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의적 움직임과 정서표현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창작 작품 『파편』을 중심으로

        한예농 국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activities and emotional performance by using the creative work frag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it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ontent and expression of the work try to have a free perspective and abstract expression. For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the protagonist, contact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action and emotional performance, and show originality. To this end, the use of space has increased static and positive opposition, breathing and speed changes. Secondly, try to express the emotional expression of modern dance subjectively and abstractly. Therefore, it prov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and action, composition, creative ac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of the work.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fragm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activities and emotional expression is as follows: First, joint and several relationship. Therefore, the correct emotional expression in dance should be related to the successful artistic action image in the work. For example, solid dance foundation, superb skills and rich inner feelings should be linked. Second, the containment relationship. In other words, creative ac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restrict each other. In dance, body movements and emotional performance are closely linked, but in order to pursue the diversity of body movements, the relationship should also be changed. Even the process of mutual restraint can reach balance< In fragment, it is restrained by various sad and painful actions and emotional expressions performed by others with the same inner emotion on the stage. Third, alternating relationship. In the arrangement of modern dance, leading works continue to emerge, giving new ideas to the majority of dance creators. For example, when you have feelings, you should show that you have no body language at all, or when you just have simple body language, you have no feelings. In fragment, pain, hope and joy are also expressed through the shift handover relationship, but the shift handover relationship is more cautious than the joint shift and shift handover relationship. Therefore, dance must have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behavior and emotional performance in order to expect better results. Therefore, dance creato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actions and emotional performance. Works with poor understanding or inadequate preparation of the audience will destroy the relationship of association, restraint and alternation. Dancers should also study movements, expressions, strengths and weaknesses through a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required in the work, and continue to practice. Among the various changes of modern dance, the creative works of dance can achieve higher expected results only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actions and emotional performance is considered first. 본 연구는 창작작품 <파편>을 이용하여 창의적 움직임과 정서표현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작품 분석을 통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작품 내용과 표현은 자유로운 시각과 추상적 표현을 시도하였다. 주인공의 심적 문제에 대해 창의적 동작 정서표현 간 관계를 연계하여 독창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 활용을 정적 및 적극적 대립방식과 호흡, 속도 변화를 더하였다. 다음으로 현대 무용의 정서 표현을 주관적 및 추상적 표현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작품 내용과 동작, 구성, 그리고 창의적 동작과 정서표현 간의 관계를 증명하였다. <파편>작품의 특징 분석을 통해 창의적 움직임과 정서표현 간 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연대 관계이다. 따라서 무용에서 정확한 정서표현은 작품 속의 성공적인 예술동작 이미지와 관계가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탄탄한 춤의 기초에 뛰어난 기교, 내면의 풍부한 감정 등이 연계되어야 한다. 두번째, 견제 관계이다. 즉 창작적 동작과 정서표현 간 상호 제약을 의미한다. 무용에서 몸짓과 감정 표현은 밀접하게 연결되지만, 몸짓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서 관계도 달라져야 한다. 심지어 상호 견제과정이 균형을 잡을 수 있다. <파편>에서 내면적 감정이 동일한 타인과 무대 위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슬프고 고통스러운 동작과 정서표현을 통해 견제하였다. 셋째, 교차관계이다. 현대무용의 편성에서 선도적 작품들이 계속 밀려들면서 많은 무용창작자들에게 구상에 대한 새로운 기발함을 준다. 예를 들어 감정이 있을 때 몸짓이 전혀 없거나 혹은 단순히 몸짓을 보일 때 감정이 없음을 보여 주어야 한다. <파편>에서도 교차관계를 통해 고통, 희망, 기쁨을 표현하였다, 하지만 교차관계는 연대 및 교차 관계보다 신중해야 한다. 따라서 무용은 창의적 행동과 정서표현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어야 보다 훌륭한 성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무용 창작자들은 창작 시에 창의적 움직임과 정서표현 간 관계를 더욱 중시해야 한다. 관객들이 이해성이 떨어지거나 준비가 부족한 작품은 연대, 견제, 교차 관계를 파괴할 수 있다. 무용가 역시 작품 속에서 요구하는 함의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통해 동작, 표정, 강약 등의 동작을 연구하고 지속적으로 연습해야 한다. 현대무용의 다양한 변화 속에서 무용의 창작 작품의 경우 창조적 움직임과 정서표현 간의 관계 변화를 우선 생각해야 만이 더욱 훌륭한 기대 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모리스 메를로 퐁티의 신체관에 근거한 움직임 창작연구 : 창작작품 [Nucleus]을 중심으로

