당 도서관 전반적 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용자의 연령, 방문목적, 주중 및 주말별 특성을 고려하여 공간을 개선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 및 운영 공간의 경우 다양한 소재의 프로그램 개발과 보완으로 이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 둘째, 별마당 도서관의 독서 및 휴식공간, 환경 및 분위기가 코엑스몰 전반적 만족도와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별마당 도서관의 물리적 공간을 이용자 목적에 따라 분리하고, 환경 및 분위기를 통제하는 운영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별마당 도서관이 코엑스몰 체류시간과 소비금액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 후 별마당 도서관의 상권효과 기능을 위해 프로그램 홍보 및 개편이 필요하고, 소비를 유도할 수 있는 공간신설과 상품개발 계획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코엑스몰 내 별마당 도서관의 파급효과를 실증분석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여 향 후 상업시설 내 준공공공간 조성과 활성화 전략을 위한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 문화형 도시재생사업의 대한 전문가와 방문객의 만족도 영향요인 및 성공요인 분석 : 대만 타이페이시 송산문창단지 중심으로

        박위관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산업 및 경제구조의 변화로 겪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대만은 도시갱신 수법을 통해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꾀하고 있고 도시재생은 이 도시갱신의 보조적인 성격을 되고 있다. 2010년도부터 도시재생 개념이 도시갱신의 개념와 분리되어 2011년에 도시재생 개념의 송산문창단지가 조성되었다. 본 연구는 대만 문화형 도시재생사업의 대한 전문가와 방문객의 만족도 영향요인 및 성공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대만 문화형 도시재생의 발전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송산문창단지 도시재생사업의 활동요소 및 활동지표를 정리하고, 사전준비차원, 제도차원, 실행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IPA분석과 DEMATEL 분석을 통해 전문가에게 주요 활동요소 간에 영향관계를 조사하여 도시재생사업 활동요소에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실행차원의 활동요소는 송산문창단지를 이용한 방문객 및 전문가에게 만족도, 도시재생 성공인식을 조사하여 만족도 및 도시재생 성공인식에 영향관계를 다중회귀분석 및 PLS-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분석결과는 방문객 설문지는 절반정도로 20대 대학생이나 대학을 졸업한 여성이였으며, 이들은 대체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주로 전시 관람을 이용하여 1시간에서 3시간을 체류하였다. 소비금액은 $201~$1000원(환율: 1:36한환)으로 나타났으며 연간 방문횟수는 3회 이상으로 나타났다. 송산문창단지에 대해 방문객의 만족도는 보편적으로 만족한다고 나타났으며, 반면 가격 및 가성비, 관람 안내 책자 제공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공연 및 강좌 활동의 체험 여부는 전문가의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가 방문객보다 더 높았으며, 방문객은 소비 활동 및 도시재생 성공인식에 더 만족한다고 나타났다. 방문객은 전체 만족도에 소비활동, 환경・시설・서비스, 문창 분위기가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것을 나타났으며, 전문가는 문화・예술활동, 소비활동, 환경・시설・서비스, 문창 분위기가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전체 만족도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방문객 위주의 소비활동, 환경・시설・서비스, 문창 분위기를 우선적으로 개발, 보완하여 전체 만족도를 올릴 수 있는 것이 필요 하다. 성공인식 영향관계 분석결과 방문객은 환경・시설・서비스, 문창 분위기가 성공인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가는 문화・예술 활동, 소비활동, 문창 분위기가 성공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창 분위기는 전문가와 방문객의 결과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향후 도시재생을 성공을 높이고 싶으면 문창 분위기가 중요한 활동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송산문창단지 도시재생사업의 전체 만족도가 재방문의사 및 추천의사의 영향관계 분석결과에 따라 전체 만족도는 재방문의사 및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으며, 방문객과 전문가간 인식 차이는 크지 않았다.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결과는 조직과 활동, 정책, 계획/ 실행과정이 중요하고 만족한 활동요소이며, 사전 정책, 계획/ 실행과정, 사전조사는 중요하지 않고 만족하지 않은 활동요소로 나타났다. 송산문창단지 도시재생사업 활동요소에 영향관계에 따르면 결과 환경・시설・서비스 ,문창 분위기, 문화・예술 활동은 영향을 받은 결과적 성격 활동요소이며 사전조사, 조직과 활동, 사전 정책, 계획/ 계획과정은 영향을 주는 원인적 성격의 활동요소이다. 이에 사전 정책, 계획 및 계획과정은 첫째 문창 분위기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으며, 둘째 환경・시설・서비스에 영향력이고, 셋째는 사전조사활동은 환경・시설・서비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송산문창단지 도시재생사업의 활동요소 중 환경・시설・서비스 ,문창 분위기, 문화・예술 활동이 가장 중요한ㄴ 핵심적인 요소이며, 향후 중점적으로 개발이나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사전조사, 조직과 활동, 사전 정책, 계획/ 계획과정 활동요소 중에는 조직과 활동만 중요하고 만족하기 때문에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Nowadays urban structure changes rapidly, in order to respond this issue Taiwan’s government use urban renewal methods to keep the city development Sustainable. Similarly, they use urban regeneration as second methodology. In 2010, the methodology definition of urban renewal and urban regeneration was define on different. In 2011, following the two methods, Songshan Cultural and Creative Park was op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t and Visitorss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and success festures of the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aiwan 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in Taiwan in the future. The study analyze, the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theories related with the structure of Songshan Cultural and Creative Park, it urban regeneration project activities, and recreational elements. To creat a factor of 8 activities, and classified it structure in 3 dimensiones Preliminary dimension, Institutional dimension, Execution dimension.Using the 8 activity elements