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ocial Work Participation in Living Donor Education to Organ Transplant Candidates

        Rzeszut, Mary E Walden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2022 해외박사(DDOD)

        RANK : 232287

        Living donor transplantation (LDT), despite its documented benefits, does not occur as often as deceased donor transplants (DDT). Transplant social workers are an integral part of the transplant interdisciplinary team and are well trained in conducting psychoeducation. This action research study involved examining social work practice challenges that transplant social workers experience that prohibit them from conducting effective LDT education. The study was guided by family problem solving theory, social cognitive theory and the Afrocentricity perspective to determine how transplant candidates and families can best learn information to discuss and recruit potential living donor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bout roles transplant social workers engaged in related to living donor education for organ transplant candidates, challenges transplant social workers faced that impeded providing living donor education, and whether transplant social workers received any training on facilitating living donor education to organ transplant candidates. Fourteen transplant social workers from across the United Sta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via semi-structured interviews using Zoom. The study led to four themes: living donor education, social work roles, patient barriers, and ethical issues. Study findings concluded transplant social workers face practice challenges that interfere with providing effective education to organ transplant candidates involving (LDT).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patient barriers that affect their access to transplant surgery options. Findings can be used by social workers for positive social change in working with transplant patients and families.

      •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주만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284

        뇌사자를 통한 장기이식이 매우 부족한 현실 속에 생체 공여자를 통한 부분 간이식은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생체 부분 간이식 시행 시 공여자의 안전을 확보 하면서 충분한 이식편 용적을 확보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수술 전에 공여간의 혈관 및 담도의 해부학적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필요한 용적과 중량을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바탕으로 생체 간이식의 가능성을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2005년 9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생체 간이식을 위해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에서 검사를 시행한 94쌍의 수여자-공여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영상학적 검사를 통해 해부학적 구조와 용적 및 중량을 측정하였고 이를 생체 간이식 시행여부를 결정하는 판단 근거로 삼고자 하였다. 우엽을 이용한 성인 대 성인 생체 간이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공여자에게서 자기공명단층촬영(MRI)을 시행하여, 공여자의 간동맥, 간정맥, 문맥 및 담도를 해부학적인 형태에 따라 분류하였다. 중간 간정맥의 우측을 따라서 가상 절제 후 VoxelPlus?2 (메디시스, Seoul, Kore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간용적 및 이식간으로 사용될 우엽의 용적을 측정하였다. 5번과 8번 분절에서 중간 간정맥으로 유출 되는 정맥분지의 직경을 측정한 후, 이식시 문합을 시행할 지에 대한 여부를 직경 5 mm를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좌우간동맥이 총간동맥에서 기시하는 전형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보인 경우는 74명(78.7%)이었고, 전형적인 간문맥계를 보이는 경우는 75명(79.8%), 그리고 전형적인 이분지의 담도 구조를 보인 경우가 63명(67%)으로 나타났다. 중간 간정맥 분지는 5번 분절이 75명(79.8%), 8번 분절이 38명(40.4%)에서 문합이 필요한 직경 5mm 이상을 보였다. VoxelPlus?2를 이용하여 측정한 총 간 용적은 평균 1,253.5±206ml 이었으며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측정한 표준 간 용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01)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이식간 용적은 평균 828.4±141ml 이었다. 94쌍의 대상자중 43예에서 생체 간이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중 19예에서 연구기간 중 간이식 수술을 시행 하였다. 