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밀도의 LiCo1-xNixO2 (x=0.5)의 합성과 그에 대한 전지특성에 관한 연구

        권용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with high energy density are required desperately for newly developed IT equipments such as cellular phone, PDA and laptop. Their energy and power density are mostly determ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athode materials because the amount of reversible lithium ions in cathode materials is very important in their capacity. There are several ways to improve the capacity in lithium-ion secondary batteries. If the cut-off voltage increases from 3.0-4.2 V to 3.0-4.5 V, much more lithium ions will be extracted from cathode materials, resulting in improving the capacity. Higher packing density of cathode material is also a simple way to enhance the capacity of batteries. In this study, spherical LiCoO₂ and LiCo_(0.5)Ni_(0.5)O₂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were via a co-precipitation methode. These materials have α-NaFeO₂ structure, as confirmed by X-ray diffraction(XRD) studies.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owered was about 10-15㎛ and the size distribution was narrow due to the homogeneity of the metal hydroxide,[Co_(0.5)Ni_(0.5)](OH)₂. The LiCo_(0.5)Ni_(0.5)O₂ delivered a discharge capacity of 170-185 mAhg^(-1) and showed excellent cycling performance, Compared to LiCoO₂ exhibited greater thermal stability resulting for improved structure stability due to Ni substitution. 최근 소형 리튬이온이차전지를 사용하는 휴대폰, PDA, 노트북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내연 엔진과 배터리 엔진이 조합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고용량이면서 고율방전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온이차전지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양극활물질의 충진밀도와 충방전 전위를 높이면, 단위부피에서 더 많은 양의 리튬이온을 탈/삽입 시킬 수 있어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고용량화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용량이면서 고출력을 낼 수 있는 리튬이온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을 개발하기 위해서, 층상구조 산화물계 양극활물질의 전이금속을 비전이금속으로 치환하였을 때 양극활물질이 셀의 전기화학적 특성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양극활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과 양극활물질의 분말형상, 미세구조 및 결정구조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치환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입자의 크기가 10∼15㎛인 구형에 가까운 분말을 합성할 수 있는 침전반응법을 사용하여 LiCoO₂와 비전이금속이 치환된 Li(Ni_(1/2)Co_(1/2))O₂양극활물질 분말을 합성하였다. 그리고 가역 용량의 향상을 확보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PWM 방식의 전류 모드 피드백을 이용한 고전압 생성용 DC-DC 변환기 설계

        권용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PWM방식을 이용한 Current mode Feedback의 고전압 생성용 DC-DC 변환기 설계하였다. Battery를 전원 전압으로 사용하는 휴대 기기에서 DC-DC 변환기는 필수적인 부품 중 하나이다. 최근 각광 받고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들은 하나의 기기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적용되어 다양한 레벨의 전압을 요구한다. 이러한 다양한 전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제한적인 Battery의 용량 내에서 높은 전원 효율을 가지며 안정적으로 전압을 변환하여 일정적인 전압을 출력하는 DC-DC 변환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Switch mode Boost Converter는 3.3V의 전원전압을 인가 받아 9V의 전압을 출력한다. 큰 부하 전류를 견디기 위하여 Inductor와 Diode, Capacitor는 Chip 외부에 배치된다. 설계한 Boost Converter는 200mA 의 부하 전류 조건에서 안정적인 9V의 전압을 출력하며, 90mV이하의 Ripple Voltage를 가지며, 90%에 달하는 전원 효율을 가진다. This thesis presents a current-mode feedback DC-to-DC step up converter using pulse width modulation. The DC-to-DC converter is essential block in portable devices operated in battery. Recently, the market of portable multimedia devices has grown up and the devices require various voltages. To support various voltages, the DC-to-DC converter which has high efficiency is required. The switch mode boost converter which is designed in this paper generates 9V output with 3.3V input. To support large load current, an external inductor, an external diode, and an external capacitor are used. The efficiency of designed boost converter is up to 90% with 3.3V input, 200mA load current for 9V output, and 81mV ripple.

