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상교육시스템에서 요구되는 학습자 지원 기능 조사 연구

        이혜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943

        21세기는 20세기와 전혀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세계가 예측되고 있으며 또한 그러한 예측대로 발전하고 있다. 즉, 사회가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이제는 정보사회로 변함에 따라 사회 여러 분야, 즉 가족, 산업조직 그리고 교육분야까지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교육체제는 열린교육, 정보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는 교육체제, 교사 중심의 교육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교육체제, 정보통신 공학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갖춘 체계를 지향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망이 가져다주는 무한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가상교육이, 교육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켜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라 논의되고 있다. 학습자 중심의 가상교육에서 학습자들은 과거의 수동적인 입장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여 비순차적이면서도 비구조화된 다량의 정보원으로부터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검색해 내고, 또한 다른 학습자들과 정보를 교류하는 능동적인 정보 탐색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학습자의 역할을 극대화 해주기 위해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기능을 갖춘 가상교육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즉 학습자 활동을 지원해 주기 위한 가상교육시스템은, 가상학습 환경에서 학습자가 어려움없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가상교육시스템은 학습자에게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학습자료를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뿐만 아니라 수시로 교수자나 동료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가상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상대학을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또한 시범운영 및 실험운영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가상교육시 학습자가 학습활동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가상교육시스템에 대한 논의와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네트웍 기반 학습 환경에서 교수-학습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을 규명하여, 효과적인 가상교육시스템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가상교육시스템에서 요구되는 학습자 지원 기능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2.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들 중에서 학습자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기능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3. 학습자의 소속(학생, 회사원)에 따라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4. 학습자의 네트웍 학습 경험에 따라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 연구 문제 1을 규명하기 위해, 목적적 표집 방법(purposive sampling strategy)을 통해 가상교육 사례 22개를 선정하였다. 선정 준거는 선행 연구(교육부, 1999a; 박종선, 1998; 서보혁과 손중권, 1998; Ladon, 1997)에서 언급한 준거를 기본으로 하여, 첫째 국제적인 명성을 지니고 있는 가상교육시스템, 둘째 가상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국내외 대표적인 기관 및 기업으로 정하였다. 세부적으로 가상교육 사례를 살펴보면, 가상교육지원시스템 10개, 기업의 가상연수원 4개, 대학의 가상대학 3개, 기타 기관의 가상교육 사례 5개의 총 22개 사례가 선정되었다. 또한 연구 문제 2, 연구문제 3, 연구문제 4를 규명하기 위해, E여대의 인터넷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 406명, S사의 인트라넷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 490명, L사의 인트라넷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 100며, 총 996명 중 네트웍 학습 경험이 1번 이상인 학습자 23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 사용된 “가상교육시스템에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요도 측정을 위한 설문지”는 문헌 및 선행연구, 그리고 22개의 가상학습시스템 사례 분석을 통해 규명된 학습자 지원 기능을 5점 Likert 척도로 구성하여 작성하였다. 전문가 4인의 내용 타당도 검증과 네트웍 학습 경험이 있는 7명의 학습자에게 pilot test를 실시하여 각 설문문항에 잘 응답할 수 있는지 또한 오해의 소지가 있는 문항은 없는지를 검토한 한 수정하였다. 연구 절차로 가상교육시스템에서 요구되는 학습자 지원 기능을 규명하기 위해, 가상교육시스템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와 가상교육시스템이 지원되는 사례들 교육공학 전문가 2인이 분석하여, 가상교육시스템에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학습자 지원 기능들을 동일한 영역끼리 단위화 및 범주화한 후, 전문가 2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가상교육시스템에서의 학습자 기능 중요도 및 학습 집단간 중요도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문헌 및 선행연구와 가상교육시스템이 지원되는 사례를 분석하여 규명된 학습자 지원기능을 설문 문항으로 작성한 후, 설문 조사를 하였다. 수거된 설문지에 대한 자료는 기술통계를 활용하여 학습자 지원 기능별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학습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능을 규명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소속(학생, 회사원)에 따른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요도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학습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습자 지원 기능들에서의 학생과 회사원에 대해 각각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학습자의 네트웍 학습 정도에 따른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요도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학습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습자 지원 기능들을 학습자의 네트웍 학습 경험 정도별로 각각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교육시스템에서 요구되는 학습자 지원 기능을 알아본 결과, 총 78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이 조사되었다. 78개 학습자 지원 기능은 크게 6가지의 영역 즉, 학습 준비 영역, 학습 자료 영역, 과제/평가 영역, 상호작용 영역, 학습 보조 영역으로 구분된다. 먼저 ‘학습 준비 영역’이란 학습을 시작하기에 앞서 학습자가 학습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영역으로, 총 8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이 포함되었다. ‘학습 내용 영역’은 학습자가 보다 간편하고 쉽게 학습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기술적 영역으로, 총 11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이 포함되었다. ‘학습 자료 영역’은 학습과 관련 있는 자료를 제공, 검색, 공유하는 활동을 지원해 주는 영역으로, 총 9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이 속하였다. ‘과제/평가 영역’은 과제나 시험, 성적 등에 관련된 활동을 지원해 주는 영역으로, 총 10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이 포함되었다. ‘상호작용 영역’은 학습자와 학습내용간, 학습자와 동료 학습자간, 학습자와 교사간, 학습자와 운영자간의 활발한 상호 작용 활동을 유도하는 영역으로, 총 16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 보조 영역’은 학습자 개인의 정보 관리와 동료 학습자/교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영역이며, 총 24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이 포함되었다. 둘째,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 학습자가 중요하다고 인식한 기능에 대해 알아본 결과, 78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 학습 준비 영역에서는 5개, 학습 내용 영역에서는 5개, 학습 자료 영역에서는 4개, 과제/평가 영역에서는 6개, 상호작용 영역에서는 8개, 학습 보조 영역에서는 12개로 총 40개가 중요한 기능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각각의 학습자 지원 기능의 평균이, 그 기능이 속한 영역의 평균보다 높은 것을 중요한 기능으로 분류하는 방법에 의한 결과이다. 가상교육시스템에서 학습자 지원 기능으로써 중요하다고 판단된 기능을 영역별로 살펴보면, 우선 학습 준비 영역에서는 학습자들이 학습 일정을 확인한 후, 원하는 내용으로 연결시켜 주는 기능(M=3.94, SD= .81), 과목 소개에 변경된 내용이 있을 경우, 학습자가 게시판 공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기능(M=3.91, SD= .93), 중요하거나 변경 혹은 추가도니 일정에는 중요 표시나 new마크를 붙여 강조되는 기능(M=3.81, SD= .90)등이 중요한 학습자 지원 기능으로 조사되었다. 학습 내용 영역에서는 학습 내용 중 언제라도 학습자가 필요한 용어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M=4.19, SD= .81),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창을 마련하여, 확인 후 바로 그 내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M=4.07, SD= .74), 키워드로 학습 내용을 검색 할 수 있는 기능(M=3.97, SD= .80)등이 중요한 학습자 지원 기능으로 조사되었다. 학습 자료 영역에서는 클릭 한번으로 필요한 reference 자료(article, 파일)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기능(M=4.28, SD= .75), 다운로드 받을 자료가 많을 경우, 필요한 자료들을 선택한 후, 한꺼번에 연속적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기능(M=4.16, SD= .90), 학습 내용중, 심층적이고 보조적인 내용은 용어정리, 그림, 표, 관련 사이트 등으로 연결되는 기능(M=4.11, SD= .76)등이 중요한 학습자 지원 기능으로 조사되었다. 과제/평가 영역에서는 파일로 과제를 제출할 수 있는 기능(M=3.95, SD= .80), 시험 시간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 시간 경과를 표시해 주는 기능(M=3.88, SD= .87), 이전 평가에 관한 결과들을 제사하여 확인하게 하는 기능(M=3.87, SD= .78) 등이 중요한 학습자 지원 기능으로 조사되었다. 상호작용 영역에서는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교수자간, 질문을 하고 답을 제시해주는 Q&A(Question & Answer) 기능(M=4.27, SD= .77), 자신이 올린 토론 의견에 대한 수정/삭제 기능(M=4.08, SD= .84), 키워드로 Q&A(Question & Answer)의 내용을 검색/확인할 수 있는 기능(M+3.95, SD= .84)등이 중요한 학습자 지원 기능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 보조 영역에서는 운영자의 E-mail주소가 공개되어 있는 클릭하면 바로 운영자에게 메일을 보낼 있는 기능(M=3.63, SD= .96), 개인 홈페이지에 자신의 과제나 project등 자료를 업로드할 수 있는 기능(M=3.57, SD=1.02), 학습자들이 필요할 때 도움말(메뉴, icon사용법, 기술적 도움말 등)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기능(M=3.48, SD= .95)등이 중요한 학습자 지원 기능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학습자의 소속(학생, 회사원)에 따른 가상교육시스템 학습자 지원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40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 학습 준비 영역에서는 4개, 상호작용 영역에서는 8개, 학습 보조 영역에서는 11개로 총 27개 기능에 있어,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소속(학생, 회사원)에 따른 학습자 지원 기능의 중요도 인식 중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보이는 기능을 살펴보면, 우선 생 집단은 게시판 공지를 통해 과목 소재의 변경사항을 확인하는 기능(t = 3.753, p < .05), 여러 개의 자료를 한번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기능(t = 2.487, p < .05), 파일로 과제를 제출할 수 있는 기능(t = 2.806, p < .05), 토론방 기능(t = 6.217, p < .05), 자신의 정보에 대한 공개 여부 결정(t = 6.504, p < .05)등에 있어서 회사원 집단보다 더 중요시 생각하고 있다. 