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유구조와 재무제약이 자본구조 조정속도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주윤정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djustment speed of chaebol and non-chaebol enterprises under the financial constraints when the debt ratio is adjusted to the target debt ratio. The effect of chaebol status and shareholders degree on adjustment speed and measured adjustment speed on corporate value are analyzed according to ownership structure. The ownership structure was divided into chaebol and non-chaebol firms, divided into shareholders, and divided into family and affiliate firms shares. Financial constraints used the size, the sensitivity of the investment cash, and the dividend to compare the adjustment spe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djustment speed of the book leverage was faster than the market leverage and all showed significantly. The speed of adjustment quickly appeared in financial constraints firms, non-chaebol firms and family firms. In chaebol firms, which are financial constraints, the adjustment speed of chaebol firms was positive and negative in financial constraints firms. However, Difference in difference analysis shows that when the two variables are combined, their effects are offset and become in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second stage of the analysis of corporate value based on the adjustment speed, the faster the speed of the adjustment of book leverage, the more positive relationship of the corporate value. Therefore, the faster the adjustment speed, the higher the corporate value. The distinction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financial constraints is meaningful in that it reflects the reality of Korean compan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nal capital market is operating as the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changes rapidly or slowly. 본 연구는 부채비율이 목표부채비율로 조정할 때 재무제약 하에서 재벌과 비재벌기업의 조정속도 차이와 소유구조에 따라 재벌여부와 지분율 정도가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 및 측정된 조정속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유구조는 재벌과 비재벌기업, 내부지분율의 차이, 가족과 계열사지분으로 구분하였고, 재무적 제약은 기업규모, 투자현금 민감도, 배당유무를 사용하여 조정속도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조정속도는 장부가 레버리지 조정속도가 시장가 레버리지 보다 빠르게 나타났고 모두 유의한 값을 보였다. 재무제약기업과 비재벌기업, 가족기업에서 조정속도가 빠르게 나타났고, 재무제약인 재벌기업에서는 재벌기업의 조정속도가 양(+)의 방향, 재무제약에서는 음(-)의 방향으로 나타났지만 교차분석으로 두 변수가 합쳐졌을 때에는 그 효과가 상쇄되면서 유의성이 없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분석으로 조정속도에 따른 기업가치 분석결과 장부가 레버리지 조정속도가 커질수록 기업가치는 양(+)의 방향을 보였고 조정속도가 빠를수록 기업가치는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정속도와 기업가치 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분석결과를 제시함과 동시에 소유구조와 재무적 제약의 구분은 우리나라 기업의 현실성을 반영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자본구조 조정속도가 빠르게 또는 느리게 변화함에 따라 내부자본시장이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방송영상 미디어 브랜드 자산 형성과정과 전이효과: 정치 이미지 일치, 이용자 편익을 중심으로

        전은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현재 미디어 환경에서 이용자가 평가하는 방송영상 미디어 브랜드 자산이 어떤 과정을 통해서 형성되고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 그렇게 형성된 브랜드 자산이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고객기반의 브랜드 자산(consumer-based brand equity)의 관점에서 방송영상 미디어 사업자의 브랜드 자산을 정의하고, 이를 ‘뉴스 브랜드 자산’과 ‘예능 브랜드 자산’으로 세분화하여 논의하였다. 연구는 정량적 조사방법인 설문조사의 방식으로 설계하였다. 현재 한국 미디어 시장에서 종합편성을 행하고 있는 사업자들 가운데, 사업자의 유형과 사회 통념상 인식되고 있는 사업자의 정치적 성향을 고려하여 MBC, SBS, TV조선의 세 개 사업자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각 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우선, 방송영상 미디어 브랜드 자산의 형성과정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에서, 고객기반의 브랜드 자산 모형과 자아일치성 이론(self-congruity theory)을 근거로, 이용자가 사업자에 대한 브랜드 자산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사업자와 이용자의 자아이미지 일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해 보았다. 현재 한국 미디어 시장에서 관찰되는 정파성(partisanship)의 현저성을 고려하여, 방송영상 미디어 사업자의 다양한 이미지 요인 가운데에서도 정치적 이미지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사업자와의 정치 이미지 일치가 이용자 방송영상 미디어 사업자의 뉴스 브랜드 자산과 예능 브랜드 자산을 평가하는 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사업자와의 정치 이미지 일치는 이용자가 사업자의 뉴스 브랜드 자산을 평가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심지어는 해당 사업자의 예능 브랜드 자산에 대한 평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용자들은 자신과 같은 정치 성향을 가진 것으로 인식되는 사업자의 뉴스 브랜드 자산과 예능 브랜드 자산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는 MBC, SBS, TV조선 3개 사업자에서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둘째, 이러한 정치 이미지 일치가 방송영상 미디어 사업자의 뉴스 브랜드 자산과 예능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은 이용자 편익에 의해서 매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가 사업자의 뉴스 콘텐츠 이용과 예능 콘텐츠 이용을 통해 지각하는 편익을 기능적 편익과 상징적 편익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사업자와의 정치 이미지 일치는 이용자의 기능적 편익과 상징적 편익 지각에 영향을 정적 영향을 미쳤고, 정치 이미지 일치는 기능적 편익과 상징적 편익을 매개하여 뉴스 브랜드 자산과 예능 브랜드 자산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사대상 사업자 모두에서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이렇게 형성된 방송영상 미디어 브랜드 자산이 현재 미디어 시장에서 어떤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브랜드 자산의 전이효과(spillover effect)를 탐색적으로 확인해 보았다. 