      • 류마티스관절염 활막세포에서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agonist 처치에 따른 염증매개인자 감소 및 활막세포 증식의 억제효과

        권용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류마티스관절염은 가장 흔한 염증성 관절염으로 약 1%의 유병율을 가진다. 류마티스관절염의 정확한 원인이나 발병기전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자가면역현상이 주요 기전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칭성, 다발성 말초 관절염이 특징인 만성 전신성 염증질환이다. 가장 먼저 염증이 시작되는 부위는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활막으로서, 활막세포가 비정상적으로 과다 증식하여 연골과 뼈의 손상을 유발하여 관절 파괴와 그에 따른 기능 손실을 초래한다.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활막에는 다양한 면역세포들이 침윤되어 있으며 특히 대식세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어떠한 원인 항원에 의해 염증이 시작되면 nuclear factor-kappaB (NF-?B),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IκB kinase (IKK) 및 activator protein (AP)-1과 같은 신호전달체계가 관여하여 대식세포와 단핵구로부터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uekin (IL)-1β 등 다양한 염증성 싸이토카인과 chemokine (C-C motif) ligand (CCL)-2, CCL-7 등의 케모카인, 그리고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cyclooxygenase (COX)-2 등이 분비되어 염증을 악화시키게 된다6-12. 그 결과 활막의 증식이 가속화되어 pannus를 형성하여 연골을 파괴하고 여러 염증매개 인자들이 receptor activator of NF-κB lilgand (RANKL)의 활성화를 유발하여 파골세포를 활성화시켜 골파괴를 일으켜 관절손상이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증을 억제하고 관절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류마티스관절염의 치료 약제 개발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지속되어 왔다. 최근에는 류마티스관절염에서 활막 증식과 관절 파괴에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는 여러 염증성 싸이토카인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NF-κB의 산물인 TNF-α 및 IL-1β의 작용을 차단하는 약제가 개발되어 류마티스관절염의 임상증상의 호전뿐 아니라 방사선 소견의 진행까지 늦출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15-17. 하지만 치료효과가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일부 환자들은 여전히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아 새로운 치료법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PPAR-γ)는 유전자 전사에 관여하는 핵수용체(nuclear receptor family)의 하나로, 지질대사 및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PPAR-γ가 염증반응에도 관여함이 밝혀졌는데, PPAR-γ agonist를 관절염 실험 쥐 모델에 투여하자 대식세포에서 염증매개 물질의 생성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PPAR-γ가 TNF-α 및 IL-1β를 비롯한 다양한 염증성 싸이토카인에 대한 억제 작용뿐만 아니라 COX-2와 MMP-9을 비롯한 다양한 염증매개 물질들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이러한 항염증작용은 주로 NF-κB의 억제 작용에 의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미루어 볼 때, 대식세포의 활성화 및 NF-κB에 의해 발현이 증가된 여러 염증매개 인자들이 그 병인에 있어서 중요한 류마티스관절염에 있어서도 PPAR-γ agonist가 항염증효과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류마티스관절염의 병인에 있어서 관절 활막이 특이적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주요 부위임은 분명히 밝혀져 있는 바, 류마티스관절염의 관절 활막에서 발생되는 병태생리를 연구하고 활막염의 발생을 억제 혹은 감소시키는 인자를 발견하는 것은 류마티스관절염의 발생기전을 이해하며 새로운 치료를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임상적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관절활막에 대하여 synthetic PPAR-γ agonist인 rosiglitazone을 투여하고 투여 용량과 비례하여 활막에서 발생하는 염증반응이 감소되는지, 그리고 활막세포의 증식이 억제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왜화제 경엽처리가 분화참나리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권용진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참나리의 분화 재배 시 과도한 초장신장을 줄이고 분 크기에 적당한 초장을 유도하고자 4종의 왜화제를 농도를 달리하여 경엽처리 시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참나리 구근의 무게별로 처리를 비교한 결과 기본 생육은 차이가 있으나, 왜화제 처리에 의한 변화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왜화제 종류와 농도를 달리한 실험에서는 diniconazole 100mg․L-1 에서 초장과 절간의 길이가 가장 많이 억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ancymidol 처리구에서는 50mg․L-1 처리한 구에서 구중별로 차이가 있으나 다소 왜화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를 높일 경우 왜화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었다. 