반면, 회사원 집단은 과목의 전체 구조와 개요를 알 수 있는 과목 소재 기능(t = -2571, p < .05), self-test 결과를 즉각적으로 제사하는 기능(t = -2.451, p < .05)등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다. 넷째, 학습자의 네트웍 학습 경험(1개 과정, 2개 과정 이상)에 따라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 차이를 분석 한 결과, 학습자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40개의 학습자 지원 기능 중, 6개 기능에 있어,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웍 학습 경험 1개 과정인 학습자들은 2개 과정 이상인 학습자들보다, 상호작용 영역 중, 토론방의 토론 내용을 검색/확인할 수 있는 기능(t = -2.572, p < .05)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다. 반면, 네트웍 학습 경험이 2개 과정 이상인 학습자들은 학습 준비 영역 중, 학습자들이 학습 일정을 확인한 후, 원하는 내용으로 연결시켜 주는 기능(t = 2.732, p < .05), 과제/평가 영역 중, 파일로 과제를 제출하는 기능(t = 3.042, p < .05), 상호작용 영역 중, 운영자의 답변 중 개인적인 것은 개인 E-mail로 수신되는 기능(t = 2.174, p < .05), 학습 보조 영역 중, 학습자 개별적으로 패스워드를 변경하는 기능(t = 2.740, p < .05)과 학습자 정보의 공개여부를 설정하는 기능(t = 2.033, p < .05)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 학습자의 소속(학생, 회사원)에 따라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지원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습자의 소속에 따라 수행해야 할 학습 목표, 필요성 및 목적이 다르기 때문이므로 가상교육을 개발하고 운영함에 있어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을 차별화하여 제공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학습자의 네트웍 학습 경험에 따라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자 지원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상교육시스템의 개발 및 운영에 있어, 학습 대상자들의 네트웍 학습 경험을 고려하여 지원 기능을 제공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로 조사된 가상교육시스템에서 요구되는 학습자 지원 기능 78개의 항목과 이에 대한 유목화는 문헌 및 선행연구, 그리고 가상교육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사례를 분석하여 추출된 기능들이므로, 차후 현장 연구를 통한 타당성 확인 과정이 요구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가상교육시스템에서 학습자 지원 기능만을 규명하였다. 가상교육 시스템은 학습자뿐만 아닌 교수자, 운영자도 교수-학습을 위해 활동을 한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가상교육을 위해, 교수자와 운영자를 위한 지원 기능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The 21st century has been predicted to new paradigm different from the 20st century and has developed. That is, as our society changed in information society from agrarian society and industrial society, society caused shifts in all social systems such as family, business and education. Of the social systems, educational system has pointed to open education, learner-centered education, acquisition of ability to be adapted for information society, learning environments to utilize new technology. Especially, learner-centered virtual education through the new technology is the strongest means for paradigm shifts of education. In the learner-centered virtual education, learner’s role is to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ity positively such as searching the useful information from ill-structured information source and communicating with other learners voluntarily. For maximizing these learner’s roles, virtual education system is necessary to support the learner’s activity. That is, virtual education system should offer environments to meet learning material easily and the method to interact with teacher and peer-learner. In Korea recently, virtual university which is plan for improving the virtual education system is confirmed legally. So discussion and development about virtual education system is necessary to maximize learner’s activ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learner support function in virtual education system for maximizing teaching-learning effects.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ill be addressed: 1. What are the learner support functions required on virtual education system? 2. What are the important learner support functions on virtual education system? 3.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learner’s and company employee’s importance perception about learner support function of virtual education system? 4.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learners experienced network learning once and learners experienced network learning more than twice importance perception about learner support function of virtual education system? To examine the question No.1, 22 cases of virtual education system were selected, and to examine the question No.2, 3, 4, 231 learners experienced in network learning more than once at least were selected. And the 231 learners responded the questionnaire to rate importance of each learner support function. Outlined below is the procedure that was followed in conducting this study. First, to examine learner support function, researcher and one expert investigated learner support function through the 22 cases of virtual education system, reference material and review of literature. Second, after making the questionnaire based on learner support function investigated by researcher, learn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ird,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learner support function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were used.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follows: 1. What are the learner support functions required on virtual education syste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question determined 78 learner support functions which are categorized 6 areas learning preparation, learning contents, learning reference, learning evaluation, interaction and learning assistance. 2. What are the important learner support functions on virtual education system? Of the 78 learner support functions, 40 functions were perceived to be critical functions by learners. And in the 6 areas, learning reference area was recorded the highest mean score(M=3.94, SD= .94). 3.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learner’s and company employee’s importance perception about learner support function of virtual education system? Of the 40 learner support functions perceived to be critical,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27 functions such as introduction function for understanding the subject’s structure and outline(t = -2.571, p< .05), self-test function to offer the result immediately(t = 5.786, p< .05), discussion function(t = 6.217, p< .05), E-mail function to be connected peer-learner, teacher and administrator(t = 4.869, p< .05), modification function of learner’s information(name, ID, introduction, etc.)(t = 6.504, p< .05), etc. 4.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learners experienced network learning once and learners experienced network learning more than twice importance perception about learner support function of virtual education system? Of the 40 learner support functions perceived to be critical,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6 functions such as connecting function between schedule calendar and learning contents(t = 2.732, p< .05), function of submitting report based on file(t = 3.042, p< .05), search function for discussion contents(t = -2.572, p< .05), E-mail function to be connected between learner and administrator individually(t = 2.174, p< .05), modification function of password(t = 2.740, p< .05), set up function whether open learner’s information or not(t = 2.033, p< .05). From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 First, according to social position, learner support function have to be partial in embodying the virtual education system. Second, learner support function considered the degree of learner’s network learning experience have to be applied to developing and managing virtual education system. Third, the 78 learner support functions and the 6 areas categorized should be practiced in the field for validation. Fourth, follow-on research should identify to support functions for teacher and administrator.