for experts,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on the priority and satisfaction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8 activity factors, analyzed the influence and the system of the activity factor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Songshan Cultural and Creative Park through IPA analysis and DEMATEL analysis. Therefore, the outcome four factors in the Execution dimension were analyzed by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PLS-structure equation model for visitors’ satisfaction in Songshan Cultural and Creative Park. The visitors' questionnair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were mainly college students or college graduates students in their 20s. They commonly take the public transportation with their friends or lovers to Songshan Cultural and Creative Park. They usually stay for one to three hours, and their annual number of visits was more than three times a year. The visito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universally gratificatory for the Songshan Cultural and Creative Park. Howere, price and provision ratio, and viewing brochures were just common. The experts’ satisfaction to exhibition and art activities is more satisfactory than visitors, because experts participate more in exhibition, the show and lectures, and visitors are more satisfied with Consumer activities and they have consciousness about the Songshan Cultural and Creative Park is a successful urban restoration project. Visitors’participants satisfaction level with the site activities were high. However the. performance price ratio, and the visitor information’s satisfaction was ordinary. The visitors showed on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consumer activities, the site environment, and the facilities and service, and for the creative atmosphere. The experts showed overall satisfaction towards the art activities, consumer activities, the site environment, and the facilities and service. Experts’ satisfaction with art activities were higher than visitors’ satisfaction. Because experts Participated in art activities more than visitors. Tourists’ satisfaction level towards the consumer activities and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project, was more higher than the experts’ satisfaction levels. If urban planners and designers seek to increase overall satisfaction, the study recommend to focus on the consumer activities, the site environment, and the facilities and service, and the creative atmosphere to increase the overall satisfaction in the future. The visitors’successful urban restoration project was influence by the environment, and the facilities, and service, and the creative atmosphere. The experts were influence by arts activities, consumer activities, and the creative atmosphere. Especially, the creative atmosphere was the highest among experts and visitors. Urban planners and designers want to improve the success levels at an urban restoration project in the future, the creative atmosphere is an important factor to be considered.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the revisit consciousness and recommendation awareness. The outcome result was similar for visitors and experts.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s of the activity elements, revealed that the organization and the activities, the policies planning and execution process, important and satisfactory activity factors, the planning pre - policy and execution process, and the pre -research, are not important and unsatisfactory activity factors. The result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8 activity factors are as follow: The environment, and the facilities, and service, the creative atmosphere, and the arts activities, can be considered as affected activity factors. The research, the organization and the activity, the planning pre - policy and execution process, can be considered as affecting activity factors. The planning pre - policy and execution process affecting the creative atmosphere was the first highest impact result. The planning pre - policy and execution process affecting the environment, facilities, and service, were the second highest impact result. The pre – research affecting the environment, facilities, and service was the third highest impact result. As a result, the environment, facilities, service, the creative atmosphere, and the arts activities were the most important activity factors. The study consider that in the future, is necessary to focus on these activity factors,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were very important and very satisfactory, so is important to preserve this activity factor in the furture.