하위 브랜드 간 전이효과 발생의 가능성을 확인해 보기 위해, 뉴스 브랜드 자산이 예능 브랜드 자산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았다. 또, 모 브랜드와 확장 브랜드 간의 전이효과를 발생 가능성을 확인해 보기 위해, 특정 사업자의 뉴스 브랜드 자산과 예능 브랜드 자산이 해당 사업자의 확장 브랜드라 할 수 있는 유튜브(Youtube) 버티컬 브랜드(vertical brand)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뉴스 브랜드 자산은 예능 브랜드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MBC, SBS, TV조선 3개 사업자에서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둘째, 뉴스 브랜드 자산은 사업자의 뉴스 버티컬 브랜드와 예능 버티컬 브랜드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예능 브랜드 자산 역시 뉴스 버티컬 브랜드와 예능 버티컬 브랜드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사대상 사업자 모두에서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갖는다. 첫째, 현재 미디어 환경에서 정파성이 가지는 영향력을 보여준다. 특정 사업자와의 정치적 이미지 일치가 해당 사업자의 뉴스 브랜드 자산뿐 아니라 예능 브랜드 자산 평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발견은 현재 미디어 환경에서 정치적 이미지가 이용자들에게 현저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중요한 판단의 준거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방송영상 미디어 브랜드 자산이 보다 통합적인 차원에서 관리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방송영상 미디어 사업자가 보유하고 있는 브랜드 자산이 사업자의 다른 하위 브랜드로 전이되는 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의 발견은 플랫폼과 장르별로 분화되어 있는 브랜드 자산을 보다 통합적인 관점에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ormation process through which customer-based brand equity on electronic media and to understand the value of such electronic media brand in the current media environment. To this end, this research first defined what an electronic media brand is at the media company level, after, subdivided it into 'news contents brand equity' and 'entertainment contents brand equity' and discussed about each. Considering the political ideology a company stands for and its operation type, MBC, SBS, and TV Chosun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for electronic media brands. Three survey were done for each of the three electronic media brands. of all,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rmation process of consumer-based brand equity in electronic media, we examined how the self-image congruency between media companies and users affects brand equity formation based on the 'consumer-based brand equity model' and 'self-congruity theory.' Considering the prominence of partisanship in the Korean media market, focused on the ideological image among the various image factors of electronic media brands. Accordingly, this study defines political congruency as the congruence between the ideological image of an electronic media company as perceived by its users and the users' ideological orientation. After that, analyzes how political congruency with media companies affects the formation of news contents brand equity and entertainment contents brand equity of electronic media. result shows that, first, political congruency has a positive effect on users' evaluation of news contents brand equity and entertainment brand equity. This means that users tend to evaluate the brand equity of electronic media companies, which are perceived to have the same political orientation as themselves, positively. This holds true for MBC, SBS, and TV Chosun. the effect of political congruency on news contents brand equity and entertainment contents brand equity of electronic media companies is mediated by user benefits. In this study, user benefits that users perceive from experiencing news and entertainment content of media companies are divided into functional benefits and symbolic benefits.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cross media companies, overall,. Also, political congruency with media companies had a positive effect on users' perceptions of functional and symbolic benefits. Furthermore, political congruency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evaluation of the news brand equity and the entertainment brand equity by mediating functional and symbolic benefits. the spillover effect of brand equity to determine the value of electronic media brand equity in the current media market was investigat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spillover effects between sub-brands, whether news contents brand equity affects the evaluation of entertainment contents brand equity. Additionally,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spillover effects between parent brands and extension brands, whether the news contents brand equity and entertainment contents brand equity of a particular media company affect the evaluation of the vertical brand of YouTube, which can be considered an extension brand of the media companies.results show that, first, news contents brand equity has a positive effect on entertainment brand equity, which is observed across the three media companies MBC, SBS, and TV Chosun. Second, news contents brand equ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valuation of the news vertical brand and the entertainment vertical brand of the media companies. Also, entertainment contents brand equ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valuation of the news vertical brand and the entertainment vertical brand.