      • 대학의 연구기능 강화를 위한 연구지원체제 비교 연구

        박병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942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problems and status of Korean universities' research support systems, presenting policy directions towards better research support systems in advanced countries and proposing realistic application plans based on theoretical models of research support systems applicable to universities by comparing university research support systems in Korea with those in the US and JapanThis study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s. First, university research support systems in the US, Japan and Korea a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study. Second,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n research support systems in the US, Japan and Korea by integrating input, transformation process, output, and subordinate components (structure, individual, culture, political system and environment) into the functions of research support systems, using school social system models and university research support system models as standards for discussion. Through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 of policy needed for Korean universities. Third, using research support system models,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each system component in order to enhance university research capacity on reference to Y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in terms of input, the rate of government fund among the total research cost and the rate of government investment into universities are found to be far lower than the other two countries. While Korea's basic research expenditures account for a lower proportion (16%), applied research and development research have a relatively higher percentage. The number of researchers working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sector and the number of researches per 1,000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how lower levels. In addition, Korea's investment in research equipment and research facility possession status are found to be at lower levels.Second, when it comes to the comparison of specialized associate groups in transformation process, the US and Japan briskly perform associate activities related to industry-university research cooperation, research fund-raising activities and technology transfer activities. However, Korea functions poorly at the research planning stage and shows poor performance in research marketing and technology transfer utilization. As for internal control systems, America shows advanced systems such as cost estimating systems reflecting concentration and diversity, quality assessment and social control systems. The other countries have already systematized various technology transfer regulations for spreading research outcomes, while Korea is in its early stage of regulation development. American incentive system is found to be distinctive, because they allow people to get more incentives according to one's capabilities and efforts by adopting such systems as competition system among professors and some proportion of annual salary to be secured through research expenses. Concerning political systems, the US shows legal power and compensatory power relationship where regulation, control and motivation are carried out with the balance between concentration and diversity. Japan has legal power and compensatory power relationship building around compulsory power under a centralized system. With the mixture of a centralized system and the principles of concentration and diversity, Korea shows compulsory power, legal power and compensatory power relationship while imitating American policies. In cultural system comparison, reasonable culture can be seen in the US where the competition culture of 'Publish or Perish' and cost estimating system are recognized under the situations of competition and incentive systems in place. Japan shows a centralized culture, a typical Japanese cultural characteristic. Korea turns out to be in the process from a centralized research culture to creativity-centered one recognizing competition and incentives.Third, regarding output, Korea is far behind the US and Japan in terms of the number of SCI research papers, the number of universities publishing more than 300 papers, the number of cited research papers, the number of science technology research papers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status of patent application (registration), and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of major universities, Fourth, in relation to environment this study looks into the activities internal and external organizations affecting the network of associate groups. This also reveals the fact that Korean organizations need to participate more actively.Fifth, concerning measures to strengthen university research support systems, this study proposes specific research support system models applicable to universities and their application measures by integrating the input, transformation, and output components of system models along with subordinate elements―such as structure, individual, culture, and political systems―and environmental elements into research func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과 일본의 대학연구지원체제를 한국의 경우와 비교함으로써 한국 대학의 연구지원체제의 문제점과 현 수준을 파악해 보고, 선진국 수준의 대학연구지원체제로 나아가기 위한 정책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대학내부에서 정립할 수 있는 연구지원체제의 이론적 모형에 근거한 실제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미국· 일본·한국의 대학 연구지원체제를 각각 조사하였다. 둘째, 학교의 사회체제모형 및 대학의 연구지원체제 모형을 논의의 준거로 사용하여 투입과 변환과정, 산출을 하위요소(구조·개인·문화·정치체제 및 환경)와 함께 연구지원체제의 기능에 접목하여 미국·일본·한국의 연구지원체제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대학에 필요한 정책의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셋째, 연구지원체제모형을 활용하여 각 체제요소별로 대학의 연구기능향상을 위해 필요한 방향성 및 개선방안들을 Y대학의 상황을 참조하여 함께 제시하였다.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투입부문 중 한국의 연구비에 대한 정부재원 부담비율과 정부예산의 대학에 대한 투자비율이 두 나라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의 기초연구비(16%) 비중은 낮으나 응용연구 및 개발연구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개발활동에 종사하는 연구원 수 및 경제활동인구 천명당 연구원 수도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연구장비 투자규모 및 보유현황 역시 열악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둘째, 전환과정부문의 전문화된 연계조직 비교에서는 두 나라는 산학연관련 사전연계활동과 연구비 확보 활동, 기술이전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반면 한국의 경우에는 연구기획단계에서의 기능이 취약하고 연구마케팅 및 기술이전 성과활용이 부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내부통제제도에서는 집중성과 다양성이 적용된 원가산정제도와 질적성과 평가 및 사회적 통제제도가 시행 중인 미국제도의 선진성을 엿볼 수 있었다. 연구성과 확산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전 법규도 미국은 일찌감치 체계화해 왔으나 한국은 아직 태동단계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인센티브 제도는 교수간의 경쟁시스템 도입 및 연봉의 일정부분이상을 연구비확보를 통해 보충하는 시스템 시행 등으로 인해 자신의 능력과 노력만큼 인센티브를 더 확보할 수 있는 미국제도가 특징적이었다. 정치체제에서는 집중성과 다양성의 균형 가운데 조정과 통제와 동기부여가 이루어지는 합법적 권력과 보상적 권력 관계를, 일본의 경우 중앙집권적인 체제하에서 이루어지는 강제적 권력 중심의 합법적 권력과 보상적 권력관계를, 한국의 경우는 중앙집권적인 체제와 집중성과 다양성의 원리가 혼재된 상황에서 미국의 정책을 모방하는 가운데 이루어지는 강제적 권력과 합법적 권력과 보상적 권력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다. 문화체제비교에서는 미국의 경우 경쟁과 인센티브제도가 적용되는 현실에서 존재하는 'Publish or Perish'의 경쟁문화와 원가제도를 인정하는 합리적 문화가 파악되었고, 일본의 경우 전통적인 일본문화의 일반적인 특성이 연구문화에서도 예외없이 적용되는 중앙집중적인 문화가 조사되었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 중앙집권적인 연구문화의 와중에서도 경쟁과 인센티브가 존재하는 창의성 중심의 연구문화로 변해가는 과정인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셋째, 산출부문의 국가별 발표 SCI 논문수, 국가별 300편이상 발표 대학수, 국가별 논문 피인용횟수, 5년간 국가별 과학기술논문 발표현황, 국가별 특허출원(등록)현황, 국가별 주요대학의 기술이전 실적 등에서 한국의 산출물로서의 실적현황은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부족한 수준이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넷째, 환경부문에서는 네트워크로서 영향을 미치는 대내외 기관의 활동에 대해 조사했으며 역시 한국의 기관들의 활발한 역할이 더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다섯째, 대학의 연구지원체제 강화방안에서는 체제모형의 투입과 변환과정, 산출요소를 구조, 개인, 문화, 정치체제 등의 하위요소 및 환경요인과 함께 연구기능에 접목하여 대학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지원체제 모형 과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A control strategy of a body weight support system for interactive treadmill

        Junsang Kwon DGIST 2019 국내석사

        RANK : 2941

        Recently, in gait rehabilitation clinical area, body weight support system with treadmill therapy is popular for the gait rehabilitation. One research proved that comparing with conventional treadmill, interac-tive treadmill which can allow the change of walking speed naturally have more clinical outcomes. So our research tem developed body weight support system for interactive treadmill environment. But body weight support system for interactive treadmill doesn’t applied series elastic actuator which can absorb the impact so that force track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Our body weight support system used conventional control method, PID force controller so that peak force error appear large comparing with other body weight support system. This research proposed the new algorithm for better force tracking with series elastic actuator. There is advantage for not using series elastic actuator which can lowering the cost. So this research proposed new control algorithm which can remedy the limitation as mentioned above and this new controller can be applied to interactive treadmill environment. In result, proposed controller could reduce the overshoot comparing with conventional PID controller. Firstly our controller was tested with non-human study, and then after that our controller was tested with human study, asymmetric gait pattern. In addition, the hardware used in this re-search was already developed by our research team member, so detail of mechanical design will not be ex-plained here.