      • 역사문화거리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향후 주민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중국 소주우시 평강 역사문화거리 중심으로

        왕준이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중국은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도시의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도시를 구성하는 역사적 거리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그 성능이 저하되기 시작했다. 이를 보호하기 위해 대규모 관광 재생사업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소규모 도시재생사업의 중요성도 인지하고 사업을 시행해왔으며, 거주지역과 상업지역이 공존하는 역사문화지역에서 재생효과가 나타났다. 향후 주민들의 커뮤니티 소속감을 고취시킴으로써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거주민과 상인의 인식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이에 중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족은 “상향식”의 주민의견 수렴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하는 점에 대해 평가를 진행하고, 거주민과 상인의 향후 적극적 참여 유도하기 위해 소규모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만족도과 향후 참여와의 연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지는 중국 소우주시 상업과 거주가 공존하는 지속적인 소규모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해왔다. 주거 기능과 건축물의 80 %가 그대로 유지되고 이웃 관계도 50 %는 그대로 유지된 것으로의 평강 역사문화거리를 선정하였다. 연구의 영향관계분석은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바탕으로 IPA, PLS-휘귀분석, PLS-구조방정식을 통해 거주민과 상인의 재생사업 중요도 인식, 전체 만족도와 향후 주민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며, 이를 통해서 향후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개인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거주민은 주로 20대, 30대 미혼의 임대 가구가 많고 교육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거주기간은 1년-5년 사이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 평균 소득은 3000원 이상~5000미만 저액소득 인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인은 주로 20대, 30대,40대 이혼의 임대 점포가 많고 교육수준이 거주민보다 늦은 편이 것으로 나타났다. 장사기간은 3년-5년 사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민의 전체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한천 및 가로경관 개선, 주차장 개선, 공공 공간 및 가로 보행환경 개선, 보안방법 개선, 소매업 유치, 상인 역량 강화 프로그램, 자원봉사 활동, 대외적 역사문화 전시활동, 개인특성 부문에서 기존 참여정도가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났다. 상인의 전체 만족도를 분석 결과는 한천 및 가로경관 개선, 주차장 개선, 기존 역사문화건축물의 정비 및 개선, 자원봉사 활동, 대외적 역사문화 전시 활동, 개인특성 부문에서 기존 참여정도가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났다. 재생사업 만족도와 향후 참여의사의 영향관계 분석 결과는 거주민은 개인특성은 향후 주민참여의사에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재생사업은 재생사업의 만족도와 향후 주민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났다. 비 물리적 재생사업은 재생사업의 만족도에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생사업의 만족도 매개효과 분석 결과 비 물리적 재생사업과 물리적 재생사업은 재생상업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생사업의 만족도는 직접적인 향후 주민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나서 재생사업의 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인은 개인특성과 물리적 재생사업과 비 물리적 재생사업은 재생사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다. 재생사업의 만족도 매개효과 분석 결과 재생사업의 만족도는 향후 주민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물리적 재생사업과 비 물리적 재생사업은 직접적인 향후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 점은 지역경관, 주차장 등 이러한 공공 이용 공간 재생사업에 정책 과제로 삼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다. 비 물리적 재생사업 중 이는 외부 관심을 초래할 수 있으면서 홍보도 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다. 차이점은 상가에서 자전거 주차공간과 쉬는 공간의 구분에 못 해서 도로 혼잡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향후 자전거 주차공간과 쉬는 공간의 개선에 집중해야 하는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다. 축제와 이벤트를 정기적이고 장기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다. 둘째, 거주민이 재생사업에 대한 만족감 높이를 통해 적극적으로 참여를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물리적 재생과 비 물리적 재생사업에 대해 정책적으로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상인이 물리적 재생과 비 물리적 재생사업에 대해 정책적으로 초점을 맞춤을 통해 상인이 관심을 가지는 의경이나 아이디어를 제안함으로써 적극적 참여 유도하도록 정책적으로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셋째, 역사문화 거리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중 물리적 재생사업과 비 물리적 재생사업에 초점을 맞춰 만족감을 높임 및 참여를 통해 적극적 참여시키기 위해서 정책과정에서 거주민과 상인의 참여가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다. 또한 향후 소극적 참여 단계부터 적극적 참여 단계로 유도하도록 거주민과 상인의 개입이 제한하지 않은 참여형태가 진행해야한 필요가 있다. 주요 용어: 역사문화거리,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도시재생사업, 주민참여, IPA, PLS-회귀분석, PLS-구조방정식, 평강 역사문화거리 In China, urbanization has progressed rapidly, and the size of cities has greatly expanded. Accordingly, the historical streets that make up the city began to deteriorate over time. To protect this, large-scale tourism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However, the importance of small-sca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s been recognized and implemented, and the regeneration effect has been shown i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where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coexist. In order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by inducing residents'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in the future, the awareness of residents and merchants has come to play an important role. The importance of this is gradually emerging. The Mok family in this study evaluates the need to switch to a method that combines “bottom-up” gathering of residents’ opin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small-sca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future participation in order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merchants in the future.