        이채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Dance is the art of time and space, and also an art of expressing thougts and emotions with the body as the subject. Therefore, the essence of dance lies on the body, and I think the body should be the subject in the composition of movement.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era, the method of analyzing dance works in the present era has also chang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of the work, it was found that rather than analyzing the work with a focus on mov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movement and technology was illuminated, and the flow and relationship of the work were mainly analyzed. However,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time when works centered on the body will be prevalent, not led by technological convergence works. Therefore,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body should be conducted, and based on this, he intends to extract movement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body view and use them as a movement analysis element.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that the dancer wants to conve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ody by analyzing the movement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s in the creative work. Therefore, this researcher explored body based on Merleau Ponty’s philosophical perspectives which emphasized body rather than reason unlike other philosophers and claimed that the world could be experienced through the body. Merleau-Ponty’s phenomenology saw that you can experience a world where time and space exist through the body. And also it was considered that the experience's perception and consciousness occurred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 world. The claim that you can feel time and space through the body and experience the world through the phenomenon experienced by the body is the content of Maurice Merleau-Ponty’s view of body. As the body becomes the subject and can experience all phenomena and the world, Merleau-Ponty saw the body as a "cultivated consciousness" or “cultivated self”. As a result, this researcher looked at the body in motion again based on Merleau-Ponty's view of body in the dance art where the body w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than any art. The body in motion is a tool that can construct movement by combining and operating body parts in various ways. However, the composition of the work based on Merleau-Ponty's view of body aims to understand the consciousness of the dancer and the resulting movement rather than focusing on the external form of movement by grasp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elements related to movement. Accordingly,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movement in the creative work [Nucleus] were analyzed through the time with consciousness, spatiality through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related to phenomena. 무용은 시공간의 예술이며 신체를 주체로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이다. 그렇기에 무용의 본질은 신체에 있으며 움직임 구성에 있어 신체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하지만 기술 융합적 시대가 도래됨에 따라 현시대의 무용 작품 분석 방법에도 변화가 생겼다. 작품 분석에 관한 내용을 살펴본 결과 움직임에 초점을 두고 작품을 분석하기보다는 움직임과 기술의 관계를 조명하며 작품에 대한 흐름과 관계에 대한 분석이 주로 이루어짐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 다가올 시대는 기술 융합적 작품이 주도하는 것이 아닌 신체가 중심이 되는 작품이 성행하는 시기가 올 것이라고 예상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신체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며, 이를 토대로 신체관에 근거한 움직임 특성을 추출하여 이를 움직임 분석 요소로 사용하고자 한다. 또한 창작 작품에서 나타나는 움직임의 특성들을 통해 무용수들이 움직임을 분석함으로써 무용수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신체관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른 철학자들과는 달리 이성보다는 신체를 강조하며, 신체를 통해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고 주장한 메를로 퐁티의 철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신체에 대해 탐구하였다.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에서는 신체를 통해 시간과 공간이 존재하는 세계를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세계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경험자의 지각과 의식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이처럼 신체를 통해 시간과 공간을 느낄 수 있으며 신체로부터 체험된 현상을 통해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는 주장이 모리스 메를로 퐁티의 신체관의 내용이다. 이처럼 신체가 주체가 되어 모든 현상과 세계를 경험할 수 있기에 메를로 퐁티는 신체를 “육화된 의식” 또는 “육화된 자아”라고 보았다. 이로써 본 연구자는 어떤 예술보다 신체가 주체가 되는 무용 예술에 메를로 퐁티의 신체관을 바탕으로 움직임에서의 신체를 다시 바라보았다. 움직임에서의 신체는 다양한 방법으로 신체 부위를 결합하고 운용함으로써 움직임을 구성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이다. 하지만 메를로 퐁티의 신체관에 근거한 작품 구성은 움직임과 관계 맺는 요소들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외적으로 보이는 움직임의 형태에 집중하기보다는 무용수가 어떤 의식을 가지고 신체를 운용하며 그 결과 어떤 움직임이 행해졌는지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에 시간성은 의식을 통해, 공간성은 관계를 통해, 관계성은 현상과 관련지어 창작 작품 [Nucleus]에서 나타난 움직임을 구성하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신체성 관점을 기반으로 한 무용창작 : 작품 『Is Your Freedom Real?』 중심으로

        박지수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Human beings who live in a society are determined their individual values and identity by the power and discussion. It leads to dichotomous thinking due to the individual’s identity established by discourse before recognizing subjectivity and is also applied to the position of looking at the body. Conventional patriarchy and dichotomous thinking recognize women as the weak and non-mainstream, rather than mainstream, so it was incorporated females into the male-centered power discourse. Feminism arose for campaign of women’s equal rights, and it has changed as times have changed, so the women established a social position. After postmodernism, the postmodern feminism focusing on gender, individual, and others beyond women, took in postfixation, theory of dissolution, and psychoanalysis.   The researcher attempted to study changes of methods recognizing the body in accordance of the time and society because dance is a total art that uses the body as a main part and is strongly related with social discourse and especially set the topic of the study as the feminism to study women’s identity and body. Furthermore, it is closed to modern times, and it was performed by dismantling the dichotomous idea of the past and physicality from a postmodern feminism perspective discussed mainly focusing on individuals and others and applying it to the creation of dance performances among various feminist related theories. First, it subdivid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feminism by precedent research and studi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feminism that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and it was studied based on literature when seeking the body with theory and feminist trends in art. In the precedent research, there are many studies on postmodern feminism theories by case studie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and the art history for feminism and dance art, or feminism theories and art field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t many dance studies using them to create creative musicals, and also not many cases mainly focusing on physicality. The study conducted dance creation focusing on physicality, subjective behavior, postfixation,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ity of the postmodern feminism. As postmodern feminism progressed from feminism to individual feminism to feminism of others, the study focused on the individual rather than group as if the story of a dancer and choreographer. It tried to express unsolved reality for many years figuratively afterpostmodernism, even though this era works hard to make priority of individual values and gender equality. It tried to express the image of regular femininity by the costume and the process of dismantling it by the body movement. It was intended to express the movement and story with undefined movements and videos which the physicality is a main material in dance art, and the main body of the act is determined not by the fixed value of gender such as femininity and masculinity, but by the person’s actions. The researcher studied postmodern feminism by creating and analyzing the creative work “Is your freedom rea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hysicality of postmodern feminism and then applied it to the process of the creation. By creating a work “Is your freedom real?” created from a postmodern feminism perspective and studying the body from it, the researcher felt that the socially defined value of the body defined the base of consciousness and restricted the body and hopes that various studies on the value and physicality of the body will be performed in dance art, which mainly constitutes the body movement, to study the value of the body from the perspective of female.   하나의 사회를 이루며 살아가는 인간은 이 안의 권력과 담론에 의해 개인의 가치와 주체성까지 정해지고는 한다. 이는 개인이 자아주체성을 인식하기 이전에 담론에 의해 설정된 개인의 정체성으로 인해 이분법적인 사고를 갖게 하고 이는 몸을 바라보는 입장에서도 같이 작용한다. 전통적인 가부장제와 이분법적인 사고는 여성을 약자이자 타자로 주류가 아닌 비주류로 인식하며 남성 중심의 권력 담론에 여성을 편입시켰다. 이에 여성의 평등권에 대한 운동으로 페미니즘이 발생했으며 시대가 변함에 따라 페미니즘도 함께 변해왔고, 여성은 사회적으로 입지를 다졌다.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탈고정성, 해체이론, 정신분석학 등을 받아들이며 여성을 넘어서 젠더와 개인, 타자에 중심을 두는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이 발생한다. 본 연구자는 무용은 총체예술로서 사회적 담론과 떨어질 수 없으며 몸을 주요한 원료로 사용하는 예술이므로 사회와 이 시대에 따른 몸을 인식하는 방식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여성의 주체성과 몸에 대해 연구하고자 페미니즘을 연구 주제로 잡았다. 여러 갈래의 페미니즘 이론 중에서 현대와 가깝고 여전히 논의 중이며, 과거의 이분법적 사상을 해체함과 더불어 개인과 타자를 중심으로 논의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관점으로 신체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를 무용공연 창작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페미니즘의 개념과 특징, 이를 세분화하여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이에 영향을 받아 발전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연구하고 이 이론으로 몸을 바라볼 때와 예술에서의 페미니즘 사조를 문헌으로 연구했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포스트모던 페미니즘과 무용예술, 또는 다른 예술 분야와 페미니즘 이론을 시대의 흐름과 에술사적 흐름에 따라 연구하거나 사례 연구를 통하여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이론에 대해 연구한 내용이 많다. 반면 이를 이용하여 창작 작품을 올린 무용 연구는 많지 않았으며, 신체성을 주로 연구한 사례도 많지 않았다. 연구를 바탕으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신체성의 특징인 육체성, 행위주체성, 탈고정성을 중심으로 무용창작을 진행하였다.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이 전체의 페미니즘에서 개인의 페미니즘으로, 타자의 페미니즘으로 진행됨으로 전체보다 개인에 집중하여 안무자이자 무용수 한 명의 이야기를 풀어가듯 스토리 전개를 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이 시대는 개인의 가치가 우선되고 양성 평등을 위해 힘쓰고 있지만 현실은 아직 여러 부분에서 해결되지 않았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의상을 통해 고정적인 여성성의 이미지에 대해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움직임을 통해 이를 해체하는 과정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육체성은 무용 예술에서의 원료로서의 몸으로, 행위주체성은 여성성, 남성성 등 성의 고정 가치가 아닌 행위하는 사람의 행위로 인해 결정됨을 움직임과 스토리를 통해 표현하고 탈고정성은 규정되지 않은 움직임과 영상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다. 본 연구자는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신체성 관점으로 창작 작품 「Is your freedom real?」을 창작하고 분석하는 것으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을 연구하고 창작 과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관점으로 창작한 작품 「Is your freedom real?」을 창작하며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관점으로 신체를 바라보고 연구함으로써 사회적으로 규정된 몸의 가치가 의식 저변에도 규정되어 몸을 구속하고 있음을 느끼며 신체의 움직임을 표현의 주로 이루는 무용예술에서 신체의 가치와 신체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여성의 관점에서의 몸의 가치에 대해 더 연구되어지길 바란다.