      • Mobile GIS 기반의 e-Business 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박남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0

        모바일 GIS는 GIS 공간분석기법과 모바일 기술을 결합하여 일상 생활 속의 다양한 자료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효과적인 분석에 의해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로 제공하는 새로운 형태의 공간정보서비스이다. 최근에는 인터넷, 위성항법장치, PDA 등의 확산에 따라 모바일 GIS를 이용하려는 사용자들의 요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그 활용분야도 금융, 보험, 은행, 도·소매업을 비롯한 e-Business 활동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GIS를 e-Business 지원시스템에 도입하면 현장에서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주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이는 영업지원시스템을 비롯한 모든 비즈니스 지원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는 지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특성은 모바일 GIS의 공간분석을 통해 유용한 정보로 가공되어 공간상의 규칙성을 파악함으로써 그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기존의 e-Business 지원시스템에 모바일 GIS를 활용하여 시장분석을 위한 공간분석, 위치기반서비스, 데이터베이스 관리, 매핑 기능 등을 활용하여 위치정보와 함께 업무에 필요한 지역의 성향분석을 현장에서 가능하게 함으로써 영업활동의 효율성 향상과 전략적 의사결정지원에 모바일 GIS를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려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e-Business 지원시스템의 활용현황과 한계점을 살피고, 모바일 GIS를 시스템에 응용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그 활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해 영업지원시스템의 내부 데이터와 고객정보를 g-CRM을 도입하여 통합하고,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GIS 공간분석기법을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모바일 GIS 기반의 영업지원시스템을 PDA 상에서 구현해 보았다. 사례대상인 보험영업의 경우, 보험설계사가 직접 고객을 방문하여 영업을 수행하는 업무의 특성상 영업활동에 있어서 대부분 인적관계를 기초로 하여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고, 새로운 시장 개척을 하고자 할 때에는 과거 경험에 의한 영업이 주를 이루고 있어서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영업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업활동의 특성에 맞도록 영업지역의 공간정보와 고객 정보를 구축하여 공간분석기능과 가시화 기능을 갖춘 모바일 GIS를 활용함으로써 지역적 성향파악과 고객속성을 도출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구현된 모바일 GIS 기반의 e-Business 지원시스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데스크탑이나 인터넷 GIS와는 달리 모바일 환경에서 공간분석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영업지원시스템의 요건인 이동성, 신속성, 정확성을 만족 시키면서 영업활동에 이용이 가능하다. 둘째, 지역마케팅 전략 수립 및 실행을 지원해 줄 수 있다. 관리자뿐만 아니라 실무자도 공간분석을 통해 담당지역에 대한 창조적인 영업을 수행 및 지원할 수 있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영업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 셋째, 영업활동의 중복지역이나 틈새시장을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모바일 GIS를 이용하여 영업지역의 정보를 현장에서 지도상에 표시함으로써 판매력의 균형 내지 불균형에 대한 판단을 객관적이고 가시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 의사 결정지원이 가능하다. 넷째, 간편하고 직관적인 업무지원 기능을 들 수 있다. 모바일 GIS의 기능 중 하나인 첨단매핑기법과 다차원적인 분석기법을 통해 공간 데이터의 요약된 결과를 이해하기 쉽게 시각적으로 제시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업무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Nowadays, user's demand for mobile GIS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every year and fields of application have been expanded such e-Business service as finance, insurance, trade and so on. Mobile GIS is the spatial inform ation service of new form that join spatial analytical techniques of GIS and mobile skill. It will be given information to simply take advantage of diverse data by visual effect and Analysis. If this mobile GIS introduces to the e-Business support system, it would be a significant instrument for supporting strategic decision-making. Because database of all business support system includes geographical character and it is promoted a possible utility by understanding a rule of spatial to process useful information through spatial analysis of GIS. To apply mobile GIS on e-Business support system of existing, we can lead a propensity analysis of the area where it is necessary to a business from site through space analysis, database management and mapping function. So,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in strategy decision-making support.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critical point of existing e-Business support systems and the application condition to apply mobile GIS in requirement of system. Also, for a concrete system it arranged the inside data and customer information and integrated space and attribute information in data form of GIS. So, it embodied a mobile GIS business support system on the case by insurance business. That result, we could make firm regional disposition and customer's information using spatial analytical techniques of mobile GIS. The effect of system which is finally embodied as following: First, with the existing desktop or internet GIS differently it will be able to accomplish a spatial analysis from mobile environment. Also, the mobility and accuracy which are the important element of business support system is important it is satisfied and 4he use is possible in business activity. Second, there is a possibility to support an area marketing strategy establishment and an execution. It will be able to support the creative business and consider the regional quality. Third, we can distinguish the duplication area or a clearance market of business activity. If it is indicated a customer of the each area on the map by using mobile GIS, it will be able to support the judgement about Balance of sale power. Last, there is a simple and intuitable business support function. The up-to-date mapping technique and dimension analysis technique will be able to augment the function of mobile GIS in business.

      • 軍需支援體制의 發展方向에 관한 硏究

        이성율 東國大學校 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940

        The future warfare will be a high-tech warfare characterized of mass destruction and massacre caused by highly developed strategic technology and new weapon systems. This trend is currently being rife by rapid change of economic environment caused by so-called digital revolution. Considering the battlefield situation of future warfare and future logistics support environment, the effective operation of weapon systems, cultivating military industry, and efficient operation of logistics must be followed to get credits for assuring strong military power and sovereignty. Because of that, an efficient logistics support issue is considered of great importance in preparation and execution of war, and also it will influence to win or lose the war. United States having dominant logistic support capability proved that they won the war with minimum sacrifice in the shortest time in Gulf War and Iraq War. Since the beginning of it, ROK Military have tried to develop the logistic support system which fits in our environment and currently the logistical support is being operated by total Integrated Logistic Support system of Army, Navy, and Air Force. Nonetheless, when we consider of decreasing of defense budget and battlefield environment' change, we have to develop the current system to the direction of more economic and effective logistic support system, saying Business-Style syst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ost effective logistic support system fitting in ROKA confronted the budget matter? Second, what kind of effects in logistic support environment according to future battlefield environment and economic environment' change and what will be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of the future logistic support system for us to get the logistic support capability for the future? In the 21st century the environment of logistic support must be maintained for keeping the appropriate military power with minimum resources due to the trend of limited defense budget, so we have to make it simplified and integrated, and also maintain the resource saving style logistic support system which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logistic support. And considering the reduction of manpower for logistic support caused by the military power' reduction, we have to develop the system of manpower, organization, and equipment to accomplish logistic support' information, automation, and mobilization system to the direction of high efficiency with an appropriate size. Futhermore the trends of weapon system' precision and information caused by the scientific techniques' development make us need the acquisition of superior human resources and efficient wartime readiness system capable of timely support. United States have been developing the logistic support system to the way of knowledge-centered military structure having quick response with smaller size. They are to operate the logistic support system reducing the investment, reinforcing the combat readiness posture in peacetime, and making possible the timely logistic support at the necessary place on wartime. That is, they have tried to secure the absolute dominance in the aspect of logistic support through constructing efficient and scientific management system utilizing information system with rec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iques. As we consider the future logistic support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trends of US Army' most advanced logistic support, the direction of ROKA' logistic system development must be as follows. First of all, we all have to have same concept of mind that we can't win in the future warfare without efficient logistic support. Second, as the war trends and weapon system change, we need the Integrated Logistic Support system which assures all around simultaneous support continuously in the logistic support and management arena. Third, to response actively in the future information age, we have to develop the defense logistic support system consisting of timely logistic support and logical decision making through getting rapid and accurate logistic information. Forth, we have to set up the materials management system connected with both military and civil assets in order to support the battlefield itself and troops at the right time. Fifth,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defense resources, we have to prepare wartime military resources system using all the national resources and mobilization assets that we can utilize militarily so that we can save the defense budget, supply the deficits in emergency situation, solve the logistic support problem in our own term for the future warfare. Sixth, make the logistic support possible through reinforcing the mobility of logistic support troops, obtaining excellent human resources, and improving the supply and maintenance system. Finally, ROK military' logistic support system in the future should be developed to assure winning the war in any case through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the military power needed for the national security in peacetime and sustaining the timely support under any circumstances on wartime.