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The study site has been conducting a continuous small-scal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here commerce and residence coexist in Souzhou, China. The Pyeonggang History and Culture Street was selected as 80% of the residential functions and buildings were maintained as they are, and 50% of the neighborhood relationship was maintained. Based on the survey and interview, the impact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IPA, PLS-Historical Analysis, and PLS-Structural Equation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the regeneration project among residents and merchants, and what factors affect overall satisfaction and future resident participation. In this regard, future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s analysi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residents were mostly in their 20s and 30s, unmarried rental households, and had a high level of education. Most of the residence period was between 1 and 5 yea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low-income people with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3,000 won to less than 5,000 won. Merchants, mainly in their 20s, 30s, and 40s, had many rental stores and their education level was later than that of residents. The longest working period was between 3 and 5 year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overall satisfaction of residents are as follows: agar and streetscape improvement, parking lot improvement, public space and street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security method improvement, retail business attraction, merchant competency strengthening program, volunteer activity, external historical and cultural exhibition activity,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effect of the existing participation level on overall satisfaction was found in the sector. As a result of analyzing merchants' overall satisfaction, the effect of existing participation on overall satisfaction in agar and streetscape improvement, parking lot improvement,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existing historical and cultural buildings, volunteer activities, external historical and cultural exhibition activitie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appea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rehabilitation project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it was found tha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directly affect only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The effect of the physical rehabilitation proj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rehabilitation project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was shown. It was found that the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 had a direct effect only on the satisfaction of the regeneration proj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the recycling business, it was found that the non-physical recycling business and the physical recycling business directly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recycling business.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of the rehabilitation project showed a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so it wa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rehabilitation project had a mediating effec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cause of death and the physical and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do not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regeneration proj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n satisfaction of the rehabilitation proj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rehabilitation project did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 because it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and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directly affec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judged that the common point needs to be supported as a policy task for these public space regeneration projects such as local landscapes and parking lots. Among the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it is judged that various events that can cause external interest and promote publicity are necessary. The difference is that road congestion occurs due to the in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bicycle parking spaces and rest areas in shopping malls.