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across all the companies surveyed .findings have several implications. First, it shows the power of partisanship in the current media environment. Political congruency with a particular media company can affect not only the evaluation of the media company's news contents brand equity but also its entertainment contents brand equity. It shows that incurrent media environment, the ideological image of electronic media is highly perceived by users and serves as an important criterion for judgment. Second, it shows that electronic media brand equity needs to be managed in a more integrated manner. The fact that a media company's brand equity is likely to be transferred to other sub-brands of the media companies highlights the need to manage brand equity that is fragmented across various platforms and genres from a more integrated perspective.

      • 영상 콘텐츠 자막의 표현기법과 효과 : 정보처리과정을 중심으로

        오령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디지털 기술 도입 이후 영상 콘텐츠 제작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는 자막이 여러 가지 표현기법에 따라 이용자의 정보처리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을 시청할 때 이용자의 인지적 처리를 강화할 수 있는 자막의 유형을 탐색하였다. 자막이 시각 언어로써 이용자에게 미치는 인지적 영향과 멀티미디어 영상의 구성요소로써 이용자의 관여 발생과 인지적 영향에 미치는 과정을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자막의 유형과 표현기법을 정리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표현기법 중 자막 내용, 자막 양, 청각정보 형태, 문장 형태가 이용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영상의 시각 채널로 전달되는 시각 언어인 자막은 청각 언어와의 중복 수준에 따라 다른 효과를 낼 것이라고 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먼저 인지적 정보처리과정의 개념과 제한된 용량 모델에 근거해 영상의 구조적 복잡성과 기존 기억 인출 여부에 영향을 주어 재인과 회상에 차이를 일으킬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우선 음성 정보의 중복 수준에 따라 자막 내용과 자막 양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반영해 <실험 1>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무자막 조건일 때와 비교를 포함해 자막 내용과 자막 양에 따른 인지적 영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자막이 있는 조건에서 시각 언어와 청각 언어의 결합 방식과 시각 언어의 형태에 따른 구체적인 차이를 알기 위해 청각정보 형태와 자막 형태가 미치는 인지적 영향의 차이를 살펴보는 <실험 2>를 수행하였다. 또한 미디어 풍부성 이론에 근거해 자막이 미디어 풍부성을 가진 양식에 해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관여 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관여가 인지적 영향에 미치는 역할을 함께 검증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속성의 차이가 자막의 표현기법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자막의 표현기법에 따른 효과에서도 성별과 연령대에 따른 집단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자막 내용의 차이는 이용자의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막 유무에 따른 차이보다는 자막 내용이라는 구체적인 조건에서 정보처리과정에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정보전달형 자막과 의견개입형 자막 사이, 그리고 무자막과 의견개입형 자막 사이에서 재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의견개입형 자막에서는 가장 낮은 수준의 재인이 나타났다. 둘째, 청각정보 형태와 자막 형태의 조합에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특정한 청각정보 형태나 자막 형태에 따른 인지적 영향보다는 청각정보가 음악일 때는 문장형 자막이, 음성일 때는 요약형 자막이 회상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셋째, 자막의 표현기법에 따른 관여도는 자막 형태에서만 발생하였고 자막의 표현기법이 인지적 영향에 미치는 과정에서 관여도의 매개효과는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속성에 따라 성별과 연령대로 구분한 집단별 차이에서는 남녀 집단, 그리고 20대·30대 집단의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 집단에서는 자막의 표현기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여성 집단에서 자막 내용에 따른 재인 차이, 그리고 청각정보 형태와 자막 형태의 상호작용 효과가 회상에서 나타났다. 20대는 자막 형태가 회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막 유무에 따른 재인의 차이에서 관여도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30대는 자막 내용, 또 청각정보 형태와 문장 형태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재인과 회상 모두에서 나타나는 등 자막의 표현기법은 20대와 30대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갖는다.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 콘텐츠에서 네 가지 자막 표현기법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첫째, 자막 유무보다는 자막 내용의 차이가 인지 과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분석결과 무자막과 정보전달형 자막은 자막 유무의 차이가 있으나 둘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정보전달형 자막과 의견개입형 자막 사이, 그리고 무자막과 의견개입형 자막 사이에서는 재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자막과 청각 정보 중복 수준에 따른 자막 내용의 차이가 영상의 구조적 복잡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의 경우 자막이라는 시각 언어가 청각 언어를 대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영상 이용자들은 청각 정보가 음악일 때와 음성일 때 모두 재인과 회상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자막으로도 정보전달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자막이 영상의 구성요소로써 미디어 풍부성을 통해 이용자에게 관여를 일으키는 양식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시도해 보았다는 의미가 있다. 