공여자로서 부적합하다고 판단한 51명 중 해부학적 구조의 이상이 24명(46.9%)이고 간 용적의 부족으로 인한 경우가 22명(43.2%)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영상검사를 통해 측정한 용적과 실제 이식간 중량 사이에는 유의한 수준의 선형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R2=0.83). 중간 간정맥의 5번 분절과 8번 분절의 문합 여부에 대한 수술 전 양성 예측도는 82.4%와 36.4%이었다. 따라서 수술전 영상학적 검사를 통한 해부학적인 구조 파악과 간 용적의 측정은 수여자와 공여자 양측 모두의 안전성 확보와 성공적인 간 이식에 효과적이며 필요한 검사로 생각된다. For donor safety in living liver transplantation(LDLT), We must know the anatomy of hepatobiliary system and donor-recipient hepatic volume profi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role of donor_recipient evaluation, used tomographic study and 3-dimensional volumetry, for adult-to-adult right hepatic lobe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Prospective analysis of 94 living liver transplantation candidates (74 recipients and 94 donors) were underwent donor-recipient evaluation, including CT and MRI scan. Tomographic images were reconsturcted by 3-dimensional anatomy and used as a resource of calculation of liver volume and possibl graft volume. The percentage of anatomical variation in portal and hepatic artery was 20.2% and 21.3%. But the anatomical variation of hepatic vein and biliary system was common, which percentage of unusual anatomy was 41.5% and 33.0% respectively. We had estimated middle hepatic vein branches anastomosis for 75(79.8%) cases in 5th segment and 8th segment in 38(40.4%) cases. 19 of 94 cases, underwent living right hepatic lobe transplantation. Among 94 cases of donor evaluation, 52(55.4%) potential donor was unacceptable for LDLT. The leading cause of unacceptable donor was anatomical variation (n=24, 25.5%). The portal vein and hepatic artery anatomical variation that prone to cause surgical complication during donor hepatectomy was only 2 cases respectively. The hepatic artery variation didn’t affect on the decision of acceptable donor. But the anatomical variation of hepatic vein especially middle hepatic vein drainage pattern and presence of inferior hepatic vein was major cause of unacceptable donor (n=20, 21.3%). Too small residual volume of donor (n=17, 18.1%), ‘small-for-size’(n=5, 5.3%), fatty liver (n=5, 5,3%) and early cirrhotic change (n=1, 1.1%) was also critical cause of unacceptable donor. In 43 acceptable donor-recipient pair, 2 cases of LDLT were failed due to understaging of recipient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real graft weight(GW) was predicted from preoperatively estimated graft volume(GV) on the basis of a 1:1 conversion factor. The values of mean estimated liver volume were 1041.1±4544ml and mean estimated graft volume was 830.4±133ml respectively. The mean values of Graft to Recipient Weight Ratio(GRWR) and Residual Liver Volume Ratio(RLVR) were 1.31% and 35.46% respectively. The mean values of real graft weight were 794.3±147g. The values of real graft weigh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of estimated graft volume(p<0.0001, r2=0.833). The error between GW and GV, defined (GW-GV/GV)x100, was within 10% in the majority of cases (15/19, 78.9%) and ranged from -14.87% to 7.98%. We had predicted hepatic vein branches reconstruction for 5th segment, 8thsegment mid hepatic vein branches and inferior hepatic vein in 16, 7 and 1 cases. And we had reconstructed in 17, 11, 2 cases.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5thsegment branch reconstruction was high as 85% respectively. Pre-transplant evaluations of liver volume and anatomy of hepatobiliary system by three-dimensional imaging study is useful for performing safe LDLT.