대조구에 비해 dinicinazole 100mg․L-1은 처리구는 구중 12∼15g에서 약 53%정도 초장이 감소하였다. diniconazole은 초장과 함께 절간의 길이를 크게 감소시켰으나 반면에 줄기직경은 대조구보다 비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chlormequat chloride와 daminozide 처리구는 구중과 처리농도에 상관없이 왜화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 참나리의 초장신장의 억제에는 diniconazole과 ancymidol 처리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처리 농도가 높은 것에서 왜화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근의 크기는 왜화제 반응에 일부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유의성은 인정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diniconazole은 절간의 길이를 크게 줄이면서 초장의 억제를 조장하였다. 대부분의 왜화제는 개화시 화수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diniconazol처리구에서 참나리의 개화시기가 대조구에 비해 다소 늦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과체중과 비만 여성의 HbA1c 지표에 따른 당뇨병 예방을 위한 영양 교육의 효과

        권용진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HbA1c는 당뇨병전기를 진단하는데 신뢰할만한 스크리닝 지표로서 채택되었다. 본 연구는 HbA1c를 지표로 사용하여 과체중(BMI 23kg/m2 이상) 여성에서 당뇨병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20명의 과체중 및 비만 여성은 12주간의 영양교육을 받았으며, 개별 맞춤형 영양상담은 2주 1회씩 이루어 졌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된 영양적 권고안은 1)고지방 식품 섭취를 줄이고 절주 혹은 금주하기 2)채소 많이 섭취하기 3)단순당 및 empty-calorie 식품 섭취를 줄이고 4)매일 30분 이상의 신체적 활동을 할 것 등이었다. 신체계측(신장, 체중, BMI, 체근육량(kg), 체지방량(%), 허리-엉덩이 둘레, 혈압)과 생화학적 검사(공복혈당, HbA1c, 지질 검사, hs-CRP, d-ROMs 과 BAP)는 영양 교육 전후로 측정하였다. 영양 교육 12주 후 HbA1c<5.7%군에서 BMI,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 허리-엉덩이 둘레 비, HbA1c, hs-CRP와 열량(p<0.01), 탄수화물, 지방(p<0.01), 단백질(p<0.01),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다. HbA1c≥5.7%군에서는 HbA1c, TC, LDL, NON-HDL, hs-CRP와 열량,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다. 하지만 HbA1c<5.7%군과 HbA1c≥5.7%군 모두 식이섬유소 섭취량은 유지되었다. 본 연구 결과 당뇨병전기의 새로운 진단기준인 HbA1c를 적용하였을 때, 영양 교육이 과체중 및 비만 여성의 당뇨병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HbA1c는 당뇨병 예방을 위한 혈당 조절의 지표로서 충분히 좋은 지표가 될 것으로 보여진다. Recently, HbA1c was adopted as a reliable screening recommendation for pre-diabet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for preventing diabetes in overweight women(BMI 23kg/m2 or more) women using HbA1c as an indicator. Twenty overweight and obese women finished the 12 week nutritional HbA1c≥5.7 study. Individual personalized nutrition counseling was performed every 2 weeks. The main guidelines were 1) reduction of high fat food and alcohol 2) consuming a large amount of vegetables 3) reduction of simple sugar and empty-calorie food and 4) increases physical activity for ≥30min/day. Anthropometry (Ht, Wt, BMI, body muscle(kg) and body fat(%), waist and hip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and biochemical test (fasting blood sugar (FBS), HbA1c, lipid profiles, CRP, d-ROMs and BAP)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After 12 weeks BMI, WC, HC, WHR, HbA1c, hs-CRP, Energy (p<0.01), Carbohydrate, Lipid (p<0.01), Protein (p<0.01), Cholesterol significantly decreased in HbA1c < 5.7% group (p<0.05). And HbA1c, TC, LDL, NON-HDL, hs-CRP, Energy, Carbohydrate, Lipid, Protein,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bA1c ≥5.7% group (p<0.05). However, fiber intake was maintained in both HbA1c <5.7 and HbA1c ≥5.7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trition education contribute effectively to prevent diabetes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after applying new standard HbA1c level on pre-diabetes. So, all the markers showed improved health result, suggesting that HbA1c as a good enough indicator for blood glucose regulation and thereby preventing diabetes.