실험 참여자 전체 집단에서는 자막 형태만 관여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대 집단에서는 자막 유무의 차이에 따른 관여도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다. 넷째, 이제까지 영상의 미디어 풍부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양식 간 비교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본 연구는 영상 내 구성요소의 차이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는 특성을 가진다. 다섯째,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속성이 자막의 표현기법의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변인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남녀 집단의 차이와 20대·30대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가능성을 발견함으로써 새로운 영상 제작 방식에 대한 연구는 집단을 좀 더 세분화해서 볼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presentation modes of captions affect the user's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when viewing informational video. Also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generating of user involvement as a component of multimedia images and their cognitive effects. This study summarized the types and presentation modes of captions based on related studies. According to the prior studies,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presentation modes of captions into the content of captions, amount of captions, auditory information forms, and sentence forms. Through this classification, the researcher tried to investigate user's cognitive effects of each presentation mode of captions. Because captions, a visual language, are transmitted through the visual channel of the video, this study expected that captions would have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the level of redundancy with auditory language. Accordingly, first, based on the concept of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limited capacity model, it predicted that captions would affect the structural complexity of videos and retrieval of existing memories, thereby affecting recognition and recall. In order to verify this,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 1 to reflect that the content of captions and the amount of capti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redundancy of audio information. Experiment 1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cognitiv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captions and the amount of captions, including comparison with the non-caption condition. Next, Experiment 2 conducted to explain the difference in cognitive effects according to the auditory information forms and the sentence forms under the condition of cap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captions affects user’s recognition. In particula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under the content of captions rather than the presence of captions. Seco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in the combination of the auditory information form and the sentence form. When the auditory information was music, the sentence-type captions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recall, and when audio information was audio, summary-type captions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recall.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egree of involvement did not appear in the presentation modes of captions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Fourth,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properti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divided by gender and age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and female groups and the groups in their 20s and 30s. This study proposed five implications for the difference in presentation modes of caption in informational video content. First, it showed the possibility that the difference in content of captions, rather than the presence of captions, could affect cognitive overload. Second, it showed the possibility that visual language can replace auditory language in informational video content. Third,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whether captions can become a modality that induces user involvement through media richness as a component of video. Fourth, most of prior studies on the media richness of multimedia videos have mainly conducted experiments in a comparative method between modalities. In contrast, this study analyzed effects of differences by components inside the video. Fifth, this study showed that demographic properties can act as a major variable to effects of presentation modes of captions.