      • 생체 간 이식 환자에서 기증자 간 절제 시 간헐적 간 내 유입 혈류 차단의 효과

        박재범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32271

        (Introduction) The role of intermittent hepatic inflow occlusion (IHIO) during donor hepatectomy i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HIO during donor hepatectomy in recipients and donors of LDLT, we performed a single center, open-label, prospective, parallel, randomized controlled study. This randomized clinical trial was registered at www.clinicaltrials.gov (NCT01171742). (Methods) Adult donor-recipient pairs undergoing LDLT using right hemiliver grafts were randomized into the IHIO and control group (1:1). In IHIO group, IHIO was performed during donor hepatectomy, consisting of clamping of the hepatoduodenal ligament for 15 minutes, followed by reperfusion for 5 minutes. The primary end-point was peak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concentration within post-operative 5 days in recipients. Blood samples for measurement of interleukin (IL)-6, IL-8,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were taken from donors immediately after anesthesia induction and 2 hours after graft removal, and from recipients immediately after anesthesia induction, during the anhepatic phase, 2 hours after reperfusion, and at 1 and 3 days post-operatively. Biopsy samples for measurement of caspase-3 and malondialdehyde (MDA) were taken from donors at the time of laparotomy, just before portal vein and hepatic artery clamping after parenchymal resection, and from recipients two hours after reperfusion. (Results) Totally 50 donor-recipient pairs or 25 in each group completed this study. Mean of peak serum ALT within post-operative 5 days in recipients was 344.8 ± 472.7 IU/mL in control group and 477.3 ± 453.7 IU/mL in IHIO group. (p=0.317) Mean of peak serum ALT within post-operative 5 days in donors was 199.0 ± 51.9 IU/mL in the control group and 289.3 ± 127.4 IU/mL in the IHIO group. (p=0.002) Amount of blood loss during donor hepatectomy was 486.2 ± 289.5 mL in control group and 324.4 ± 135.7 mL in IHIO group. (p=0.015) In the control group, one donor experienced post-operative bleeding requiring red blood cell (RBC) transfusion and re-laparotomy 2 days later. Hospital stay in donor was a mean of 19.3 ± 7.2 days in control group and 15.8 ± 4.6 days in IHIO group. (p=0.046) There was no in-hospital mortality within 1 month, and no cases of primary non-function or initial poor function in both groups. Concentrations of IL-6, 8, TNF-α and HGF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nor did the concentrations of caspase-3 and MDA. (Conclusions) In the setting of LDLT, donor hepatectomy with IHIO, reducing blood loss in donors, is a safe procedure in the recipients as well as in the donor. However, effect of preconditioning by IHIO during donor heaptectomy in this study remains unclear. (서론) 생체 (기증자) 간 이식에서 기증자 간 절제 시에 간헐적 간 내 유입 혈류 차단 (intermittent hepatic inflow occlusion, IHIO)의 역할은 아직 충분히 밝혀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단일 기관, 공개, 평행, 전향적, 무작위 배정, 대조 연구를 시행하여 기증자 간 절제 시에 시행한 IHIO의 기증자 및 수혜자에서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무작위 임상연구는 www.clinicaltrials.gov에 등록되었다. (NCT01171742) (방법) 우엽을 이용한 생체 간 이식수술을 받은 성인 기증자-수혜자 쌍이 IHIO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1:1) IHIO군에서는 기증자 간절제시에 IHIO가 시행되었는데, IHIO는 15분간의 간-십이지장 인대를 clamp하였다가 5분간 재관류를 시키는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일차 평가 지표는 수혜자에서 수술 5일이내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최고값으로 하였다. interleukin (IL)-6, IL-8, tumor necrosis factor (TNF)-α와 hepatocyte growth factor (HGF)를 측정하기 위해 기증자에서 마취 유도 직후, 이식편 분리 2시간 후에 혈액 채취하였으며, 수혜자에서는 무간기(anhepatic phase), 재관류 2시간 후, 수술 후 1일, 3일째에 혈액 채취를 하였다. IHIO의 효과를 조직에서 확인하기 위해 기증자의 복부절개 직후, 간실질 절제후 문맥과 간동맥 clamp 직전, 수혜자에서 재관류 2시간 후에 Caspase-3와 malonaldehyde (MDA) 측정을 위한 간 조직 채취를 시행하였다. (결과) 총 50쌍, 즉 각 군에 25쌍의 기증자-수혜자가 본 연구를 마쳤다. 수혜자의 수술 5일 이내의 혈청 최고값의 평균은 대조군에서 344.8 ± 472.7 IU/mL였으며, IHIO군에서는 477.3 ± 453.7 IU/mL이었다. (p=0.317) 기증자의 수술 5일 이내의 혈청 ALT 최고값의 평균은 대조군에서 199.0 ± 51.9 IU/mL였으며, IHIO군에서는 477.3 ± 453.7 IU/mL이었다. (p=0.002) 기증자의 수술 5일 이내의 프로트롬빈 시간 최고값의 평균은 대조군에서 1.98 ± 0.77 INR 였으며, IHIO군에서는 1.76 ± 0.21 INR이었다. (p=0.192) 기증자 간절제 중 출혈량은 대조군에서는 486.2 ± 289.5 mL 였으며, IHIO군에서는 324.4 ± 135.7 mL이었다. (p=0.015) 대조군 기증자 한 명에서 적혈구 수혈이 필요한, 수술 후 출혈이 있었으며 그는 2일 후 지혈을 위한 개복 수술을 시행 받았다. 기증자의 재원일은 대조군에서 19.3 ± 7.2일이었으며, IHIO군에서는 15.8 ± 4.6일이었다. (p=0.046) 양 군의 기증자, 수혜자에서 재원 중 사망례는 없었으며, 수혜자에서 일차 기능부전(primary non-function) 또는 초기 기능 불량(initial poor function)없었다. IL-6, IL-8, TNF-α, HGF의 농도는 양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간조직에서 caspase-3, MDA농도도 양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생체 기증자 간이식에서 기증자 간절제술시에 출혈을 감소시키 IHIO는 기증자에서 뿐 아니라 수혜자에서도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안전한 시술법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기증자 간절제술시의 IHIO에 의한 전처치(preconditioning)의 효과는 명확하지 않았다.