      • 화장품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제품 특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식품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을 중심으로

        권용진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인해 제품은 점차 상향 평준화되며, 기업들은 경쟁에서의 비교우위를 차지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왔다. 또한 21세기 소비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제품의 기능이나 성능보다는 브랜드의 이미지와 상징성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경쟁 환경과 변해가는 소비 패러다임 속에서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마케팅 전략이 바로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이다. 콜라보레이션은 동종, 이종업계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어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시키고 소비자의 구매를 촉진하여 매출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전략은 화장품 브랜드에서도 예외는 아니며, 화장품 업계가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그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 가장 많이 주목받고 있는 분야는 화장품 브랜드와 식품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인데, 두 브랜드는 협업을 통해 소비자의 이목을 더욱 집중시키고 디자인의 독특성으로 제품의 희소가치를 높여 구매 욕구를 상승시키며,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여 상업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는 감성적 소비를 중시하고 개성에 맞는 소비를 지향하는 최근의 소비 패러다임에서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오래전부터 실행되었던 화장품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에 관해서는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지만, 화장품 브랜드와 식품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브랜드와 식품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제품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화장품 브랜드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에 기여하고, 소비자에게 구매 의도에 맞는 제품을 제공하여 만족도를 높이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콜라보레이션 화장품을 구입해 본 경험이 있는 20~50대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종 348부의 통계 분석 자료를 확보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Ver.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 주성분 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신뢰도 분석을 통해 측정 문항들의 내적 일관성을 조사하였으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의 상대적 크기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콜라보레이션 제품 특성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콜라보레이션 제품 특성의 하위요인인 독창성, 심미성, 유행성, 희소성은 각각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콜라보레이션 제품 특성에서 하위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심미성(β=0.448), 유행성(β=0.197), 독창성(β=0.174), 희소성(β=0.152) 순으로 구매의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독창성, 심미성, 유행성, 희소성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심미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콜라보레이션은 앞으로도 꾸준히 이루어질 마케팅 전략이며, 제품의 독특성에 따른 주목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가 화장품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보다 성공적인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을 실행하고, 더 나아가 화장품 콜라보레이션의 활용방안에도 미비하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general quality of cosmetic products gradually enhanced with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modern technology, and cosmetic corporations have difficulty getting a comparative advantage in highly competitive situations. Furthermore, with a new paradigm for purchasing in the 21st century, a growing number of consumers consider the brand concept and symbolism more important than the practical performance and function of the products. Collaborative marketing strategy is highlighted amid the competitive situation, we are now in, and a new paradigm for purchasing. Since collaborative marketing is useful regardless of the field, it helps expand the business field and promote the purchase. In this regard, the strength of collaborative marketing is the ability to maximize sales. This marketing strategy is also used in cosmetic companies to enhance the brand concept, so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marketing strategy grows. Recently, cosmetic companies’ collaboration with the food businesses is highlighted; both businesses get customers’ attention through cooperative work, increase purchasing desire by using a limited products strategy with unique designs, and become commercially effective by enhancing brand concept. This strategy is an effective means for the recent paradigm for purchasing, which consider emotional purchase significant and aim to express individuality through purchasing activities. Even though studies of cosmetic companies’ collaborative strategy are constantly conducted, the study of their collaboration with food businesses is inadequate. In that sen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llaborated cosmetic product characteristics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aims to contribute to cosmetic companies’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and aims to provide products, which meet customers’ purchase intention,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men and women aged 20-50 who have experience of buying cosmetic products. This paper analyzed the data from 348 collected copies with the help of SPSS 25.0 program. Frequency analysis is used for understan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re used for validit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questions in order to conduct reliability analysis; t-test is used for testing cor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recession analysis is used for analyzing inter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hierarchical analysis is used for comparison and analyzing the relative size of independent variables which affect dependent variab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ed cosmetic products affect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Second, subfactors of collaborated cosmetic product characteristics including originality, aesthetics, trendiness, and scarcity respectively affect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Third, the result of the subfactors' influence on collaborated product characteristics shows aesthetics (β=0.448), trendiness (β=0.197), originality (β=0.174), and scarcity (β=0.152) affect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in order from the most effective to the least effective. The result shows originality, aesthetics, trendiness and scarcity of collaborated products are the key factor i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aesthetics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of all. A collaborative marketing strategy will be used continuously, and will drag more consumers’ attention with the originality of the products. Hence, I hope the findings contribute to establishing more successful collaborative marketing strategies in cosmetic companies, and help to plan practical strategies for using collaborated cosmetic products.