      • 질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을 기반으로 한 무용창작 : 작품 「일공팔」을 중심으로

        곽서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One of the typical characteristics in modern society is repetition. Sometimes, everyday routine gives a sense of stability, but if generally something repeats over and over again, it reminds us of negative emotions such as boredom and lethargy. The repetition in even art has been denied, sharing its meaning with imitation and reconstruction under recognizing as a simple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However, it is that the repetition is understood as ‘same’ within the reason for identity, but it still does not be interpreted the differences. So, as our perceptions change with the flow of the times, it needs the new reasons for repetition.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repetition showing in modern life and art based on Gilles Deleuze’s philosophical discussion and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ces and repetitions by precedent research and discussions by experts then applied them to dance creation.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acceptability in dance by the precedent research in the field of art applying Gilles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ve philosophy. Next, the chapter 2 studied not only the conceptual meaning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depending on ‘Gilles Deleuze’s philosophical discussion, but also what the difference itself is, what repetition means in the deep structure of the difference, and what differences and repetitions express in life and art, moreover, it extracted thre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Gilles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philosophy. The last chapter 3 analyzed and created the dance work “One-Zero-Eight” based on the diversity of differences, process of repetition, and creativity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extracted 3 characteristics.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analyzed in the study, the diversity of difference appeared in various movements of dancers when they feel the sense of subtle differences by accepting them. Moreover, the process of the repetition gave the time of ‘present – past – future’ and appeared as the process which dancers train the choreography in the work. The creativity of the last difference and repetition appeared when viewing the life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en before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work and when creating the work “One-Zero-Eight’ rearranging the time of the life. The researcher attempted to present ‘the repetition of difference’ as a methodology in the creative process by expanding the meaning of the existing fixed and limited repetition with the possibility of making new things with the reason for difference by dance creation research based on the difference and repetition of Gilles Deleuze, and it hopes to see the scope of creation when the process is expanded by continuous studies and various method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within the expressing life of philosophy and dance.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는 반복이다. 매일 반복되는 일상은 안정감을 주지만 대체로 반복된다는 것은 새로움이 결여된 것으로 지루함과 무기력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떠오르게 한다. 예술에서도 반복은 원본의 단순한 복제라는 인식하에 모방, 재현과 그 의미를 같이하며 부정되어왔다. 그러나 이는 반복이 동일성의 사유 안에서 ‘같음’으로 이해되면서 그 안에 있는 차이들을 해석하지 못한 것이다. 이에 시대의 흐름에 따라 우리의 인식이 변화됨에 있어서 반복에도 새로운 사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대의 삶과 예술에서 나타나는 반복의 의미를 질 들뢰즈의 철학적 논의에 따라 탐구하고, 선행연구와 전문가들의 논의를 통해 차이와 반복의 특성을 추출하여 무용창작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질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철학을 적용한 예술분야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무용에서의 수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2장에서 질 들뢰즈의 철학적 논의에 따라 ‘차이와 반복’의 개념적 의미를 살펴보고, 차이 그 자체는 무엇이며, 차이의 심층적인 구조 속에서 반복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차이와 반복은 삶과 예술에서 무엇을 발현시키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질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철학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특성을 추출하였다. 마지막 3장에서는 추출된 세 가지 특성인 차이의 다양성, 반복의 과정성, 차이와 반복의 창조성을 기반으로 무용 작품「일공팔」 을 창작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에서 분석된 특성 중 차이의 다양성은 차이나는 것을 긍정하면서 미세한 차이들을 감각할 때 무용수의 다양한 움직임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반복의 과정성은 작품 안에 ‘현재-과거-미래’ 라는 시간성을 부여하고 그 안에서 무용수가 안무들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차이와 반복의 창조성은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사유를 통해 삶을 이전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고 삶의 모습을 재배치하여 작품 「일공팔」 로 창작됐을 때 나타났다. 본 연구자는 질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을 기반으로 한 무용창작 연구를 통해 기존에 고정되고 한계 지어진 반복을 차이의 사유 안에서 새로운 것을 생성해나가는 가능성 지닌 반복으로 그 의미를 확대함으로써 ‘차이의 반복’을 창작 과정에 하나의 방법론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철학과 무용이라는 삶을 표현하는 방법 안에서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지속적인 시도들이 연구를 통해 진행되었을 때 확장되는 창작의 범위를 기대해 본다.