      • Clinical factors affecting liver regeneration in living donors after right hepatectomy

        김민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71

        Donor safety following right hepatectomy is a critical issue. Sufficient liver regeneration after hepatic resection is important for preventing postoperative hepatic insufficiency; however, the rate of liver regeneration differs for each living donor. We aimed to determine the clinical factors affecting liver regeneration in living donors after right hepatectomy. Fifty-four living donors who underwent right hepatectomy between July 2015 and March 2023 were evaluated.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remnant/total volume ratio (RTVR): group A (RTVR < 30 %, n = 9) and group B (RTVR ≥ 30 %, n = 45). Clinico demographics, operative outcomes, and rates of residual liver volume (RLV) growth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and clinical factors affecting liver regeneration were analyzed. The peak postoperative total bilirubin level was elevated in group A than in group B (3.0 ± 1.1 mg/dL vs. 2.3 ± 0.8 mg/dL, P = .046); however, none of the living donors had hepatic insufficiency or major complications. The rates of RLV growth at postoperative week 1 (89.1 ± 26.2 % vs. 53.5 ± 23.7 %, P < .001)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group A, and its significant predictors were RTVR (β = -.478, P < .001, VIF = 1.188) and intraoperative blood loss (β = 0.247, P = .038, VIF = 1.182) In conclusion, as the RLV decreases, compensatory liver regeneration after hepatic resection becomes more prominent, resulting in comparable operative outcome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matopoiesis and liver regeneration. List of Abbreviations: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body mass index (BMI), computed tomography (CT), diabetes mellitus (DM), end-stage liver disease (ESLD), graft volume (GV),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INR),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liver transplantation (LT), postoperative month (POM), postoperative week (POW), residual liver volume (RLV), remnant/total volume ratio (RTVR), total bilirubin (TB), total liver volume (TLV) 생체 간이식에서 우간절제술 시행 후에 기증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다. 절제 후 충분한 간 재생이 수술 후 간부전을 예방하기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각 기증자마다 간 재생 비율의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우간절제술 생체 기증자의 간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2015년 7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우측 간절제를 받은 54명의 생존 헌혈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잔여 간용적/ 전체 간용적 비율 (RTVR)에 따라 환자들을 두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A군 (RTVR < 30 %, n = 9) 및 B군 (RTVR ≥ 30 %, n = 45). 두 군 의 임상적 특성, 수술 결과 및 잔여 간용적 (RLV) 증가율을 비교하였으며 간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 요인을 분석했다. 수술 후 가장 높은 총 빌리루빈 수치는 A군에서 B군보다 높았다 (3.0 ± 1.1 mg/dL vs. 2.3 ± 0.8 mg/dL, P = .046); 그러나 간부전이나 주요 합병증은 어떤 공여자에서도 발생하지 않았다. 수술 후 1주일의 RLV 증가율은 A군에서 유의적으로 컸으며 (89.1 ± 26.2 % vs. 53.5 ± 23.7 %, P < .001) 그 유의한 예측 요인은 RTVR (β = -.478, P < .001, VIF = 1.188) 및 수술 중 출혈량 (β = 0.247, P = .038, VIF = 1.182)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RLV가 감소함에 따라 간절제 후 보상을 위한 간재생이 더 두드러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RLV가 큰 환자들과 비슷한 수술 결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조혈작용와 간재생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Experimental Swine Model for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Introducing a Novel Liver Segmentation Method