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improvement of bicycle parking spaces and rest areas in the future.It is judged necessary to conduct regular and long-term festivals and events. Second, in order for resi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regeneration project by increasing their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hysical and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as a polic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olicy to induc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merchants by proposing ideas or ideas that merchants are interested in through policy focusing on physical and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Third, in order to increase satisfaction and actively participate through participation by focusing on physical and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among small-sca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the necessity of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merchants in the policy process is rais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proceed with a form of participation that does not limit the intervention of residents and merchants to lead from the passive participation stage to the active participation stage in the future. Keywords: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small-sca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sident participation, IPA, PLS-Regression Analysis, PLS-Structural Equation, Pyeonggang History and Culture Distance

      • 역사문화 특성이 구시가지의 장소성 형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 중국 칭다오 중산로지역을 중심으로

        황미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역사문화 지역은 지속가능한 구시가지 재생을 위한 자원으로서 어떻게 재생계획 수단으로 진행되는가에 주목되고 있다. 이에 문화주도 도시재생을 통해 재 활성화되는 구사가지 중국 칭다오 중산로지역은 연구 가치가 있는 사례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산로지역을 대상지로 구시가지 재활성화 및 장소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을 도출하고 미래 중국 문화주도 도시재생의 효율적인 활성화 메커니즘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기존문헌을 통하여 장소인식, 장소성, 장소성의 형성요인, 장소성과 행동의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장소특성을 '일반특성', '역사문화특성'으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현황조사를 통하여 각 측정항목 별 요소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방문(관광객과 거주민)의 일반적 특성 및 대상지에 대한 장소인식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문객(관광객과 거주민)이 장소성 형성요인을 어떻게 특성이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러한 장소특성이 장소인식, 장소성과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PLS 회귀분석 및 PLS-구조방정식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런 과정을 거쳐 도출해 낸 결과는 뒤 같다. 첫째, 관광객 및 거주민들이 중산로지역에 대해 역사문화특성이 장소인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방문자(관광객과 거주민)는 일반특성이 5개(접근성, 열린 공간, 휴식, 쇼핑, 음식), 역사문화특성이 4개(역사적인 건축물, 특색가계, 특색 음식거리, 역사적인 분위기 관광)로 나타나고 관광객은 일반특성이 4개(열린 공간, 휴식, 쇼핑, 음식), 역사문화특성이 4개(역사적인 건축물, 특색가계, 특색 음식거리, 역사적인 분위기 관광)로 나타났다. 또한 거주민의 경우는 일반특성이 4개(접근성, 열린 공간, 쇼핑, 음식), 역사문화특성이 5개(역사적인 건축물, 특색가, 특색 음식거리, 문화 시설, 역사적인 분위기 관광)로 나타났다. 둘째, 방문자(관광객과 거주민), 관광객 및 거주민은 장소성가 장소애착, 장소의 의미 및 행동의도에 다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장소애착 매개변수로 행동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자(관광객과 거주민), 관광객의 경우는 장소성이 장소애착, 장소의 의미 및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장소의 의미는 행동의도에 영향이 없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장소애착은 일반특성이 행동의도에 간접적인 영향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민의 경우는 장소성은 장소애착, 장소의 의미 및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소애착 및 장소의 의미는 일반특성이 행동의도에 간접적인 영향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구시가지 재생사업 중 일반적 계획을 뿐만 아니라 역사문화적 특성도 중요한 핵심적 요소이다. 일반적 계획은 구시가지의 편리성과 접근성을 강화시키는데 역사문화적 계획은 문화적 장소성 형성을 통해 구시가지 재 활성화 시킬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중산로지역 역사문화특성의 경우는 역사문화시설에 대해 인식이 잘 되고 있지만 활동적인 요소 참여도 높지 않아서 역사분위기관광만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앞으로 더 활성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매력적인 활동을 제공해야 한다.

      • 북촌 도시재생사업의 재생방향과 참여의사에 관한 지역주민의 인식 유형 및 특성 분석

        이유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Various and complex causes of conflict are latent in urban regeneration. Among them, conflict between local residents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to be solved. In order to prevent resident conflict and to enable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perceptions and differences of various residents in the early stages of the projec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identified by deriving direc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intent to participate of local residents. And the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 types were investigated. Q methodology, specialized in examining people's subjective perceptions and opinions, was used for this study. Site of the study was selected as Bukchon Urban Regeneration Area, which is in the early stage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has differences in perception among local residents. The final Q statements were largely categorized into 'perception' and 'opinion', residents of Bukchon area were targeted as P respondents of the study. Type 1 is 'Balanced Development, Passive Participation Type', and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residents in Bukchon area belong to this type. They want balanced development, and think Bukchon is a traditional hanok residence, but recently, commercial district development is taking place. Type 2 is 'Economic Development, Conditional Participation Type', consisting of external merchants in Hwa-dong and Gye-dong on the west side, which are commercial areas in Bukchon, and resident merchants in Wonseo-dong on the east side. They want economic development, and think Bukchon has a balance between traditional hanok residence and commercial area for tourism. Type 3 is 'Residential Preservation, Conditional Participation Type', and is consist