      • 응급의료비 미수금대불제도의 활성화 방안

        안민경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39

        응급의료비미수금 대불제도는 응급환자가 의료비 부담능력이 없는 상황에서 적정의 응급의료를 받도록 하여 귀중한 생명과 건강을 잃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한정된 응급의료기금으로 운용하는 대불제도가 보다 많은 사람에게 이익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응급의료서비스 질 향상과 국민건강향상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제도로 발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현재 동 제도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위탁·운용하고 있다.이 연구는 제도가 처음 시작되었던 1995년 10월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접수된 응급의료비 대불청구내역 9,468건을 바탕으로 실시하였고 분석방법은 문헌조사와 빈도분석에 의한 통계분석이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응급의료비 대불제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해 내었다. 문제점으로 응급의료비 대불금 예산의 낮은 비율과 구상률 저조, 외국인 응급의료비 대불제도 문제, 높은 심사조정률, 제도의 낮은 이용률, 청구절차의 복잡 등을 도출해내었다. 결론적으로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여 앞으로 응급의료비 대불제도가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첫째, 응급의료비 대불기금의 예산을 확대해야 한다. 1995년부터 2002년도까지는 전체 응급의료기금 중 응급의료비 대불기금이 80% 이상을 차지하였지만, 2003년도부터는 전체 응급의료기금 중 3% 이하가 책정되었다. 이처럼 작은 규모는 제도의 취지를 살릴 수 없을 뿐 아니라, 지출이 예산을 초과할 수도 있기 때문에 예산의 확대가 필요하다.둘째, 상환률을 높여야 한다. 응급의료비 대불제도는 상환을 전제로 하는 제도이다. 즉, 구상을 통하여 회수된 비용은 후에 응급의료기금으로 사용되어 더 많은 사람에게 혜택을 줄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회수금액비율은 3.7%이고 결손처리비율도 대불금액의 0.03%이다. 결국 미회수 비율은 96.27%로 55억 9천 2백만 원의 미수금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앞으로 구상률을 높여 응급의료비 대불제도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셋째, 외국인의 응급의료비 대불제도에 관한 근거규정을 마련하기 위해 법률의 정비가 필요하다. 현행 응급의료에관한법률은 외국인에 대한 응급의료 대불에 대한 근거가 없다. 특히, 외국인의 대불 지급액은 13억원으로 전체 대불액의 1/4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나 외국인의 상환금액은 외국인 지급액의 2.5%로 대불액에 비해 상당히 저조하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불법체류외국인을 포함한 외국인의 응급의료비 대불문제가 법적으로 정립이 되어야 한다.넷째, 심사기준을 재정립해야 한다. 현재 평균적인 심사조정률은 24.95%로, 일반적인 심사조정률 1~2%에 비하면 높은 비율이다. 높은 심사조정률은 의료기관이 응급의료 대불제도를 이용을 저해하는 요소이므로, 응급진료 증상 및 처치 등의 심사기준 완화가 필요하다. 또한 현재 대불산정기준의 모호함이 대불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소이므로 이 부분도 명확히 하여야 한다.다섯째, 청구절차의 간소화와 청구방법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응급의료비 대불제도는 서면으로만 청구가 가능하지만 현행 심사청구의 일반적인 형태인 EDI로 변경하여 청구의 간소화, 시간적·재정적 절감, 심사의 효율화 등을 실천해야 한다. 또한 응급의료비 대불제도를 의료기관과 이송기관 뿐 아니라 환자 본인도 신청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for unpaid bills of emergency medical treatment purposes to save first‐aid patients’ life and health by supporting them to get appropriate medical treatment in a situation that they cannot pay the bill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object of suggesting plans to activate the system, which is operated with a limited amount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fund, so that it can benefit as many people as possible and contribute to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people’s health. Currently the system is operated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on commission.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9,468 cases of financial support for unpaid bills of emergency medical treatment applied to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1995, when the system was launched, to December 31 2005. Methods used in this research were literature review and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frequency analysis.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we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of unpaid bills for emergency medical treatment, and derived problems in the system. Identified problems were small budget for the system, low indemnity rate, financial support for foreigners, high amount adjustment rate, low use rate, complicated application procedure, etc. To solve these problems and activate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of unpaid bills for emergency medical treatment, we made suggestions as follows.First, the budget for the financial support of unpaid bills for emergency medical treatment should be expanded. During the period from 1995 to 2002, the fund for the financial support of unpaid bills for emergency medical treatment occupied 80% of the total amou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funds, but from 2003, it fell down below 3%. With such a small amount of budget, the original purposes of the system cannot be served, and expenditure may exceed the budget. Thu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budget.Second, the repayment rate should be raised. Financial supports under the system are supposed to be repaid. That is, expenditures recovered through indemnification are reverted to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fund for benefiting more people. However, the current indemnity rate is 3.7% and the percentage of the amount disposed as deficits is 0.03%. Thus, the percentage of uncollected amount is 96.27% (5,592 million won). Therefore, the indemnity rate should be raised to activate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of unpaid bills for emergency medical treatment.Third, the relevant law needs to be improved to provide a ground for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 to foreigners.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does have provisions on financial support of medical bills for foreigners. In particular, the amount paid for foreigners is 1.3 billion won, which is a quarter of the total amount paid, but the amount recovered from foreigners is as low as 2.5% of the paid amount. To overcome the problem, financial support for foreigners’ emergency medical treatment should be defined by law.Fourth, criteria for examination should be re‐established. The average amount adjustment rate is 24.95%, much higher than 1~2%, the ordinary adjustment rate. Because the high amount adjustment rate hinders medical institutions from using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ease criteria for examination such as the symptoms and treatment of emergency cases. Moreover, because ambiguous criteria for calculating medical fees are obstacles to the activation of the system, they should be clarified.Fifth,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application procedure and re‐establish the application method. Currently,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of unpaid bills for emergency medical treatment allows only written application. For simple procedure, the saving of time and money and efficient examination, however, EDI should be adopted, which is a common form of application for examination. Moreover,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so that application can be made not only by the medical institution and the transportation agency but also by the patient.