      • Ownership structure and determinants of firm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COVID-19 pandemic : an event study on Korean stock market

        Nguyen Kieu Anh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COVID-19 outbreak has brought unprecedented challenges to the majority of small, medium, and large enterprises, which has had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global economy. Ignoring the negative effects it brings, the COVID-19 pandemic is also seen as a good opportunity to challenge companies with the potential and capacity to survive. Therefore, businesses must know how to analyze and evaluate their potential to plan a recovery strategy after the pandemic and identify development prospects to generate appropriate strategies. This thesis i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Korean listed companies’ abnormal stock returns.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e impact of ownership structure and corporate characteristics on Korean corporate performance and stock returns. A sample of 741 Korean companies was selected from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KOSPI) for four years from 2018 to 2021. As a result,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ket expectations for corporate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the emergence of the COVID-19 pandemic. Besides, empirical evidence from regression models suggests that ownership held by affiliated firms has a negative impact on company performance. 코로나 19 는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할 것 없이 전례 없는 위기를 불러왔으며, 이는 또한 세계 경제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팬데믹이 가져온 부정적인 영향을 차치하고, 팬데믹은 또한 생존 가능성과 능력을 가진 기업들에게 도전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따라서 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이후 회복전략을 계획하고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기업 스스로의 잠재력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코로나 19 팬데믹이 국내 상장기업의 비정상적인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본 논문은 기업의 소유구조와 특성이 한국기업의 실적과 주가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2018 년부터 2021 년까지 총 4 년간 한국종합주가지수(KOSPI) 내 741 개 한국 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했다. 연구 결과, 팬데믹 발생 전과 후를 비교했을 때 기업 실적에 대한 시장 기대치가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회귀모형에 의한 실증적 증거는 기업 계열사의 소유권이 기업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 방송 콘텐츠 이용 다양성에 관한 연구 : 공유 문화자본과 인구사회학적 속성을 중심으로

        오하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방송 콘텐츠 이용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자 속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채널, 프로그램, 플랫폼, 세 차원의 방송 콘텐츠 이용이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데 이용자의 속성이 설명 변인으로 기능하는지 살펴보았다. '성장 과정에서 부모와 함께 얼마나 많은 문화적 경험을 공유하였는지'를 의미하는 공유 문화자본을 토대로 방송 콘텐츠 이용 다양성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였다. 더불어 방송 콘텐츠 이용에 대한 설명변인으로써 높은 유용성을 담보해왔던 인구사회학적 속성이 유효한 변인으로 기능하는지 살펴보았다. 방송 콘텐츠 이용 다양성은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얼마나 많은 콘텐츠를 이용하는지와 관련한 것이다. 이것은 수적 다양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용자가 규칙적으로 이용하는 콘텐츠의 수나 조합을 의미하는 레퍼토리(repertoire)로 개념화하여 측정하였다. 두 번째는 장르 이용 다양성으로, '서로 다른 장르의 콘텐츠를 얼마나 골고루 이용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콘텐츠 레퍼토리를 구성하는 장르의 수로 측정하였다. 장르 이용 다양성의 경우, 장르라는 속성을 갖는 채널과 프로그램 이용에 대해서만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유 문화자본이 방송 콘텐츠 이용 다양성 전반을 설명하는 핵심적 변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유 문화자본 보유량이 많은 사람일수록 더 많은 수의 채널, 프로그램, 플랫폼을 이용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람들은 또한 특정 장르 이용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장르의 채널과 프로그램을 골고루 이용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콘텐츠 이용에 요구되는 능력과 취향이 성장 과정에서 부모와의 경험 공유 정도, 즉 공유 문화자본을 토대로 축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부모라는 이종 세대와의 교류 경험이 많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나와 다른 인구사회학적 속성을 갖는 타인과의 교류 능력, 개방성, 사고의 다원성 수준이 높을 것이기에 서로 다른 종류로 구분되는 채널, 콘텐츠를 두루 섭렵하는 데 유리한 측면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는데 연구결과는 이 가정을 지지하였다. 공유 문화자본과 더불어 방송 콘텐츠 이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변인은 연령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채널과 프로그램 레퍼토리 수가 증가한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그동안 문화소비 행위 차이를 이끄는 핵심 변인으로 논의되어 왔던 개인과 부모의 교육수준은 방송 콘텐츠 이용 다양성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diversity of broadcasting content use. The diversity of content use consists of two dimensional concepts: one dimension reflects the number of contents repertoire, and the other reflects the diversity of content genre. Data from an online survey(n=749) are used to analyze the impact of individual demographic and cultural capital on the diversity of content use. This study tried to conceptualize cultural capital not only in perspective of educational background, but of shared experience with parents while growing up(hereafter 'shared cultural capital'). The result reveals that shared cultural capital i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diversity of content use. People who have more shared cultural capital tend to use more channels, programs, platforms, and to watch more diverse genres of content. These findings support the idea that individual cultural experience with the family members, especially parents, accumulate cultural resources required for using broadcasting content. Yet survey research data consistently show the absence of academic background effects on the diversity of content use. It is argued that conventional measures of cultural capital fail to capture cultural knowledge and taste that make a difference in content use. It was further found that age is another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broadcasting content use: the aged individuals tend to have more repertoires of contents, and watch more various genres.