      • 의료법체계에서 공공성에 관한 연구 : 의료기관규제와 의료행위규제의 관계를 중심으로

        권용진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의료법체계에서 공공성을 강화하고 의료법의 입법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안으로 현행 의료기관 규제와 의료행위 규제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공공성과 영리추구를 이론적으로 살펴보았고 최근 의료법체계 안에서 정치적 쟁점이 되고 있는 영리법인 의료기관 개설 허용문제와 의료기관 다중 운영문제의 법적 쟁점을 그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핵심쟁점인 영리추구의 기제를 심도 있게 고찰한 후 의료기관 규제와 의료행위 규제의 관계를 논증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의료법은 헌법에 따라 국민의 건강을 보호해야 하는 국가적 책무를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목적달성을 위해 국가는 의료법을 통해 의료인에 대한 자격기준과 의료기관의 개설을 강력하게 통제한다. 최근까지 이런 통제는 사회적 갈등을 일으킨 적이 없고 특별한 문제의식 없이 수용되어 왔다. 그러나 서비스 산업의 확장, 정보의 자유로운 이동과 확산, 사람들의 자유로운 국경 이동, 소비자중심주의 등의 시대와 환경의 변화는 의료체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이런 흐름이 갈등으로 대두된 것은 영리법인의 의료기관 개설 허용문제와 의료기관 다중운영의 허용문제이다. 이런 갈등은 의료의 공공성과 의료의 영리추구의 개념에 대한 접근으로부터 해법을 모색할 수 있다. 공공성이 대부분 국가적 책무로 이해되고 있으나, 공공성은 국가가 존재하기 이전부터 존재해 왔던 것으로 그 시대의 사회적 합의 수준을 의미하는 것이다. 영리추구는 영리라는 정적인 개념이라기보다 영리를 추구하는 동적인 개념이다. 의료에서 영리추구가 문제되는 이유는 모두가 본성으로 가지고 있는 영리추구의 경향성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의 문제이다. 또한 공공성은 시대를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영리추구는 의사집단이 정한 합의 수준과 관련이 있다는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역사사회적 특성을 반영한다. 이렇게 공공성과 영리추구의 이념적 갈등은 역사를 반영하지만 직접적인 연관관계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재정적 관점에서 지나친 영리추구 경향성이 국민들에게 필요 없는 의료비 지출을 강요한다는 면에서 의료체계의 공공성이 훼손된다고 주장은 일면 타당하다. 영리법인의 의료기관 개설 허용과 의료기관의 다중운영은 이런 측면에서 공공성을 훼손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영리추구의 법적 쟁점을 분석하고 그 핵심기제를 고찰하는 것이 대안을 모색하는데 가장 주요한 과제가 된다. 의료기관이 의료서비스 영역에서 영리를 추구하는 기제는 불가피하게 의사의 처방에 의존한다. 의사가 환자에게 불필요한 처방을 하고 진료비를 받았다면 이는 형법상 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불법행위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의사가 재량범위 안에서 최대한의 의료행위를 처방했다면 이는 합법적인 의료행위에 속한다. 그러므로 영리법인 의료기관이 허용될 경우 영리추구 경향성이 더욱 커진다는 논리는 영리법인에 근무하는 의사들이 영리법인의 경영방침에 의해 자신들의 처방을 최대화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역으로 개설주체가 누구이든 간에 그 개설주체가 처방권을 가진 의사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면 영리추구의 경향성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행 의료법에 의한 의료기관 개설 규제가 의료기관 개설 주체를 비영리법인과 의사로 제한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의사들이 개설주체에 의해 처방권에 영향을 받는다면 이미 비영리법인도 수익을 내야만 유지할 수 있는 우리나라 의료 현실에서 비영리법인에 고용된 의사들이 처방을 최대화하고 있을 것이고, 의사들이 개설주체에 따라 처방권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영리법인이 개설주체가 된다고 해도 처방량이 달라지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의료법체계에서 입법목적 달성하고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관 규제보다 의료행위 규제가 더욱 주요하고 우선성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의료행위의 규제는 불법행위를 근절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의사들이 재량범위 내에서 자신의 처방을 최대화하는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서 규제를 의미한다. 따라서 재량범위 내에서 의사들의 처방에 대한 적정성은 의사 동료집단만이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 규제의 핵심조건이 된다. 따라서 우선적인 의료행위 규제는 의사집단 스스로의 합의를 통해 집단 구성원의 행위를 통제하는 자율규제의 형식일 수밖에 없다. 자율규제의 내용으로는 의료행위 수행 전에 합의하는 주임상경로와 의료행위 수행 후에 합의하는 동료심사가 있다. 그러나 이런 자율규제만으로 의료법의 입법목적 달성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의사집단에 대한 신뢰가 전제되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의사집단은 그 형성과정의 역사를 감안할 때 국민들에게 그만큼의 신뢰를 얻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보완적으로 의료기관에 대한 규제도 필요하다. 의료기관 규제는 개설시점에서 개설 주체를 제한하는 규제가 실질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논증하였으므로, 개설 후 실질적인 운영을 감시 하는 규제 강화가 필요하다. 이는 수행하는 사업이 설립목적에 부합하는지에 평가와 기관별 의료행위에 대한 감시 그리고 그 결과의 공개가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의료기관의 개설규제만으로는 의료법체계에서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절하지 않다. 의료법체계에서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자율규제형식의 의료행위 규제를 우선적으로 강화하고 의료기관의 사후감시 제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lo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regulations on medical institutions and medical practice, which are an alternative to strengthen publicness of medical law and legislate medical law. To achieve this, I first theoretically studied publicness and profit motive and analyzed allowing establishment of for-profit corporation medical institutions and multiple management of medical institutions, which are the recent political issues within the medical law system. Moreover, I studied the meaning of profit motive in depth and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ulations on medical institutions and medical practice and proposed an alternative. Medical law executes the purpose of one obligation of a state - protecting the health of the citizens of