        조재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54

        Background: Living-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is one of the most technically demanding and complicated procedures. However, unlike deceased donor liver transplantation, there is no suitable animal model for practicing LDLT. Herein, we propose a new liver segmentation method and a feasible pig LDLT model for practicing for LDLT in humans. Methods: Four landrace pigs weighing 25, 25, 27, and 28 kg were used as donors and recipients to establish a partial liver transplantation model. Partial liver transplantation was performed using a right liver and a left liver, respectively, based on a new segmentation system compatible with that of humans. Results: We established a new segmentation system for porcine liver transplantation and a partial liver transplantation model. For right liver transplantation, 91 and 142 minutes were required to operate on the donor and recipient, respectively; for left liver transplantation, 57 and 104 minutes were required to operate on the donor and recipient, respectively. All pigs that underwent partial liver transplantation remained alive until the operation was completed.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new pig model based on the new segmentation system will be suitable as an educational tool for LDLT training and will replace the existing animal models for partial liver transplantation. 서론: 생체간이식은 많은 기술이 요구되는 복잡한 술기이다. 하지만 뇌사자 간이식과는 다르게 생체간이식을 연습할 수 있는 적합한 동물실험 모델은 전무한 실정이다. 그래서 우리는 새로운 돼지 간분절 분류법을 제시하고 그에 걸맞은 생체간이식 연습 모델을 만들고자 한다. 방법: 두 쌍의 돼지를 사용하여 각각 우간 이식편, 좌간 이식편의 기증자 수술과 수혜자 수술을 시행하였다. 이 때, 기존의 돼지 간분절 분류법과는 다른 새로운 분류법을 사용하여 인간의 생체간이식과 유사하게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 우간 이식편을 사용한 수술에서는 기증자 및 수혜자의 수술시간이 각각 91분, 142분이 소요되었다. 그리고 좌간 이식편에서는 각각 57분, 104분이 소요되었다. 모든 돼지는 수술이 끝날 때까지 살아있었다. 결론: 우리가 새롭게 제시한 돼지 간분절 분류법에 따른 생체간이식 모델은 실제 인간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생체간이식을 연습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원격 허혈 전 조건화가 생체 간이식 기증자의 수술 후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

        강지원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252

        Abstract Background: Liver ischemia/reperfusion injury (IRI) is associated with poor outcomes after liver resection. In addition, hepatectomy itself can cause inflammation response and oxidative stress related to postoperative liver injury, hepatic regeneration. Remote ischemic preconditioning (RIPC) has been shown to have protective effects on liver IRI. However, the impact of RIPC focused on living donor has not been elucida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IPC on postoperative liver function in donors after living donor hepatectomy. Methods: A total of 148 living liver dono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Group I (Control, n=73) and Group II (RIPC, n=75). In the RIPC group, three cycles of 5-minute RIPC in the upper limb were performed before hepatectomy. Postoperative liver function test was assessed by measuring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total bilirubin (TB), and prothrombin time INR (PTINR). The incidence of delayed recovery of hepatic function (DRHF), postoperative liver regeneration index (LRI)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ssessed during the first 7 postoperative days. Results: RIPC group showed higher maximal and 3rd postoperative day PT INR (1.6 [1.5; 1.7] vs. 1.7 [1.6; 1.8], P= 0.045 and 1.5 [1.4; 1.6] vs. 1.6 [1.5; 1.6], P=0.047).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ximum AST, ALT, and total bilirubin valu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RIPC group (152.0 [129.0, 180.0] vs. 145.0 [118.5, 188.0], 152.0 [126.0, 196.0] vs. 148.0 [120.5, 197.0], and 2.7 [2.0; 3.2] vs. 2.4 [2.0; 3.0], P=0.568, P=0.775, and P=0.344,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RI at postoperative 1 month (94.9 [61.4;131.2] vs. 83.3 [47.7;117.7], P=0.182). The incidence of DRHF was higher in the RIPC group (0% vs. 6.7%, P=0.074)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RIPC has no effects on postoperative liver function or liver regeneration index in living liver donors. Abstract (Korean) 서론: 허헐-재관류 손상은 간 절제 이후 악화된 예후와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간 절제 자체도 염증반응과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해 수술 후 간 손상 및 재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원격 허혈 전 조건화는 간의 허혈-재관류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갖는다고 밝혀졌으나, 현재까지 생체 간 기증자에 초점을 맞춘 원격 허혈 전 조건화 연구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격 허혈 전 조건화가 생체 간이식 기증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총 148명의 생체 간이식 기증자를 대상으로 이중 맹검, 무작위 대조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들은 무작위로 2가지 그룹에 배치되었고 대조군 73명, 원격 허혈 전 조건화군(치료군) 75명으로 나뉘었다. 치료군 에서는 상완에서 압력계를 이용해 각 5분 간 3회의 원격 허혈 전 조건화를 마취유도 후, 간 절제 전에 시행하였고, 대조군 에서는 상완에 압력계만 감아둔 상태로 이를 시행하지 않았다. 수술 후 첫 7일 동안 AST, ALT, 총빌리루빈, PTINR 등을 통해 간 기능을 평가하였으며, 간 기능 회복 지연 (delayed recovery of hepatic function)의 발생률과 술 후 1개월의 간 재생 지수 및 술 후 합병증 등을 살펴보았다. 결과: 수술후 AST, ALT, 총 빌리루빈 의 최대값은 두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52.0 [129.0, 180.0] vs. 145.0 [118.5, 188.0], and 152.0 [126.0, 196.0] vs. 148.0 [120.5, 197.0], 2.7 [2.0; 3.2] vs. 2.4 [2.0; 3.0] P=0.568, P=0.775, and P=0.344 respectively). 그러나 수술 후 3일째의 PTINR 값 및 7일중 최대값은 RIPC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1.6 [1.5; 1.7] vs. 1.7 [1.6; 1.8], P= 0.045, 1.5 [1.4; 1.6] vs. 1.6 [1.5; 1.6], P=0.047). 간 기능 회복 지연 발생률은 경계 수준의 유의성을 갖고 RIPC군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술 후 1개월에 측정한 간 재생 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94.9 [61.4;131.2] vs. 83.3 [47.7;117.7], P=0.182). 결론: 원격 허혈 전 조건화는 생체 간 기증자의 수술 후 간 기능, 간 재생 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생체간이식을 받는 소아에서 수술 전 낮은 근육량과 수술 후 조기 예후의 연관성: 후향적 연구