of residents in Gye-dong on the east side. They want to preserve their residence, and think residents' participation is the most important to set the direction of regeneration in Bukchon. Type 4 is 'Balanced Development, No Interest Type' and Type 5 is 'Residential Preservation, Has Interest Type'. It was commonly confirmed that these types are consist of western residents and have lower intent to participate than other typ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types, it was found that Type 1 and Type 2 have relatively few elements of conflict. Type 1 and Type 3 showed conflicting positions on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districts and tourism in Bukchon. Type 2 and Type 3 have the most conflicting positions on the direction of regeneration, and if not resolved at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it is expected that a conflict problem between the two types may arise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imilarities among types, every types commonly showed that they were not aware of differences in opinions between residents and administrations, and agreed to balanced develop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ufficient exchanges between residents and administration are needed, and that residents commonly have conditional participation to the project. The responses to statemen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areas for tourists are stronger than those of traditional hanok residences' and the statement that 'I am not willing to participate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future' showed that all three types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the future. There are a total of three implications for this study. First, residents can be classified into detailed types. Second, residents' perceptions can be divided by region in Bukchon area. Third, it is confirmed that residents of Bukchon area showed high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proje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Q methodology, specialized in examining individual subjectivity, can be used to examine intent to participat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types of the residents in urban regeneration areas with complex interests.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주민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고, 사업 초기 단계에 지역주민의 참여의사에 대해서도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도시재생에는 다양하고 복잡한 갈등 원인이 잠재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도시재생의 주요한 주체가 되는 지역주민 간 갈등이 중요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주민갈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사업 초기 단계에 다양한 주민의 인식과 의견 차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재생방향과 참여의사에 관한 지역주민의 인식 유형을 도출하여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지역주민의 입장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사람들의 주관적인 인식과 의견을 고찰하는 데 특화된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지는 도시재생사업 초기 단계인 지역이자 지역주민 간 인식 차이가 있는 북촌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선정하였다. Q진술문 작성을 위해 보도자료와 인터뷰 자료를 참고하였으며 사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최종 Q진술문은 크게 ‘인식’과 ‘의견’으로 범주화 하였으며, P응답자는 북촌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였다. P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 결과, 연령 비율은 6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민의 거주 기간은 20년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상인의 영업 기간은 1년에서 5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인은 주로 공방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유형은 총 5개로 나타났으며, 각 유형은 도시재생사업의 재생방향에 관한 진술문과 적극적 참여의사에 관한 진술문에 대한 응답을 중심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1은 ‘균형발전, 소극참여형’으로, 북촌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주민의 대부분이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균형발전을 원하며, 북촌은 전통 한옥 주거지라고 생각하지만 최근에는 상권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유형 2는 ‘경제발전, 조건부참여형’으로, 북촌 내 상업지역인 서측 화동과 동측 계동의 외부 상인, 그리고 동측 원서동의 상주 상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경제발전을 원하며, 북촌은 전통 한옥 주거지와 관광을 위한 상업지가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생각한다. 유형 3은 ‘주거지보전, 조건부참여형’으로, 동측 계동의 주민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주거지보전을 원하며, 재생방향 설정을 위해서는 주민의 참여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유형 4는 ‘균형발전, 관심없음형’, 유형 5는 ‘주거지보전, 관심있음형’으로, 이들 유형은 서측 주민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과 다른 유형에 비해 참여의사가 낮다는 점을 공통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유형 간 차이분석 결과, 유형 1과 유형 2는 비교적 갈등의 요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 1과 유형 3은 북촌의 상권 및 관광 개발에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유형 2와 유형 3은 재생방향과 관해서 가장 상반된 입장을 가지고 있으며, 사업 초기에 해결하지 않으면 향후 두 유형 간 갈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형 간 공통특성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주민과 행정 간 의견 차이에 대해 잘 모르겠다는 입장을 보였으며, 균형발전에 동의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주민과 행정의 충분한 교류가 더 필요하다고 느끼며, 관심 있는 일부 사업에 대한 참여의사가 공통적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 대상 상업지의 특성이 전통 한옥 주거지의 특성보다 강하다는 진술문에 공통적으로 부정하고, 도시재생사업에 대해 향후 참여할 의향이 없다는 진술문에 가장 크게 부정하는 모습을 통해 세 유형 모두 향후 상황과 여건이 충족된다면 도시재생사업에 대해 참여할 의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총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주민은 세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둘째, 북촌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지역별로도 주민의 인식 유형이 나뉘어진다. 셋째, 북촌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주민은 적극적인 사업 참여주체로의 높은 발전 가능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개인의 주관성을 고찰하는 데 특화된 Q방법론을 활용하여 이해관계가 복잡한 재생지역의 주민 인식 특성에 따른 향후 참여의사를 살펴보고,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방법론적인 한계와 조사시점에 대한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향후 연구과제로는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다수의 표본을 추출하는 R방법론으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공공문화시설의 입지적정성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 국립한국문학관을 중심으로