      • 르네상스 시대 회화작품의 미학적 특징과 영상매체의 기법을 활용한 무용창작 : 창작 작품 『필연적 선택』을 중심으로

        조하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사회에서의 예술은 시대의 발전에 따라 등장한 다양한 매체들로 인해 타분야와의 융·복합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언택트 현상은 4차 산업혁명을 더욱 가속화시켰으며 공연예술계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온라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공연과 전시, 교육 등 예술계의 총체적인 변화로 인해 타분야와의 융·복합을 통한 무용 창작 방법의 연구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발전해야 할 부분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르네상스 시대 미술에서 발견한 3차원 공간을 2차원 공간에 그대로 구현해낸 원근감과 명암 표현, 인체의 객관적 표현 등의 미학적 특징을 영상매체의 기법과 무용수의 신체 움직임을 활용하여 재현하는 무용 창작 방법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르네상스 시대 회화를 연구한 각종 문헌 및 국내학위논문, 학술지, 웹사이트를 통하여 ‘원근감’, ‘명암 표현’, ‘역동성’의 세 가지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한 세 가지 특징을 기반으로 영상매체의 기법을 활용한 무용작품을 창작하기 위해 미장센, 촬영, 편집, 사운드와 같은 영상의 구성요소들을 고려하였다. 다음으로, 르네상스 시대 회화작품의 미학적 특징과 영상매체의 기법을 활용한 무용창작을 진행하였다. 첫째, 원근감의 극적인 표현을 위해 초점거리 35mm 미만의 광각렌즈를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피사체의 크기와 거리에 따른 원근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인간 신체의 크기를 기준으로 더 큰 건물의 기둥과 오브제인 사과가 사용되었으며 카메라의 구도와 무빙을 사용하여 크기와 거리에 따른 원근감을 연출하였다. 또한 카메라의 구도, 건축물의 구조, 배경, 무용수의 신체 움직임, 그리고 오브제인 사과를 사용하여 1점 투시원근법을 연출하였다. 둘째, 명암 표현을 위해 빛이 존재하는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대비 관계를 무용수의 움직임으로 인한 동선 이동을 통해 연출하였으며 역광을 통해 극적인 명암을 연출하였다. 셋째, 미디어 아트의 비주얼 효과를 활용하여 2차원적 벽면에 가상공간을 형성하여 깊이감을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는 르네상스 시대 회화작품의 미학적 특징과 영상매체의 기법을 활용하여 작품 『필연적 선택』을 창작하고, 분석하는 것을 통해 기존에 존재하던 기법을 절충적으로 융합하여 무용창작과정에 적용하였다. 이는 앞으로 더욱 주력한 공연예술의 형태가 될 영상매체에 대한 긍정적인 논의라고 생각되며 현대에 계속 발전되고 있는 여러 기술을 통해 가상공간에서의 예술 활동이 더욱 다양해지고 발전하기를 기대해본다. In the art in modern society, convergence and integration are attempted with other fields because of various media appeari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In addition, currently, the ‘untact’ phenomenon due to COVID-19 further accelerat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brought about a big change in the world of performing arts as well. Due to total changes in the art world, such as performances, exhibitions, and education, conducted in online space, using video media, it is judged that studies of the method for creating dance through convergence and integration with other field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Thus, this study would present a discussion on the method for creating dance that represent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erspective, contrast expression, and objective expression of the human body, which reproduced the three-dimensional space discovered in art in the Renaissance period in the two-dimensional space, using video media techniques and body movements of the dancer. First, through a variety of literature, domestic theses/dissertations, academic journals, and websites that investigated paintings in the Renaissance period, this researcher drew three characteristics, including ‘perspective’, ‘contrast expression’, and ‘dynamics.’ In addition, to create dance work using video media techniques based on the three characteristics drawn, this study considered the components of a video, such as mise-en-scène, shooting, editing, and sound. Next, the dance was created, us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Renaissance painting works and video media techniques. First, for dramatic expression of perspective, this researcher took pictures, using a wide-angle lens with a focal length of less than 35mm. To express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subject size and distance, this researcher used the pillars of a larger building and the objet, apple, based on the size of the human body and using the composition and moving of the camera, the perspective was presen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distance. In addition, using the composition of the camera, structure of the building, background, body movements of the dancers, and the objet, apple, this researcher created one vanishing point and presented a scene from a one-point perspective. Second, for contrast expression, this researcher presented the contrast relation between the part with light and the dark part through the flow of traffic line due to the dancer’s movement and dramatic contrast through backlight. Third, this researcher expressed a sense of depth by forming virtual space on a two-dimensional wall, using the visual effect of media art. Lastly, through creating and analyzing the work, “Inevitable Choice” us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Renaissance painting works and video media techniques, this researcher eclectically blended the existing techniques and applied them to the process of creating dance. It is judged that this is a positive discussion on video media that would be the form of performing arts further focused in the future, and hopefully, artistic activities would become more diverse and developed in virtual space through several technologies that continue to develop in modern times.