        정다운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38

        연구 배경: 말기 간 질환이 있는 소아 환자에서 골격근량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수술 후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생체간이식을 받는 소아 환자에서 수술 전 낮은 근육량이 수술 후 조기 예후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2007년 2월부터 2018년 1월 사이에 서울아산병원에서 생체간이식을 받은 12세 미만 소아 환자의 전자 의무 기록을 검토하였다.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4-5번 요추간판과 같은 위치의 요근(psoas),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 척추기립근(erector spinae)의 단면적을 측정하였고, 각각 키의 제곱으로 나눈 뒤 합하여 전체 골격근 지수(Total skeletal muscle index, TSMI)를 구하였다. 연구집단의 두 번째 오분위수의 중앙값인 전체 골격근 지수에 따라 환자를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Clavien-Dindo classification 3등급 이상의 조기 (수술 후 30일 이내) 수술 후 합병증을 주요 수술 후 합병증으로 정의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수술 전 낮은 근육량과 조기 수술 후 예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TSMI점수1859.1 mm2/m2에 따라, 생체간이식을 받은123명 환자 중 (연령 중앙값, 14개월; 범위 8-38 개월), 29%는 Lower muscle mass 군 (평균 TSMI 1642.5 ± 187.0 mm2/m2), 71%는 Higher muscle mass 군 (평균 TSMI 2188.1 ± 273.5 mm2/m2 )으로 분류하였다. 주요 수술 후 합병증 발생 (36% vs. 37%; P = 0.944), 기계 환기 기간 > 96 시간 (17% vs. 10%; P = 0.369), 중환자실 재원기간 > 14일 (14% vs. 16%; P = 0.758), 입원 기간 연장 > 30일 (50% vs. 58%; P = 0.448) 및 병원 내 사망률 (6% vs. 5%; P = 1.000) 측면에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사용하여 전체 골격근 지수에 의해 정의된 수술 전 낮은 근육량은 생체간이식을 받는 소아 환자의 조기 수술 후 예후와 독립적인 관계가 없었다. Background: Low skeletal muscle mass may develop in children with end-stage liver disease, affecting postoperative outcomes. We aimed to determine whether preoperative low muscle mass is associated with early postoperative outcomes in pediatric patients undergoing living-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Methods: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children (age< 12 years) who underwent LDLT between February 2007 and January 2018 were reviewed.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psoas, quadratus lumborum, and erector spinae muscles at the level of the fourth to fifth lumbar intervertebral discs were measured using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divided by the square of the height, and combined to obtain the total skeletal muscle index (TSMI).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median TSMI for the second quintile. Early postoperative (within 30 days after surgery) complications classified as Clavien-Dindo grade 3 or higher were considered as major.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reoperative low muscle mass and early postoperative outcomes. Results: Based on the TSMI score of 1859.1 mm2/m2, of 123 patients (median age, 14 months; range 8–38 months) who underwent LDLT, 29% were classified in the lower muscle mass group (mean TSMI 1642.5 ± 187.0 mm2/m2), and 71% in the higher muscle mass group (mean TSMI 2188.1 ± 273.5 mm2/m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the incidences of major earl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36% vs. 37%; P = 0.944),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 96 hours (17% vs. 10%; P = 0.369), intensive care unit stay > 14 days (14% vs. 16%; P = 0.758), hospital stay > 30 days (50% vs. 58%; P = 0.448), and in-hospital mortality (6% vs. 5%; P = 1.000). Additionally,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dverse postoperative outcomes according to PELD scores and sex, respectively. Conclusions: Preoperative low muscle mass defined by TSMI using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was not associated with early postoperative outcomes in pediatric patients undergoing LDLT.