      • TV 시청으로 인한 여고생의 신체불만족 현상에 미치는 미디어 리터러시 개입의 완화 효과

        김현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마른 몸매를 강조하는 왜곡된 대중매체의 신체상에 노출되어 신체불만족을 느끼는 여고생들에게 미디어 리터러시 메시지를 보여줌으로써 신체불만족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 논문이다. 2014년 5월 서울 소재의 한 사립 여고 1학년 123명을 대상으로 실험이 이뤄졌다. 연구결과, 마른 몸매를 강조하는 장기적 TV노출이나 단기적 TV노출 모두 신체불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반면 상향비교는 마른 몸매를 강조하는 장기적 TV노출이나 단기적 TV노출에 상관없이 신체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디어 리터러시 메시지인 미디어 리터러시 개입(Media literacy intervention, MLI) 동영상은 마른 몸매를 강조하는 장기적 TV노출이나 단기적 TV노출로 인한 신체불만족을 직접적으로 완화시키지는 못했다. 그러나 단기적 TV노출로 인한 신체불만족의 경우, MLI 시청여부와 상향비교 정도에 따라 신체불만족을 완화시키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 노년층의 스마트폰 격차와 자아통합감

        김기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고령화와 정보화로 대변되는 현대 사회에서 노년층의 스마트폰 활용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스마트폰의 이용이 노년층의 외로움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자아통합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보았다. 본 연구는 4가지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 가설은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은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이며, 두 번 째 가설은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은 외로움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이다. 그리고 세 번 째 가설은 외로움이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가설은 스마트폰의 이용이 외로움에 영향을 끼치고 외로움이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끼치는데 인과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4가지 연구가설에 대한 자료수집을 위해 본 연구는 55세 이상 노년층 1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하였으며 , 설문조사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이 수집된 자료는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중,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분석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이용은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마트폰 이용의 하위 개념인 이용역량과 활용능력 모두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끼치지만, 이용역량보다 활용능력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드러났으며 활용능력 중 기본능력보다 응용능력이 자아통합감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스마트폰 이용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이용을 잘할수록 외로움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용역량과 기본능력 활용보다 응용능력활용이 뛰어날수록 외로움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셋째, 외로움은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외로움이 낮아질수록 자아통합감은 올라가며 넷째, 스마트폰 이용이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고, 외로움이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과성이 검증되었다.

      • 청소년 유해음반 내용규제에 관한 연구 : 심의세칙 제정 이전과 이후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오진실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소년 유해음반 심의 현황과 새로운 심의세칙이 제정된 이후의 효과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새로운 심의세칙이라 함은 음반심의를 담당하는 청소년보호위원회에서 기존의 심의기준을 구체적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2011년에 제정한 것을 말한다. 먼저 청소년 유해 음반 심의 현황 분석을 위해 음반 유통사별, 가수 특성별, 음악 장르별 등 특성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심의세칙 제정 이후의 심의결과가 이전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고시연도별 유해 음반 사례분석과 유해 음반 취소사례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은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총 2,613건의 유해 음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각 특성별로 유해 음반 결정 사유 건수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심의기준의 문제점으로 인해 나타난 자의적이고 일관적이지 못한 심의의 문제가 새로운 심의세칙이 제정된 이후에 해결되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n the regulations of harmful music lyrics and the effect of r new deliberation rules . Rules of deliberation on music lyrics was rectified in 2011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existing regulation standard in detail. In order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harmful music lyrics,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difference among the factors including several music record distributors, characteristic of singers, and music genre. Moreover,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ases of annually announced harmful music lyrics and revocation of these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the deliberation prior to and after the newly enacted regulation. 2,613 music records, that were classified as harmful from 2007 to 2014, are used for this case analysis. The result reveals that the number of reasons for the decisions on harmful music lyrics were different based on each factor. These differences are related to the music genre and the change in the members of Youth Protection Committee. Furthermore, it is verified that the new regulation resolves the arbitrary and inconsistent results caused by the defect of the previous regulation standard.