        공민호 한양대학교 부동산융합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공공문화시설은 시민들에게 지식의 축적 및 자유로운 소통의 공간, 일상적 삶의 거점 공간이며, 도시의 사회적 발전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설이다. 공공문화시설의 입지는 도시 문화를 시민들과 소통이 가능하며, 도시의 여러 가지 기능들과 연계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공공문화시설의 입지는 도시의 공공성에 대한 공공문화시설의 명확한 정의, 이에 따른 입지 분석 및 타당성 검토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기존의 입지 선정 연구도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절차 없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특정다수의 집단에 의해 공공문화시설의 입지가 결정되기도 하여 지역 간의 갈등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공공문화시설의 입지선정은 도시 문화 공간의 형성과 변화를 유도하는 중대한 역할을 함으로써 입지선정에 대한 공공의 다양성 및 효율성을 고려하고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문화시설 중 국립한국문학관의 입지선정에서 요구되는 평가기준의 영역을 규명하고, 전문가 심층 인터뷰 및 AHP기법을 통해 입지선정에 요구되는 평가기준들의 요소들을 유형화, 계층화하여 평가기준의 우선순위를 알아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도시건축 집단(도시, 건축분야 전문가), 운영관리 집단(문학관, 도서관 운영자), 문학인 집단(문학관련 연구원)의 집단별 설문을 통해 규명된 평가기준에 대하여 AHP기법을 통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집단별 상대적 중요도 분석에서는 도시건축 집단에서는 ‘지역교통 접근성’. 운영관리집단에서는 ‘파급효과’, 문학인 집단에서는 ‘작품과의 상징적 연계성’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이를 통해 집단간의 평가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에서 인식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집단 간의 차이분석을 통해 도시건축 집단과 운영관리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문학인 집단은 두 집단(도시건축 집단, 운영관리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입지선정에 대한 인식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물리적 입지성과 달리 문화적 감수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전체 45명 전문가에 대한 AHP기법을 통한 종합적 분석 결과에서는 ‘파급효과’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지역교통 접근성’, ‘현대문화시설과의 연계성’, ‘주변 자연 경관성’, ‘작품과의 상징적 연계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파급효과’의 상대적 중요도가 높은 것은 도시재생 등 사회적 이슈를 반영하여, 정부주도의 공공문화시설이 도시 문화 형성에서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 인구감소지역에서 도시재생사업 앵커시설 계획의 선호도와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 및 지속거주의향의 영향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일반근린형 도시재생사업 완료 예정지역을 중심으로

        송병철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nalyzes the preference of residents for the anchor facility plan in the planning stage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examined whether the anchor facility plan had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the expectation of impro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residence. In addition, by deriving facilities and program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sidents' preferences,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chor facility plan were presented.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preference for anchor facility plans by region, Non-physical programs for supporting start-up/youth/senior/living and cultural facility plan, and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for women and multi-cultural support facility plan, Physical and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for infant and child support facility plan are appeared to be preferred by local residents. In terms of regional preference differences, the Non-physical program for supporting start-up facility plan was preferred higher in Yeongyang-gun than in Seongju-gun, and the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 for infant and child support facility plan was higher in Seongju-gun than in Yeongyang-gun. Uiseong-gun and Seongju-gun preferred Non-physical programs for infant and child/youth support facility plans and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for women and multi-cultural support facility plans than Yeongyang-gun. And in the non-physical programs for senior support facility plan, Yeongyang-gun was higher than the Uiseong-gun. Also, Uiseong-gun preferred non-physical program for living and cultural support facility plan than Yeongyang-gun's. Among the preference items of the anchor facility plan, Non-physical programs for infants and children, youth, and senior support facilities and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for the living and cultural facilities were analyzed as factors that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expectation of impro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continuous residence by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ere the Non-physical programs for youth support facilities