      • Duct-to-Duct Biliary Reconstructions and Complications in 100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Kim, Bong-Wan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32236

        Background. The biliary complications in duct-to-duct biliary reconstruction of right or left lobe living-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have been reported various in incidence up to 40 %. And that could result in serious morbidity or mortality to the recipient’s. We evaluated the risk factors for biliary complication and feasible surgical procedure of duct-to-duct reconstruction in adult LDLT. Methods. From February 2005 to March 2008, 100 cases of adult LDLT with duct-to-duct biliary reconstruction were performed. 64 right lobe grafts, 33 left lobe grafts, and 3 right lateral grafts were used. There were four types of duct-to-duct procedure; all interrupted suture with 6-0 prolene (Group 1, n = 9), continuous posterior and interrupted anterior wall suture with 6-0 prolene (Group 2, n = 49), all continuous suture with 7-0 prolene (Group 3, n = 26), and all continuous 7-0 prolene suture with external stent (Group 4, n = 16). Biliary complications were defined as anastomosis stricture and leakage. Results. 34 patients experienced biliary complications during follow-up time (median 27 months). The incidence of stricture was 27% and that of leakage was 8%. There were no risk factors of biliary complication associated with peri-operative, intra-operative,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except types of duct-to-duct procedure. Group 1 and 2 patients had higher incidence of biliary stricture than Group 3 and 4 (43.1% vs. 4.7%, P = 0.00). And Group 3 patients experienced higher incidence of bile leakage than other groups (23.1% vs. 2.7%, P = 0.004). Conclusion. The technical type of biliary reconstruction is the factor affecting biliary complication following duct-to-duct anastomosis in LDLT. Duct-to-duct biliary anastomosis with 7-0 monofilament suture and small external stent is a feasible procedure in LDLT to significantly reduce the incidence of biliary complication.

      • The Effects of Desflurane and Sevoflurane on hepatic and renal functions after right hepatectomy in living donors : Inhalational anesthetics for living donor

        강영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013

        We compared postoperative hepatic and renal functions between two inhalational anesthetics, desflurane and sevoflurane in living donors undergoing right hepatectomy. Seventy-four adult donor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Des group (n=37) and Sevo group (n=37). Before the induction of anesthesia, morphine sulfate 400 ?g was injected intrathecally. Anesthesia was maintained with 1 minimum alveolar concentration (MAC) of deflurane or sevoflurane plus continuous intravenous remifentanil. Liver and renal function tests were analyzed at preoperative period, immediately after operation, and on first, second, third, fifth, seventh, and thirtieth postoperative days (POD). Aspartate aminotransferase showed significant elevations from the day of surgery to POD 3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was significantly elevated on POD 1 and 3 in the Sevo group. Albumi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on POD 2 in the Sevo group. Creatinine was significantly higher on POD 3 and 30 an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on POD 3 and 30 in the Sevo group. No patient developed hepatic or renal failures.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ed better postoperative hepatic and renal function test with desflurane than sevoflurane at equivalent dose of 1 MAC in living donors undergoing right hepatectomy, but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evaluate clinical importance.