      • 해체주의 건축양식에 나타난 형태적 특성을 활용한 무용창작연구 : 작품 『illusion of me』를 중심으로

        허팅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자는 춤 양식에 반영된 해체주의적 특성이 열린 미학의 소재로서 우리 춤의 미학변화창출에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살피고 우리 춤계의 자기비판과 자기분석의 계기를 제공함으로서 전통과 현대와 함께 후기 혹은 탈현대의 양식들이 어떻게 협업하여 새로운 미학 창출을 이뤄낼 수 있는지 좋은 실마리를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현대예술의 특성을 받아들여 무용에 도입한 해체주의적 건축양식을 살펴봄으로써 무용 분야에서 해체주의가 주는 가능성을 연구하며, 독창적인 안무기법을 모색하고자 했다. 본 연구자는 수많은 예술장르 중 해체주의 건축양식 미학을 선정하여 그에 나타난 형태적 특성을 기반한 무용창작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해체주의 개념 및 해체주의 건축양식의 형태적 특성을 고찰하고 해체주의 활용한 무용작품 사례를 분석하여 ‘역동성’, ‘유동성’, ‘해체성’의 세 가지 특성을 도출하여 <illusion of me>를 창작하였다. 작품 <illusion of me>은 기존의 무용형식에서는 움직임을 분명하게 구분 짓고 이것이 춤으로서의 예술인가 아닌가를 명확하게 구분함으로써 무용의 의미를 확정하려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작품 <illusion of me>의 작업은 그러한 의미를 발생시키는 움직임 형식과 무대 구성요소들의 경계를 넘어서고 그것에서 발생하는 의미들을 해체시키고 있다. This researcher aims to find a good clue to how the late or late modern styles along with tradition and modernity can be anaesthetized and create new aesthetics by examining how the dismantling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dance styles were accepted in the creation of aesthetics. Furthermore, by tak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art and looking at the dismantling architectural styles introduced to dance, he studied the possibilities of dismantling in the field of dance and sought to find original choreography methods. This researcher selected the dismantlingist architectural style aesthetics among many art genres and conducted a study of dance creation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n therein. This study created "illusion of me"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dismantlementism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smantling architecture and analyzing examples of dance works using dismantlingism to derive three characteristics: 'dynamicity', 'liquidity', and 'dismantlement'. The analysi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llusion of me" clearly distinguishes dance movements from everyday movements, while the work of "illusion of me"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movement forms and stage components that generate such meanings.

      •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을 기반으로 한 모션 그래픽 활용 : 창작 작품 『우리는 거기서 만나기로 했다』를 중심으로

        최문선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공지능과 과학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도구로써 활용되면서 메타버스와 같은 가상 세계에 녹아들어 현실 세계에 관여하려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무용공연을 향유하는 관객들 또한 무용과 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공연 형태에 흥미를 느끼며 이러한 관객의 관심에 따라 공연예술에서는 실험적인 작품들이 창작되고 있다. 이러한 관객들의 소비문화는 기술의 발달로 인해 더욱 가상화와 자극적인 이미지에 대한 흥미로 치우칠 것을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을 통해 현대사회의 소비문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먼저 시뮬라시옹 기술을 활용한 무용작품의 사례를 조사하여 그 중 모션 그래픽과 칼립소 모션 트랙킹 시스템을 활용한 작품「Glow」(2006)를 분석하고 기술과 무용의 융합은 안무의 구성과 연출에 있어 무용 작품을 보다 흥미롭게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렇기에 예술작품의 창작에서 기술을 도구로써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연구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다른 예술 분야에서의 시뮬라시옹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자는 예술창작 도구로서의 시뮬라시옹을 미술, 조형, 영상을 통해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야에서도 동일한 소비문화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에서 ‘제3열의 시뮬라크르’(흉내 낼 대상이 없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무용창작 작품『 우리는 거기서 만나기로 했다』를 구상하고 무용창작 작품에서의 ‘제3열의 시뮬라크르’로 정리되는 흉내 낼 대상이 없는 이미지, 즉 ‘왜곡된 기억’이라는 추상적인 이미지를 모션 그래픽을 활용하여 시뮬라크르(인공물)를 시각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모션 그래픽의 구성 요소를 정리하고 이를 표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모션 트랙킹 시스템을 본 연구에서 활용하고자 하였으나 안무의 동작 구성에 한계가 있음에 이를 배제하고 본 연구에서는 모션 그래픽으로 제작 된 가상화 된 이미지를 안무 구성과 함께 제작하는 것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둠에 이를 제한점으로 제시한다. 모션 그래픽의 움직임, 시간, 공간요소의 세부 요소를 안무의 구성과 함께 작품의 정서를 표현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모션 그래픽 디자이너와 본 연구자는 안무의 구성과 모션 그래픽의 이미지와 색감, 효과에 대한 과제를 함께 진행하였다. 그 결과 창작 작품의 도구로써 사용된 모션그래픽은 작품의 도입부에 정서를 형성시키기 위한 매체로 사용되다가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되었고 모션 그래픽을 통해 쌓아 온 작품의 분위기와 정서를 동작 구성을 통해 풀어냈다. 창작 작품 『 우리는 거기서 만나기로 했다』를 통해 기술과 무용을 융합한 창작작업에서 새롭게 해석되어가는 예술작품의 형태와 본질의 상실이라는 논점에 있어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동작의 구성이 무대에서의 시·공간적인 제약과 한계를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cience and technology are used as tools in various fields, more and more cases are trying to integrate into the virtual world such as metaverse and engage in the real world. Accordingly, audiences who enjoy dance performances are also interested in a new form of performance that combines dance and technology, and experimental works are being created in the performing arts according to the audience's interest. The consumption culture of these audiences was able to grasp the consumption culture of modern society through Drillard's Simulacion theory, which will be more biased toward virtualization and stimulating image interest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irst, the case of dance works using Simulacion technology was investigated, and among them, "Glow" (2006) was analyzed using motion graphics and the Calypso motion tracking system,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dance makes dance works more interesting in choreography composition and production. Therefore, the necessity of continuously using and researching technology as a tool in the creation of artworks was suggested, and in addition, to understand simulacion in other art field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ase of simulacion as an art creation tool through art, sculpture, and video, and found that the same consumption culture appeared in the field. Accordingly, the researcher envisioned a dance creation work "We decided to meet there" based on "Third Row Simulakr" (image with no object to imitate) in Jean Bodriyar's Simulacion theory, and used a graphic motion picture of an abstract image called "distorted memory" in the dance creation work. To this end, a program that can organize and express the components of motion graphics was used.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tried to use the motion tracking system in this study, but excluding the limitation of the motion composition of the choreography, this study presents this as a limitation as it focuses on producing a virtualized image produced by motion graphics with the choreography composition. The detailed elements of motion graphics' movement, time, and space were designed to express the emotions of the work along with the composition of the choreography, and in the process, the motion graphic designer and the researcher worked together on the image, color, and effect of the motion graphic. As a result, motion graphics, which were used as a tool for creative works, were used as a medium to form emo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work, but naturally disappeared, and the atmosphere and emotions of the work accumulated through motion graphics were solved through motion composition. Through the creative work "We decided to meet there", I would like to present a solution to the issue of the loss of the form and essence of the artwork, which is newly interpreted in the creative work that combines technology and dance. In addition, it suggests the need to consider a methodology that can overcome the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and limitations of the composition of movements on the stage by using technology.