      • 텔레비전 뉴스에 등장하는 여성의 역할에 관한 연구 : KBS, MBC, SBS 저녁종합뉴스 분석

        전지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텔레비전 뉴스에 등장하는 여성의 역할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텔레비전에 등장하는 여성을 분석한 여러 연구 결과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미디어에 등장하는 횟수가 적고, 여성이 맡는 역할도 제한되어 있으며, 흔히 성적 대상으로 묘사되고 있다는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 되어 왔다. 특히 텔레비전 뉴스에 등장하는 여성에 관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공통적으로 여성 불평등과 상징적 소멸을 지적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텔레비전 뉴스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앵커와 취재 기자, 뉴스원(news subject)들이 그 성별에 따라 뉴스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앵커 성별에 따른 기사의 수와 형식, 주제 그리고 앵커의 나이는 차이가 있는가? 취재 기자의 성별에 따라 다루고 있는 기사의 수와 주제 그리고 기자의 나이는 차이가 있는가? 마지막으로 뉴스원은 그 성별에 따라 등장하는 뉴스의 주제에 차이가 있는가? 성별에 따른 나이와 지위와 직업, 역할에는 차이가 있는가? 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고 2006년 3월부터 4월까지 지상파 3사의 저녁종합뉴스 프로그램(KBS 뉴스9, MBC 뉴스데스크, SBS 8시뉴스)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기존 연구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뉴스 안에서 여성이 불평등하게 그려지고 있다는 점과 맥을 같이 한다. 먼저 앵커에 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여성 앵커와 남성 앵커가 보도하고 있는 뉴스 기사의 수나, 등장하는 기사의 형식, 그리고 맡고 있는 뉴스의 주제는 기존 연구들의 결과에 비해 남녀 간에 차이가 많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남녀 앵커의 나이를 살펴보면 남성 앵커의 연령은 30대부터 50대까지였고 여성 앵커의 연령은 20, 30대인 것으로 나타나 권위와 전문성을 갖춘 듯 보이는 중후한 남성과 20, 30대 미모의 여성으로 정형화된 기존의 연구 결과들과 차이가 없어 보인다. 둘째, 방송 3사 뉴스에 등장한 남녀 취재 기자에 대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남성이 82.4%, 여성은 17.6%로 나타나 여전히 극심한 차이를 보였고 다루고 있는 기사의 주제 또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남성 취재 기자는 다양한 주제의 기사를 다루고 있지만 여성 취재 기자가 다루는 뉴스의 주제는 제한적이었고 여성 취재 기자는 주로 소프트 뉴스(soft news)를, 남성 취재 기자는 주로 하드 뉴스(hard news)를 취재하여 보도하는 식의 성차별이 줄기는 하였으나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여성 뉴스원을 분석한 결과 또한 남성이 76.0%, 여성은 24.0%로 나타나 극심한 차이를 보였다. 뉴스 주제에 따라 등장하는 뉴스원의 성별에도 차이가 보였고 뉴스원의 성별에 따른 나이의 차이 또한 극명하게 드러났는데, 여성 뉴스원은 20, 30대의 나이가 거의 절반을 차지했고 남성 뉴스원의 나이는 40, 50대가 절반을 넘어 뉴스 앵커나 기자와 마찬가지로 남성에 비해 뉴스원으로 등장하는 여성의 나이가 훨씬 젊은 것으로 보인다. 뉴스원의 지위와 직업이라는 측면에서도 남성과 여성은 텔레비전 뉴스에서 차별적인 존재로 묘사되었다. 남여 뉴스원의 직업을 분석한 결과 여성 뉴스원은 직업을 알 수 없는 경우가 거의 절반을 차지했고, 남성이 뉴스원으로 등장하는 경우에는 정부 대변인, 직업을 알 수 없는 경우, 정치인 등의 순이었다. 뉴스 기사 내에서의 역할에서도 남성과 여성간의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뉴스가 다루는 사건이나 이슈와 관련하여 여성 뉴스원은 개인적인 경험에 기반 하여 의견을 표명하거나대중적인 의견을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이에 반해 남성 뉴스원은 대변인의 역할, 개인적 경험에 기반 하여 의견을 표명하는 경우, 전문가로서의 역할 순으로 나타났다. 텔레비전 뉴스에 등장하는 여성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이후로 많은 연구에서 끊임없이 제기되었던 여성의 부재와 주변화의 문제는 본 연구에서도 같은 맥락의 결과를 보였다. 우리가 이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공적인 세계의 뉴스에 등장하는 소수의 여성마저도 대부분이 전문적 의견을 제시하는 역할보다는 직업을 알 수 없는 대중적인 의견이나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의견을 표명하고 있는 역할로 등장한다는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an actual proof of the way women is featured in TV based on an analysis of Korean major TV news. This study analyzed how news anchors, reporters and news subjects were being portrayed in the evening news of three major TV networks(KBS, MBC, SBS) from March to April 2006.