      • 생체 공여신 적출술에서 영상 보조 소절개술식과 개복 술식의 술후 만족도 및 삶의 질 평가에 대한 비교 연구

        이혜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010

        The only known definitive treatment in end stage renal disease patients on dialysis is renal transplantation and there are ongoing efforts in developing an operative method for living donor nephrectomy with maximal safety and minimal discomfort. Laparoscopic donor nephrectomy has the advantages of less postoperative pain, minimal scar, fast recovery and shortened hospital stay but due to its relatively high urological complication rate, delayed graft function and high cost resulted in development of surgical methods that combine the advantages of both laparoscopy and classical open surgery.Since 1991, we have performed living donor nephrecotmies through our own method, video-assisted minilaparotomy surgery (VAMS), which by hybridizing laparoscopic and open surgical techniques can minimize incision, the number of people required in the surgery, obtain adequate operating, minimize pain through splitting of abdominal muscles. In spite of the numerous advantaged listed above, No comparative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QOL) between the VAMS and the open surgery group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is study we compared satisfaction and QOL of 200 patients who underwent living donor nephrectomy by VAMS and another 200 by classic open surgery between January 2003 and March 2006 through a validated questionnaire.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showed a significantly shorter hospital stay and time to oral intake in the VAMS group but a significantly longer operation time.Fifty eight and 44.5% of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in the VAMS and open surgery group, respectively. Pain scores on the night of operation and at 1 month postoperativel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VAMS group (p<0.01). The time to walking without difficulty and normal activity including driving, return to work, school and housework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VAMS group (p<0.01)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to normal diet or discontinuation of pain medication was noted. Patients in the VAMS group showed higher satisfaction scores regarding cosmetic results and were more willing to go through the same procedure if they had to do it again (p<0.01). On comparison of the QOL through Korean version of SF-36, VAMS group showed better QOL in 6 of the 8 categories which include physical function (p=0.009), bodily pain (p=0.0002), general health (p<0.01), vitality (p<0.01), role emotional (p=0.002) and mental health (p=0.0002). In conclusion, patients who underwent VAMS donor nephrectomy showed higher satisfaction regarding pain, convalescence, cosmesis and QOL than those in whom classic open surgery was performed. 만성 신부전으로 투석을 받는 환자들의 유일한 해결책인 신장이식을 위한 생체 공여신 적출술은 질병치료를 위한 수술과는 특히 구별되기 때문에 신공여자의 안전을 최대화하고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소 침윤 수술 방법들이 개발되어 보편화 되었다. 복강경을 이용한 공여신 적출술은 수술후 통증의 최소화, 수술 상처의 최소화, 빠른 회복 및 재원기간 단축이라는 장점들은 가지고 있으나 조기 이식신기능 저하를 비롯해 높은 빈도의 요관관련 합병증 및 고가의 소모품 비용이라는 문제점들이 있다. 이에 비해 영상 보조 소절개술은 기존의 복강경 수술과 고식적인 개복수술의 장점을 취합한 최소 침윤 술기로서 본원에서 고안되어 1991년 처음으로 시행되었으며 현재 모든 신공여자에게 적용되고 있다.영상보조 소절개술식 (Video-assisted minilaparotomy surgery-VAMS)을 이용한 생체 공여신 적출술은 절개창의 최소화, 빠른 술식의 습득, 수술인원의 최소화, 충분한 수술공간의 확보, 복근의 분리를 통한 통증의 최소화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술식과 고식적인 개복을 통한 공여신 적출술에서 환자가 느끼는 만족도와 삶의 질의 차이를 비교한 논문은 아직까지 발표된 바 없어 본 논문에서는 본원에서 2003년 1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영상 보조 소절개술 및 고식적인 개복술을 통해 공여신 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 각각 200명을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비교하였다.의무기록의 후향적 분석결과 평균 재원기간 및 수술후 식사 재개까지의 기간이 영상 보조 소절개군에서 개복수술군보다 의미있게 짧았으며 수술에 걸린 평균시간은 영상 보조 소절개군에서 긴 것으로 관찰되었다.영상 보조 소절개군에서는 58%, 개복수술군에서는 44.5%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설문을 통해 통증의 정도를 조사한 결과 수술 당일과 (p<0.01) 수술 한달 후의 (p<0.01) 통증 지수가 영상 보조 소절개군에서 의미 있게 낮았다.수술후의 회복에 대한 질문에서는 어려움이나 불편함 없이 걷기 및 술 전 직업, 운전, 학교 생활, 집안일등의 정상적인 생활을 재개하기까지의 기간은 소절개군에서 의미 있게 짧은 것을 볼 수 있었으나 (p<0.01), 정상 식이의 재개 및 진통제 투여의 중단까지의 기간에 있어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모든 환자들에서 보편적으로 행해지는 수술전 무통주사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생각된다.수술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미용적인 측면 및 다시 수술을 받게 될 경우 같은 술식으로 시행 받을 의사를 묻는 질문에 영상 보조 소절개군에서 개복수술군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p<0.01).마지막으로 K-SF-36이라는 삶의 질 평가 방법을 통해 비교한 두 군간의 삶의 질에서 8개의 영역 중 6개의 영역, 즉 신체적 역할 (p=0.009), 통증 (p=0.0002), 일반적인 건강 (p<0.01), 활력도 (p<0.01), 정서적 역할 (p=0.002) 및 정신건강 영역에서 (p=0.0002) 영상 보조 소절개군이 개복수술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영상 보조 소절개 생체 공여신 적출술을 받은 환자군에서 통증, 수술후 회복, 미용적인 측면에 대한 만족도 및 삶의 질에서도 고식적인 개복술을 받은 환자군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