      • 세노그래피 특성을 활용한 무용창작 : 작품 「Vacance」를 중심으로

        임다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는 문화를 느끼고 이해할 때 눈이라는 감각기관을 통해 사물이나 현상을 인지하는 관계로 시각은 실체를 이해하는 일차적 매체로 간주되며 표현이 중심이 되는 무용 예술에 있어 시각적 표현은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공연예술을 감상하는 관객은 신체 움직임과 함께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무대 효과들을 통해 깊은 감명을 받게 되며, 말로 표현 불가능한 것들이 표현되는 오늘날의 무용 예술은 무용수의 사상을 반영한 움직임과 더불어 미학적 볼거리를 제공하는 다양한 무대 효과들의 중요성이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무대 예술의 시각적 상징과 표현방법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무대미술과 연출에 관한 모든 시각적 디자인을 총칭하는 ‘세노그래피(Scenography)’를 본 연구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이를 진행하기 위한 연구과제는 일차적으로, 세노그래피의 개념과 의미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고 무용 예술에서의 세노그래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차적으로, 시청각 자료를 통하여 세노그래피를 활용한 해외 무용단의 작품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이렇게 이차에 걸친 연구과제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세노그래피를 활용한 무용 작품 「Vacance」를 창작하였고, 이에 나타난 세노그래피의 시·청각 요소인 조명, 오브제, 음악을 각각 다양성, 상징성, 심미성의 세 가지 특성으로 추출하여 본 연구를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에서 분석된 특성 중 첫 번째 ‘다양성’은 밝기, 색, 모양, 변화와 같은 빛의 양상을 통해 무대 공간의 다양한 미적 효과를 이끌어내는 ‘조명’을 의미한다. 작품 「Vacance」에서는 침묵과 휴식이라는 작품에 주제에 어울리는 조명의 활용을 통해 효과적인 의미 전달과 다양한 무대 디자인을 가능하게 하였다. 두 번째로 ‘상징성’은 가시화가 불가능한 안무가의 추상적인 사고와 개념을 시각적 매체를 통해 가시화하여 표현한 ‘오브제’를 의미한다. 작품 「Vacance」에서는 일반적인 풍선의 3배인 거대한 풍선 오브제를 사용함으로써 무대 공간에 입체감을 형성하고 시각적 효과를 더욱 극적으로 연출하였다. 또한 색상의 확연한 대비를 이루는 검은색과 흰색의 풍선 오브제를 사용하여 각각 ‘말’과 ‘침묵’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내포시켜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미성’은 심미적 경험을 환기시키는 모든 정신적 산물을 포괄하며 세노그래피의 청각적 요소인 ‘음악’을 의미한다. 작품 「Vacance」의 심미성은 1장의 무음악과 2장의 Luiz Bonfa의 ‘Sambolero’ 음악으로 이루어져 있다. 1장에서는 풍선 오브제에 불어넣는 숨소리로 음악을 형성하여 청각적 효과로 활용하였으며, 2장에서는 Luiz Bonfa의 ‘Sambolero’ 음악을 활용하여 휴식의 주제를 표현하는 2장의 분위기를 따뜻하게 연출하였다. 심미적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음악의 사용으로 작품의 주제 전달에 도움을 주고 미적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자는 세노그래피의 세 가지 특성을 활용하여 작품 「Vacance」를 창작하고 분석함으로써 움직임이 전달하는 미적 효과뿐만 아니라 무대 위의 다양한 연출과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또한 세노그래피의 다양한 요소를 통해 무용수와의 유기적 관계를 설정할 수 있었으며 무용 예술에서의 세노그래피의 역할과 활용 효과에 대한 가치를 재조명 할 수 있었다. 무용 작품 속 시각적 이미지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무용에서 움직임의 기술적 특성과 회화적 특징, 무대 공간의 활용성과 시·청각적 즐거움의 균형이 늘 재조정되고 있듯이 무용 예술에서의 세노그래피의 역할과 중요성은 점차 입증될 것이며 그에 따른 다양한 노력과 발전 가능성을 기대해 본다. Since we perceive things or phenomena through sensory organs when we feel and understand a culture, the visual sense is considered the primary medium for understanding the substance, and in dance art centered around expressions, visual expressions take up the most important part. Thus, the audience of performing arts receive deep impression through various stage effects, which show visual effects along with physical movements, and in today’s dance art where things impossible to express by words are expressed, the importance of various stage effects providing aesthetic spectacles along with movements reflecting the ideas of dancers is expanding. Thus, this researcher cam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visual symbols and expression methods in stage art and selected ‘scenography’ the general term for all visual designs of stage art and directio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As for research tasks to proceed with thi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the change of the meaning of scenography and investigated scenography in dance art. Second, through visual and auditory materials, this study analyzed overseas dance groups works that utilized scenography as examples. Based on the two-step research tasks, this researcher composed 「Vacance」, a dance performance utilizing scenography and extracted three characteristics, diversity, symbolism, and aesthetics, respectively from the visual/auditory factors of scenography, including lighting, objet, and music. First, of the characteristics analyzed in the study, ‘diversity’ means ‘lighting’ that draws various aesthetic effects on the stage space through the aspects of light, such as brightness, color, shape, and change. The work, 「Vacance」 allowed effective delivery of meanings and various stage designs through the utilization of lighting harmonized with the theme of the work, silence and rest. Second, ‘symbolism’ means ‘objet’ expressed by the visualization of the choreographer's abstract thoughts and concepts, which cannot be visualized through visual media. The work, 「Vacance」 formed a cubic effect in the stage space and presented a more dramatic visual effect by using a huge balloon objet, three times bigger than a general balloon. In addition, using the black and white balloon objet that forms a striking contrast of colors, expressions were made by implying symbolic meanings, ‘words’ and ‘silence,’ respectively. Lastly, ‘aesthetics’ covers all mental products that remind people of aesthetic experience and means ‘music,’ the auditory factor of scenography. The aesthetics of the work, 「Vacance」 consists of no music in Chapter 1 and Luiz Bonfa’s “Sambolero” in Chapter 2. Chapter 1 formed music with the sound of breathing into the balloon objet and utilized it for auditory effects while Chapter 2 produced a warm mood expressing the theme of a rest, utilizing Luiz Bonfa’s “Sambolero.” Using the music that would allow aesthetic experience helped deliver the theme of the work and formed an aesthetic mood. Like this, this researcher could maximize various directions and visual effects on the stage as well as the aesthetic effects delivered by movements. composing and analyzing the work 「Vacance」, utilizing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scenography. In addition, through the various factors of scenography, organic relationship with dancers could be set, and new light could be shed on the role and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scenography in dance art. As the importance of visual images in dance performances is recognized, and technical and pictorial characteristics of movements in dance, the utilization of the stage space and the balance of visual and auditory pleasure are always readjusted, the role and importance of scenography in dance art will gradually be proven, and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various efforts and development potentials accordingly.