among the preferred items of the anchor facility plan, the Degree of reflection of resident opinions among the resident participation item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between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facility and program plan of the anchor facility plan affected the expectation of impro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o intention of continuous residence. In this study, the preference for the anchor facility plan was evaluated and analyzed in the stage of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plan when resi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and reflect opinions, so It is meaningful in that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cipation for improvement of local community and intention of continuous residence. Through the analysis result,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anchor facilities to be planned in the future are as follows. First, the anchor facility plan needs to be carried out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collecting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reflection of residents' opinions in the resident participation item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expectation of impro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residence by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Second, the anchor facility plan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facilities and programs should be suitable for the region. Third, future anchor facility plans need to focus on Non-physical programs and supporting the younger age group. It was found that local residents preferred non-physical programs to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and preferred support for younger age groups such as infants, children, and youth. Therefore, in the anchor facility planning process, encourag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and selecting regionally-tailored support facilities and programs can be seen as contributing to the achievement of the purpose of anchor facilities for local community revitalization.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계획 단계에서 주민들의 앵커시설 계획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고, 앵커시설 계획이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 및 지속거주의향에 대하여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주민들의 선호도 분석에 따른 시설 및 프로그램을 도출하여 도시재생사업 앵커시설계획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 하였다. 지역에 따른 앵커시설 계획에 대한 선호도 분석 결과, 비물리적 프로그램사업으로 창업지원 시설계획, 청소년 지원시설 계획, 노인지원시설계획, 생활・문화 지원시설 계획, 물리적 재생사업으로 여성・다문화 지원 시설계획, 물리적・비물리적 재생사업에서 유아・어린이 지원시설계획 항목이 지역주민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차이로는, 창업지원 시설계획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사업은 영양군이 성주군에 비해 높았고, 유아・어린이 지원시설계획 물리적 재생사업은 영양군에 비해 성주군이 높았다. 유아・어린이 지원시설계획 및 청소년 지원시설계획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과 여성・다문화 지원시설계획을 위한 물리적 재생사업은 영양군에 비해 의성군, 성주군이 높았고, 노인지원시설계획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은 의성군에 비해 영양군이 높았다. 또한 생활・문화 지원시설 계획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은 영양군에 비해 의성군이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앵커시설 계획의 선호도 항목 중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아・어린이, 청소년, 노인 지원시설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과 생활・문화시설을 위한 물리적 재생사업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여성·다문화 지원 시설 및 창업 지원시설을 위한 물리적 재생사업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그리고, 주민참여 항목 중 앵커시설계획에 대한 주민의견의 반영 정도, 응답자 특성 항목 중 직업 여부, 월평균 소득이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재생사업에 의한 지속거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앵커시설 계획의 선호도 항목 중 청소년 지원시설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 주민참여 항목 중 주민의견 반영정도, 응답자 특성 중 동네환경 만족도로 나타났다. 요인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앵커시설계획의 시설 및 프로그램 계획이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지속거주의향의 영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들이 도시재생 사업의 진행 과정 중 적극적인 참여와 의견 반영이 가능한 시점에서의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단계의 앵커시설 계획에 대해서 선호도 평가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앵커시설계획의 선호도와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 및 지속거주의향의 영향관계를 파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를 통해, 향후 계획될 앵커시설 계획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앵커시설 계획은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며 진행 할 필요가 있다. 주민참여 항목의 주민의견 반영이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과 도시재생 사업에 의한 지속거주의향의 영향과 정(+)의 영향관계에 있는 것이 이를 뒷받침 해준다. 둘째, 앵커시설 계획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고 지역에 적합한 시설 및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한다. 셋째, 향후 진행되는 앵커시설 계획은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과 낮은 연령층의 지원사업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지역 주민들은 물리적 재생사업 보다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 어린이, 청소년 등 낮은 연령층에 대한 지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앵커시설 계획과정에서 지역의 특성과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지역맞춤의 중점지원시설 및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것이 지역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앵커 시설로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