      •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지원제도와 신뢰도가 예비 창업자의 가맹계약여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매업 프랜차이즈 중심으로

        공인원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39

        2019년 현재 국내 프랜차이즈산업의 시장 규모가 120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명목GDP의 약 7%, 총 고용의 4.5%를 차지할 만큼 주요 산업 중 하나로 성장했다. 그러나 국내 프랜차이즈의 시장규모에 비해 질적인 성장은 매우 부족한 편이다. 그로인해 많은 예비창업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높은 폐업률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 현재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더욱 중요시 되는 요소가 바로 프랜차이즈 본사의 책임과 역할이며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프랜차이즈 지원제도 이다. 본 연구는 소매업 프랜차이즈 산업의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을 위해서 프랜차이즈 본부의 지원제도를 분석하고 업태에 맞는 지원제도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예비창업자 관점에서 지원제도와 본부의 신뢰도를 바탕으로 창업의사결정시 필요한 요인에 대해 자세히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소매업 프랜차이즈에 관심이 있는 예비창업자 178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23.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모형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내용을 검증하였다. 주요 변수인 프랜차이즈 지원제도와 본부의 신뢰도, 예비창업자의 가맹계약여부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지원제도의 하위요인으로는 ‘점포개발지원제도, 교육·경영지원제도, 물류지원제도, 홍보지원제도, 신제품지원제도, 상품운영지원제도’ 총 6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랜차이즈 지원제도 중 교육·경영지원제도, 상품운영 지원제도, 신제품 지원제도가 예비창업자의 본부 신뢰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프랜차이즈 지원제도 중 교육·경영지원제도, 상품운영 지원제도, 신제품 지원제도가 예비창업자의 가맹계약여부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셋째, 점포개발 지원제도, 물류지원제도, 홍보지원제도는 직접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본부의 신뢰도가 가맹 계약여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로는 본부에 대한 신뢰도는 예비창업자의 가맹계약 여부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연구를 통해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매업 프랜차이즈 가맹본부는 신제품개발, 상품운영지원 등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상품지원제도 수립을 통해 예비창업자들에게 신뢰를 줘야 한다. 둘째, 본부의 적극적인 경영지도와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예비창업자들이 경영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제도를 중점적으로 수립해야 한다. 셋째, 점포개발지원, 물류지원, 홍보지원 등의 지원제도는 차별화된 강점 보다는 안정적인 지원제도로써 전반적인 경영을 지원하는 제도로 운영해야 한다. 넷째, 본부는 예비창업자에게 사업역량 검증과 일관성 있는 태도로 신뢰를 보증함으로써 상호간의 관계를 더욱 밀접하게 해야 한다. Korean franchise market size appears to be almost 120 billion KRW in 2019. It has become one of the leading industries that take 7% of nominal gross domestic product and 4.5% of the total employment in Korea. However, the quality of growth seems to be insufficient compare to the quantity of growth. Low quality growth resulted pre-entrepreneurs suffer and many entrepreneurs ran out of business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franchise support system plays a very significant role with the responsible attitude of franchise headquarters. For more accurate research, the final analysis included 178 pre-entrepreneurs who have specific interests on retail franchise business. SPSS 23.0 was the main analytical method to deep dive into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veals main variations as the reliability with the franchise headquarters’ support system and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pre-entrepreneurs and franchise headquarters. Total of 6 sub factors of the support system were analyzed which are store development, education-business administration, supply and chain, public relations, new product, product operation support systems. Below list is consisted of the final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the research confirmed that among many franchise support systems, education-business, product operation, and new product support systems have shown positive and meaningful effects on the Franchise headquarter’s trust Second, the research confirmed that among many franchise support systems, education-business, product operation, and new product support systems have shown that it has positive and meaningful effect on the decisions pre-entrepreneurs make. Third, Store development, supply and chain, public relations have shown relatively lower effects. Forth, the reliability in providing supports of the product operation and new product supply has some mediated effects on whether pre-entrepreneurs signing in franchise contract or not. Meanwhile, those sub-factors of the franchise support system were not satisfied in each level of the verification which means it was uncertain if the sub-factors have the mediated effects. Summaries of the key points based on this research are listed below. First, retail franchise headquarters must provide a systematical product support system to ensure reliable relationship with pre-entrepreneurs based on new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 operation supports. Second, establishing support system to amplify successful business performances of pre-entrepreneurs through active provision of management guidelines and trainings is crucial. Third, store development, supply and chain, public relations supports should be steady support systems throughout the whole business administration rather than differentiated strengths. Fourth, franchise headquarters must be consistent in support and verifying operational competence of the business that will build reliability assurance with pre-entrepreneurs.

      • 중소기업 지원서비스의 효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기업애로처리시스템을 중심으로

        박현정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39

        In the 21st century, the industry is based on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a knowledge-based economy, that is based on the industry that produces, distributes and uses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global competition among companies are keenly being taking place. In this situation, the company can survive only if it reinforces the core competence through innovation. The growth of individual enterprise not only boosts the regional economy but also leads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can be achieved only if all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region are optimized to the market demand.Therefore, it is most important to construct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since so that innovative potentiality can be developed and the regional industry can be actively fostered. As the growth of regional industry is the core of the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the on-the-spot corporate support service is required. Especially, corporate support service from the public sector can be the core strategy of corporate and regional competitiveness, the two axis of economic development. The corporate support service helps a corporation get rid of its trouble, promote its core competence and to inducing its positive externality to accumulate and distribute the asset, necessary to industrial development.Based on the fact that the economic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mainly depends on the competitiveness of both corporates and regions, This paper is to find effective ways to provide the corporate support services by analysing the complaints and grievances of the companies and support services offered by the public sector.The study method is to make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importance of regional economy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the increasing role of public sector and the provision of corporate assisrance service, And after that, it will take a look at what types of problems does it have and try to come up with the effective solution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advanced nations. Also, it will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complaints grievances and problems in using the corporate support service offered by the agencies in the Gyeonggi Province.With this, this paper tries to make a conclusion that the existing corporate support service system should be metamorphosed from dispersed-and-provider-based type to the integrated-and-user-based one.'Business SOS system', aimed at providing tailor-made assistance for the business concerns in the Gyeonggi Province is able to accomplish the diversification, professionalism, and regional differentiation of corporate support service. The Business SOS system intends to provide the on-the-spot corporate support service in a rapid and judicious manner from the previous limited services. It can improv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individual companies in accordance with th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the concerned difficulties.In order to raise the efficacy of the system, the regional one-stop service center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ir role and authority be strengthened, which will eventually enable them to oversee and to manage the whole solution process for the business difficulty. In addition, the continuous monitoring system should be set up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business support system and the experts in the area should be employed.The business support service offered by the public secto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rket so it should embrace the role of the market mechanism. The system by the public sector should promote the growth of the private one through understanding the practical needs of the business concerns. 21세기는 지식과 정보가 산업의 기반이 되고 있다. 지식과 정보를 생산·배포·이용하는 산업에 기반을 둔 지식기반경제가 도래하면서 기업 간 글로벌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은 혁신을 통해 핵심역량을 강화해야만 생존이 가능해 진다. 개별기업의 성장은 해당 기업의 성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업이 속한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역경제 활성화는 국가경제의 발전으로 이어진다. 모든 지역이 소유하고 있는 인적·물적 자원이 최대로 개발되고 지역단위에서의 시장수요가 창출되어야 국가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해진다.따라서 지역의 혁신 잠재력을 확충하고 지역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제도적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역을 기반으로 한 지역산업의 성장이 국가산업 발전의 핵심이 되고 있는 만큼 현장성을 높인 기업지원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공공부문에 의한 기업지원서비스는 경제발전의 두 축인 기업 경쟁력과 지역 경쟁력 제고의 핵심 전략이 될 수 있다. 기업지원서비스는 기업의 애로를 해소해 기업이 핵심역량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고, 그로 인한 긍정적인 외부효과(externality)를 이끌어내 산업발전에 필요한 자산을 지역 내에 축적·확충할 수 있다.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경제발전이 기업 경쟁력과 지역 경쟁력의 제고에 달려 있다는 논의를 배경으로 하여, 기업의 경영 애로 요인과 공공부문의 기업지원서비스 제공 실태를 분석해 지역 내 효율적인 기업지원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연구방법은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지역경제의 중요성, 그로 인한 공공부문의 역할 증대, 그리고 기업지원서비스 제공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한 뒤, 우리나라 기업지원서비스 지원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선진외국의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다. 또한 경기도를 표본으로 기업애로의 실태와 기업지원서비스기관 이용 시의 애로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획기적인 기업지원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는 기업애로처리시스템에 관해 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기업지원서비스의 제공 방안을 제시한다.이를 통해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기존의 기업지원서비스가 분산형, 공급자 주도형으로 이루어진 것에서 탈피해 네트워킹 기능의 확립으로 통합형, 수요자 지향형으로 전환되어야 하고 지역별로 차별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경기도에서 운영하고 있는 기업애로처리시스템인 ‘기업SOS시스템’은 기업 여건 전반에 걸친 수요자 중심의 실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만큼 기업지원서비스의 다양화, 전문화, 지역별 차별화를 달성할 수 있다. 기업SOS시스템은 공급자 위주의 한정된 기업지원서비스 제공에서 탈피해 ‘찾아가는 기업지원서비스’로서 기업의 애로 발생시 현장 방문을 통해 신속하게 애로를 처리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특히 기업SOS시스템은 기업지원서비스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달리해 지역의 여건과 특성에 맞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업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이와 같은 기업애로처리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기업지원 원스톱센터를 구축하고, 지방정부의 권한 및 역할을 강화해 지역 내 기업의 애로 해소를 지역별 원스톱센터가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관리·감독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업지원 전담인력의 양성과 기업지원서비스의 효과와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평가체제 구축도 필요하다.공공부문의 경제적 역할은 시장이 제공할 수 없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데 치중되는 만큼 기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어 시장 메커니즘의 역할을 수용하여야 한다. 기업의 실질적 수요를 파악하고, 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기업지원서비스를 공급해 민간 부문의 성장을 촉진하여야 할 것이다.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WLB 지원제도 조절효과 분석