      • 자크 라캉의 기표 개념을 적용한 무용창작 : 작품 『Speechless』를 중심으로

        남유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자크 라캉의 기표 개념을 무용 창작 원리에 적용함으로써 언어와 무용예술의 결합 가능성 및 새로운 움직임 원리의 모색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라캉의 이론을 살펴보고 본 연구자의 작품창작 원리에 적용 가능한 요소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2장에서는 기호 이론이 발생한 배경인 구조주의와 라캉의 독자적인 기표 개념, 그리고 주체 형성과 기표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무용 창작의 원리로 적용 가능한 세 가지 특성들인 자율성, 억압성, 환유성을 추출하였다. 또한 기표의 특성을 활용한 예술 작품들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예술 분야에의 적용 가능성을 찾고 본 연구에서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어지는 3장에서는 무용 작품 「Speechless」를 창작하였고, 마지막으로 기표 개념에서 추출한 세 가지 특성에 근거하여 작품을 분석하고 의의를 모색하였다. 후기 구조주의 철학자이며 정신분석가인 자크 라캉은 언어의 불완전함에 의해 인간의 욕망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자아 성찰에 이르기 위해 고뇌하는 과정은 인간의 본질을 정립하고자 하는 본능적 행위인데, 라캉은 기표와 기의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여 이 개념을 설명하였다. 한편 비언어 예술인 무용은 움직임이라는 기표를 무대에서 드러내고, 내포된 기의의 해석을 관객에게 맡긴다. 따라서 작품은 관점에 따라 자의적으로 의미가 발생하므로 해석의 다양성이라는 예술적 가치를 선사한다. 그러나 은유로 인해 모호해진 동작들은 안무자의 의도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해석의 난해함을 가져온다. 이러한 사실은 라캉의 기표 개념과 무용작품창작의 연계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언어와 무용의 결합을 통해 발생하는 새로운 움직임에 대해 고찰하였고, 기표 개념의 예술적 특성을 분석한 후 이를 무용창작작품에 적용하였다. 첫 번째 특성은 자율성이다. 기표가 언어적으로 자유롭게 역할 함으로써 기의와 차별적으로 작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주체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자율성은 주요한 특징이 된다. 따라서 작품에서는 자율성을 반영하기 위해 주체가 언어를 발화하는데 있어 규칙 없이 말을 하고, 움직임은 그 소리에 따라가는 방식으로 표현법을 추출하였고, 공간 활용에도 적용하였다. 두 번째 특성은 억압성이다. 주체가 기표와 기의의 불일치를 자각하는 형태를 반영하기 위해 기표가 기의를 ‘예상하고’, ‘침범하여’, ‘안으로 들어가는’ 속성을 활용한 움직임으로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외부의 기표가 주체에게 영향을 미치는 구조를 보여주고, 주체의 내면을 제한된 움직임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 특성은 환유성이다. 라캉의 ‘은유’와 ‘환유’ 개념을 반영하여, 이러한 기표 현상이 사회 차원에서 반복적으로 일어남을 표현하였고, 보편적 언어가 아닌 개인의 언어와 왜곡된 몸짓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움직임 구성의 방법을 제시하여 언어의 속성이 움직임으로도 반영될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그러나 무용예술의 은유성과 언어의 직접성이 상충하는 점에 있어서 표현의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시도를 통해 언어 또한 새로운 움직임 기법으로 활용됨으로써, 창작 범위의 확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를 제안하는 바이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dance, and to explore the different principle of dance creation by applying Jacques Lacan’s notion of signifiant. To illustrate this idea, the structuralism was studied which is background of semiotics, and an exclusive concept of signifiant by Lacan. Following to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and signifiant were also examined. With this prior studies, three major concepts were extracted to be applied on the dance creation These are the qualities of Autonomy, Suppression, and Metonymy. Moreover, by researching the previous artworks which applied the concept of signifiant in a certain perspective, the possibility was found to apply linguistic theory on the dance choreography. The dance work Speechless was choreograph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By embedding three extracted qualities above to the choreography, the work Speechless was analyzed at last, and the value of all procedure was explored. Jacques Lacan, who is a post-structuralist and a psychoanalyst as well, argued that human desire is occurred from imperfection of language. The human being experience instinctive anguish to approach to examining one's ego and achieving a perfection of oneself. Lacan interpreted this concept by founding the relationship of the role of signifiant and signified. Dance which is one of the non-verbal arts shows the movement as a signifiant, and it delivers the appreciation of embedded signified to the audience. Therefore, the intention of artwork is arbitrarily interpreted in one's perspective with presenting the artistic value of variety of interpretation. However, the meaning of movement becomes vague due to the metaphoric expressions, and it is not able to be delivered as the meaning which choreographer initially intended. This implies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between the study of Lacan's notion of Signifiant and the dance choreography. Therefore, new movements were examined which was occurred by a combination of the idea of language and dance, and applied the artistic qualities on the choreography work. The first quality is Autonomy. The signifiant autonomically functions in terms of language, and it has discriminatory role than the signified. In this position, conscious ego is born, and this roles as a significant feature. In order to reflect the quality of autonomy, a dancer constantly speaks with irregular words which are not logically comprehensible. Following to that, the movement only follows the dancer’s own verbal sound. In the dance choreography Speechless, extracted expression and quality was also applied on the spacial utilization. The second quality is Suppression. It was interpreted from the structure of language regarding to the discordance of signifiant and signified. Suppression has the feature of ‘expecting’, ‘invading’ and ‘passing in’. The movement was expressed as showing the structure of external signifiant affecting an individual. Due to this control, the person is not able to behave spontaneously however, one’s inner desire never subsides. The third quality is Meonymy. By reflecting Lacan’s notion of metaphor and metonymy, it was shown that a phenomenon of signifiant repeatedly occurs not only in person but also in the scale of society. Utilized language in work was personal, not social, and the movement revealed as distorted form in order to imply the imperfect structure of conversation and language. The production of Speechless suggests a manner of expression using language, and tries to reflect the quality of language by dance movement. However, in terms of delivering implied meaning, the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 collided which are metaphoric dance and straight language. Therefore, it had the limitation to articulate Lacan’s notion by dance. For the further studies, it is suggested that the production of dance work which applied language to be attempted in various scale, and thus, this thesis also hopes to offer the extended manner of expression and make a small contribution to the studies.