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n anchors presents the gap between the number of news stories delivered by female and male anchors is being much closed comparing with past studies. Second, analysis on reporters presents the gap between the number of news stories delivered by male and female reporters is critically big - male 82.4% vs. female 17.6%. Furthermore, this analysis also presents that female reporters are more likely to cover 'soft news', on the contrary male reporters tend to cover the 'hard news' - the news that is perceived more 'serious'; this analysis shows the evidence of gender discrimination still exists as past studies referred. Third, analysis on news subjects presents that the gap of number are critically big - male 76.0% vs. female 24.0%. The absence and decentralization of women - the continuously proposed issues since the first study on roles of women in TV news began - are still same as before. The (absolute) number of women in TV news are small and restricted in the subject delivery. Furthermore, they are more likely to give personal views or represent popular opinions in news topic - they barely features as authorities or experts.

      • 이념 일치성, 채널 브랜드 자산, 뉴스 이용 다양성이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 JTBC, TV조선 뉴스에 대한 실험 연구

        전은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채널에 대한 수용자의 선행적 인지가 채널과 해당 채널의 뉴스 보도 내용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자가 판단하는 채널과 이념성향 일치 정도를 의미하는 ‘이념 일치성’과 채널에 대한 수용자의 평가를 뜻하는 ‘채널 브랜드 자산’, 그리고 ‘뉴스 이용 다양성’이라는 세 가지 요인이 채널 신뢰와 뉴스 보도 내용 신뢰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기능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JTBC와 TV조선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동일한 내용의 방송 뉴스를 각 채널에서 방송된 것과 같이 조작하여 자극물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와 실험연구를 통해 확보한 데이터는 각 연구문제별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이념 일치성은 두 채널에 대한 수용자의 브랜드 자산 평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념 일치성과 채널 브랜드 자산 요인은 두 채널에 대한 신뢰와 전반적인 보도 내용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채널 시청량 요인 역시 채널 신뢰와 내용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뉴스 이용 다양성 요인은 대체로 채널 신뢰에 부적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이를 통해, 뉴스 수용자는 자신과 이념성향의 일치 정도가 높다고 판단한 채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더욱 신뢰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러한 채널에서 보도된 뉴스를 더욱 신뢰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특정 채널을 통한 뉴스 소비가 많은 수용자는 해당 채널을 더욱 신뢰하지만, 평소 다양한 채널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는 수용자들의 특정 채널에 대한 신뢰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수용자의 선행 인지가 언론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양한 변인을 통해 살펴봤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언론 신뢰, 채널 신뢰, 뉴스 내용 신뢰, 이념 일치성, 채널 브랜드 자산, 뉴스 이용 다양성, 위계적 회귀분석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