        오은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38

        외환위기 이후 고용의 형태는 점차 탄력적으로 변화하였고, 조직구조 형태도 위계적인 조직에서 수평적인 조직으로 바뀌고 있다. 최근에는 조직을 구성하는 핵심인력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 중심적 사고를 가진 베이비 붐 세대가 물러나고, 일보다는 개인적인 삶, 자신의 성장 및 자기개발, 생활의 만족을 중요시 여기는 X세대, Y세대가 그 자리를 대신하기 시작하였다. 개인에게 있어 일과 삶의 균형은 조직에 정서적으로 몰입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정서적 몰입이 높은 구성원들은 조직에 심리적인 애착을 갖고 있으며, 조직의 목표와 가치를 받아들이고 조직을 위해 기꺼이 노력을 기울인다. 이처럼 일과 삶의 균형은 현대 직장인들의 일터의 선택과 유지에 있어서 중요한 고려 요소이자 기업이 유능한 인재를 유인하고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적 수단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직에서는 일과 삶의 균형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WLB 지원제도는 정부의 정책으로 실시된 가족 지원제도가 우선 지원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도에 해당되지 않는 대상은 WLB 지원제도가 상징적인 의미로 남을 수 있다. 이는 조직구성원의 특성과 각 기업 여건에 맞는 다양한 유형의 WLB 지원제도가 시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기업근로자를 대상으로 일과 삶의 균형과 정서적 몰입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일과 삶의 균형과 정서적 몰입에서 WLB 지원제도의 시행과 그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은 정서적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일과 삶의 균형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WLB 지원제도 시행이 조절하는가? 셋째, 일과 삶의 균형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WLB 지원제도 유형이 조절하는가? 독립변수인 일과 삶의 균형은 일-가족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의 세 가지 하위변인으로 구분하여 종속변수인 정서적 몰입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WLB 지원제도를 시행하는지의 여부를 조절변수로 하여 조절효과분석 한 후, 시행하는 WLB 지원제도의 유형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WLB 지원제도 유형은 일 지원제도, 가족 지원제도, 여가/건강 지원제도, 성장 지원제도, WLB 문화 지원제도의 5가지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민간기업 및 공기업, 공공기관 근로자 총 908명의 응답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다.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은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족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의 세 가지 하위변인이 모두 정서적 몰입과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그 중에서 일-성장 균형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인이 지각하는 일과 삶의 균형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에서의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일과 삶의 균형의 영역과 그 중요도가 일-가족 균형에서 일-성장 균형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WLB 지원제도의 시행은 일-가족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과 정서적 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과 삶의 균형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WLB 지원제도의 시행에 대한 효과성이 검증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셋째, WLB 지원제도 중 일 지원제도의 시행은 일-가족 균형과 정서적 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족 균형을 위해 시행된 가족 지원제도 보다 업무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가족과의 시간이 확보될 수 있는 일 지원제도가 일-가족 균형과 정서적 몰입 사이를 강화하는 더 효과적인 제도임이 확인되었다. 넷째, WLB 지원제도 중 성장 지원제도의 시행은 일-성장 균형과 정서적 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경력개발, 멘토링, 코칭 등의 자기개발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이 일-성장 균형과 정서적 몰입을 강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장 지원제도를 통해 개인의 학습욕구를 충족하면서 그 결과가 조직의 방향성과 연계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전략적 방안으로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미흡하게 다루어진 WLB 지원제도를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일과 삶의 균형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개인의 삶의 만족도는 조직의 발전과 연계되며 이를 위한 WLB 지원제도 시행의 전략적인 접근을 제언하였다. After financial crisis in Korea, types of employment have been gradually changed to be flexible,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have been revised from a hierarchical organization structure to a horizontal organization structure. Recently, key personnel to consist of organization have been succeeded to next generation. After baby boomers who focus on work-oriented thought gradually resign, X generation and Y generation, focusing more on individual life,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and life satisfaction than works, is gradually taking the places. In case of an individual level, work-life balance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to immerse people in an organization. Members, who have high affective commitment, also have psychological attachment to their organization, and they accept purposes and value of their organization and make endeavor readily. Likewise, the work-life balance is a considerable factor when modern workers decide and maintain the workplace and also it could be supposed as one strategic method that corporations could attract and maintain talented people. For that, organizations operate institutional supports in order to realize the work-life balance. However, most of WLB support systems preferentially aid a family support system, conducted by a government policy, and for subjects that could not be in range of the policy could leave the WLB support system just as a symbolic meaning. It means that various types of WLB support system to match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each corporation should be operated. Therefore, focusing on domestic corporate workers this study verified relations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it verified operation of WLB support systems and moderating effects of their types in the work-life bal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This study set research inquiries. First, how does the work-life balance influence the affective commitment? Second, could the WLB supporting system affect moderating effects to the relations between the work-life balance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Third, could the types of WLB support system influence moderating effects to relations between the work-life balance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work-life balance was divided into three subcategories such as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and then this study researched the relations between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 dependent variable that is the affective commitment. Then, after setting a moderator variable whether WLB support system is conducted or not,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n the conducted types of WLB support system. This study researched the types of WLB support system by dividing into 5 subcategories such as work support system, family support system, leisure and health support system, growth support system, and WLB culture support system. This study utilized total 908 responses from workers of domestic private corporation, public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s, and as analysis methods, it us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work-life balance could give significant effects to the affective commitment. All of the three subcategories, including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had positive significance with the affective commitment, and among them, the work-growth balanc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is study found that the higher a level of work-life balance that individuals perceived is, the more positive influence affective commitment has in an organization, and also it could find that the area of work-life balance and its importance spread over the work-family balance and the work-growth balance.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conducting the WLB support system could control relations between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effectiveness of conducting WLB support system on relations between the work-life bal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Third, this study found that among WLB support system conducting work support system could moderate relations between balancing work and family and affective commitment. As it showed the higher effectiveness than family support system conducted for work-family balance, this study found that work support system to secure time with family members could be more effective system to reinforce work-family bal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Fourth, this study found that, among WLB support system, conducting growth support system could moderate relations between work-growth bal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It means that a programs, promoting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mentoring, and coaching, could reinforce the work-growth bal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As it could satisfy individual learning motivation through a growth support system, the results are related to directions of an organization. Therefore, it is a part to be considered actively in order to impro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verified moder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by dividing WLB support system, which has been researched insufficiently, into 5 types. In this aspect, this study suggests that satisfaction of individual life could be related to developments of organizations and, for that, it provides statistical approaches in order to conduct WLB support system.