      • 프랜시스 베이컨의 인물화 특성을 적용한 무용창작 : 작품 『서비스 타임』을 중심으로

        김동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실을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예술을 바라보았을 때 작가에게는 사실을 그대로 재현해 낼 것인지, 아니면 자신의 주관적인 감정과 해석을 중시하여 표현해 낼 것인지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화가 베이컨은 영국의 대표적인 표현주의 작가로 분류되며 철저히 재현에 대하여 거부하였다. 구상적(삽화적)인 것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그가 활용한 방법은 순수한 형태로의 전환(추상적)이 아니라 감각 자체를 그리기 위하여 형태를 보이지 않는 힘을 통하여 와해시키고 고립된 형상을 통해서 서사적인 관계에서 벗어나는 방법이었다. 실제로 움직이지는 않더라도 회화 속에는 포착되어진 움직임이 내재되어 있고 어떠한 힘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회화 작품 중에서도 베이컨의 인물화는 그가 감각 자체를 표현하고 싶었던 만큼 더욱 강하게 인상을 남긴다. 베이컨의 인물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형상, 형태의 와해, 보이지 않는 힘의 표현 등 무용작품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특성들에 초점을 맞추어 본 연구에서는 베이컨의 인물화에 나타난 특성을 적용하여 무용작품을 창작하였다. 현실을 압축하여 보여주는 회화 작품을 활용함으로써 그 속에 내재된 움직임과 에너지를 무용작품으로 재해석하여 창작하고 다른 방식의 접근법을 모색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베이컨의 인물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직접 베이컨의 그림들을 살펴보았다. 회화가 수집된 도록을 보거나 직접 전시회에 방문하여 작품들을 관찰하였다. 부족한 부분들은 미술 전문 서적 등을 통하여 보충하였으나 베이컨 작가에 대한 분석이 대다수여서 인물화의 특성을 연구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었다. 작품에 대한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질 들뢰즈가 저술한 『감각의 논리』를 중심으로 베이컨의 회화를 분석한 학술서들을 참고하였다. 베이컨에 대한 연구는 미학뿐만이 아니라 철학, 조각, 건축에까지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를 통하여 무용 작품에 적용할 수 있는 특성들(형상, 형태와해, 보이지 않는 힘)을 파악할 수 있었고 창작에 앞서 베이컨의 작품 특성을 적용하여 창작된 무용작품들이 있는지 작품 사례들을 수집하고 Nanine Linning의 「Bacon」(2004), Ismael Ivo의「Francis Bacon(reenactment)」(2012), Tim Behern과 Florian Patschovsky 공동안무의 「Francis Bacon」(2016) 이렇게 세 작품을 분석하고 앞에 연구한 특성들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고찰하였다. 세 작품의 경우 제목에서부터 베이컨을 명시한 만큼 그의 작품에 대한 재현에 충실한 경향이 보였다. 이전 무용 작품들과는 베이컨의 인물화에 대한 다른 접근을 시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창작의 시작점을 작품에 대한 재현보다는 보이지 않는 힘의 표현으로 설정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신체가 느끼는 보이지 않는 힘에 대하여 개인적인 경험에서 부터 검토하고 서비스라는 것을 모티브로 관계 속에서 신체를 변화시키는 보이지 않는 힘을 드러내고자 작품 「서비스 타임」을 창작했다. 작품 구성에 있어서부터 이론적 연구에서 고찰하였던 베이컨의 인물화의 특성을 고려하여 내용과 형식적인 면들을 설정하고 하강의 움직임, 단순화한 배경 등 베이컨의 작품의 특성을 연구자만의 방식으로 설정하여 재구성하고자 시도하였다. 형태에 집중하기 위하여 의상이나 조명은 단순하게 구성하고 대신에 주제를 드러내기 위해 다양한 소품을 활용한 것이 본 무용창작의 특성이다. 전체적으로 안무자이자 무용수, 스태프로서 변화하는 신체를 보여주기 위하여 독무로 진행하였고 베이컨의 인물화처럼 과정을 전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보이지 않는 힘(서비스)을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계속하여 작용하는 힘에 의한 형태(무용수의 몸)의 와해를 주된 움직임으로 구성하여 고립된 형상으로써 무용수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창작의 새로운 접근법을 찾기 위하여 베이컨의 인물화 특성을 적용하여 무용작품을 안무하였지만, 중간에 회화와 무용이라는 예술분야의 차이점을 간과한 것이 한계점으로 인식된다. 시간성의 제약, 형상을 드러내는 방식의 다양성 등 무용에서만이 가능한 방법들을 조금 더 연구하고 진행한다면 한층 나은 잠재성을 발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 덧붙여 회화와 무용의 관계에 대하여 모색하여 보고 이를 무용창작에 적용하는 시도들을 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