      • 초등학교 교사의 육아시간 지원제도 이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권현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3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in-depth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used the two parenting time support systems, the "parenting time system" and the "time-selective teacher system", to reveal how the parenting time support system works in the teaching society.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support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used the parenting time support system and identified the deficiencies of the system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sign of work-family balance support polici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before using the parenting time support system? Second, what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while using the parenting time support system? Third, what kind of support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 while using the parenting time support system? To solve the problem of this study,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teachers who have used the parenting time support system for more than a year.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before using the parenting time support system could be largely categorized into two main categories: experiences at school and experiences at home, and that they expected the system to solve a number of difficulties in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At school,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being the "ideal worker," fear of taking leave and returning to work, burnout, and cumulative fatigue; at home, they were feeling guilt as a "mother worker" and pressure to take on a second job; and at home, they were struggling with their children's adjustment to an unfamiliar environment and making strategic choices for their families. Second, whil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encountered problems that differed from their expectations prior to the system, they also gained satisfaction from it. Participants experienced labor intensification due to the school's fixed timetable and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hey experienced being cut off from their networks and marginalized in schools where peer organizations were important, and the system was applied differently in each school at the discretion of the administrators. And they experienced irreparable damage to their teaching careers as a result of using the parenting time support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ble to relieve their guilt by using the parenting time support system and gained satisfaction from being able to reduce additional household expenses. However, they also experienced blurred boundaries between work and private time, such as receiving phone calls outside of work hours, and difficulties in managing their emotions after work hours due to the emotional nature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 addition, even though they are double-income families, as they have more time available than their spouses, they have experienced a deepening gender division of labor by taking care of care and housework at home. Third, necessary support was foun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use the parenting time support system. Due to the ambiguity of the guidelines, they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same system differently in different schools, so they felt the need for clear and detailed guidelines, and hoped that they could secure autonomy in using the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ir schools and teaching jobs. Although the working hours were reduced by using the system, the number of class periods and workloads were not reduced accordingly, so they thought that if the right amount of class periods and workloads were assigned,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ies could be improved by securing time for class preparation. In addition, they expected that if the system was subjected to evaluation and feedback, and if the system was promoted more actively, it would be possible to operate the system perfectly and reduce unnecessary misunderstandings among school organization members. The discussion focuses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d its implications for labor intensification, gender equality, and organizational culture. First, it was confirmed the findings of Kelliher & Anderson's (2010) study on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labor intensification and Chung's (2022) study on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gender equality are applicable to the parenting time support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revealed that the system needs to be supplemented to prevent labor intensification and gender division of labor. Finally, the effects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nagerial discretion on the parenting time support system were examined, and the poin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were discussed. These findings and discussion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parenting time support system needs to be elaborated.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the parental time support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육아시간제도’와 ‘시간선택제 제도’라는 육아시간 지원제도를 이용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육아시간 지원제도가 교직 사회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드러내는 것에 있다. 또한, 육아시간 지원제도를 이용한 초등학교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을 살펴보고 제도의 보완점을 찾아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 설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는 육아시간 지원제도 이용 전 무엇을 경험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는 육아시간 지원제도를 이용하면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육아시간 지원제도를 이용하며 필요로 하는 지원은 무엇인가?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육아시간 지원제도를 1년 이상 이용한 경험이 있는 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도출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육아시간 지원제도를 이용하기 전 경험은 크게 학교에서의 경험과 가정에서의 경험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육아시간 지원제도가 일과 가정생활의 병행에서 발생하는 여러 어려움을 해결해주리라 기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에서 ‘이상적 노동자’ 되기의 어려움, 휴직과 복직에 대한 두려움, 소진과 누적된 피로감을 겪고 있었다. 또, 가정에서는 ‘어머니 노동자’로 느끼는 죄책감과 제2의 직장으로의 출근에 대한 압박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자녀의 낯선 환경 적응기에 따른 고민과 가정을 위한 전략적 선택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육아시간 지원제도를 이용하면서 제도 이용 전의 기대와 다른 문제에 봉착하기도 하였지만, 한편으로는 만족감을 얻기도 하였다. 학교의 정해진 시간표에 쫓겨 노동 강화를 경험하였으며, 동료 교사와 관리자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동학년 조직이 중요한 학교에서 네트워크가 단절되며 소외된 경험을 하기도 했으며, 관리자의 재량에 따라 학교별로 다르게 제도의 적용을 받거나 제도를 이용하면서 다시 메울 수 없는 교직 경력 손상을 입기도 했다. 한편, 연구 참여자들은 육아시간 지원제도를 이용하면서 죄책감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며, 추가 가계 지출을 줄일 수 있어 만족감을 얻었다. 그러나 근무 시간 외에도 전화가 오는 등 업무시간과 사적 시간의 경계가 모호해짐을 경험하기도 하였고, 감정노동을 하는 교직의 업무 특성상 근무 시간 후에도 감정 관리의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또한, 맞벌이 가정임에도 배우자보다 가용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가정에서 돌봄노동과 가사노동을 전담하며 성별 분업의 심화를 경험하기도 했다. 셋째, 육아시간 지원제도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교사에게 필요한 지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지침의 모호성으로 인해 학교별로 같은 제도를 다르게 적용받는 어려움을 겪고 있어 명확한 세부 지침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학교와 교직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제도 이용 시간의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었다. 제도 이용으로 근무 시간은 줄었지만 수업 시수와 업무량은 그것에 맞게 줄어들지 않아 적정한 양의 수업시수와 업무가 배정된다면 수업 연구 시간을 확보하여 교육활동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제도의 평가와 피드백을 거치고, 더욱 적극적으로 제도를 홍보한다면 완성도 높은 제도의 운영과 함께 학교조직 구성원 간 불필요한 오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노동 강화, 성평등,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먼저 Kelliher & Anderson(2010)의 유연근무제와 노동 강화에 대한 연구 결과와 Chung(2022)의 유연근무제와 성평등에 관한 연구 결과가 초등학교 교사의 육아시간 지원제도에도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노동 강화와 성별 분업의 강화를 방지하기 위해 제도의 보완이 필요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학교조직문화와 관리자의 재량이 육아시간 지원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제도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 보완해야 할 점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육아시간 지원제도의 정교화가 필요하다. 둘째, 육아시간 지원제도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