the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To achieve this, a state sternly regulates and controls qualification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and establishment of medical institutions. Until recently, such regulations have not triggered social conflicts and been generally accepted without much critical thinking. With expanding service industries, unbound proliferation of information, borderless travels, consumerism and other changes, however, had influenced the medical treatment system. In Korea, this course has led to social conflicts with allowing establishment and multiple management of medical institutions by for-profit corporations. Solutions to such conflict may be found from approaching the concepts of publicness and profit motive of medical care. Publicness is generally understood as a state responsibility. However, the concept of publicness existed long before the existence of states and denoted the level of social corporatism of the time. Rather than a static concept of profit, profit motive is a dynamic concept of pursuing profit. The reason why profit motive becomes problematic in medical care is because out innate tendency to pursue profit becomes too extensive. Publicness, by reflecting the time, and profit motive, by relating to the level of social corporatism determined by the doctors, reflect histor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Korea. The ideological conflict of publicness and profit motive reflects history,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 direct link between the two. However, the claim that excessive pursuit of profit will impose our citizens of unnecessary medical expenditure is absolutely reasonable. In this aspect, permitting establishment and multiple management of medical institutions by for-profit corporations is pointed out to impair publicness. Therefore, analyzing the legal issues of profit motive and studying their description becomes the most important task in finding an alternative. Pursuit of profit by medical institutions in the realm of medical service is inevitably dependent on the doctor’s prescription. If a doctor made an unwarranted prescription to a patient and acquired payment, it would constitute as a fraud under the Criminal Act. However, if a doctor practiced medicine within his or her discretion, the prescription is legitimate. Therefore, the logic that the tendency of profit motive will increase if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medical institutions by for-profit corporations is permitted indicates that the doctors who work for the for-profit corporations will maximize their prescriptions according to the business policy. This also indicates that whoever the establishing entity is, if that entity cannot influence the doctor’s prescription, the tendency of profit motive will not be affected. Therefore, it is a stretch to claim that our current medical law and regulations are achieving their objectives by restricting the establishing entities to non-profit corporations and doctors. Because if the doctors are prompted by the establishing entities, the doctors employed by non-profit organizations would already be making maximum prescriptions, as, in reality, these organizations only can survive by making profits; and if the doctors are not prompted by the establishing entities, the prescriptions will not change even though for-profit corporations become the establishing entities. This implies that, to legislate medical law and strengthen publicness, regulations on medical practice is more important and a priority than regulations on medical institution. Here, regulations on medical practice do not mean eradicating unlawful practice. It implies regulations as an alternative to maximizing prescriptions by doctors within their discretion. The core condition here is that only the fellow doctors can judge the propriety of a doctor’s prescription. Therefore, regulations on medical practice can only be in the form of self-regulation where members of a group are regulated through certain agreements reached by that group. There are two types of self-regulation: critical pathway which is conducted prior to medical practice, and peer review which is conducted after medical practice. However, confidence on the medical society must be a prerequisite for the medical law to achieve its purpose of legislation only through self-regulation. Considering the history of its formation, our medical society does not have the level of confidence it requires from the people. Therefore, we also need complementary regulations on medical institutions. As it is already well ascertained that regulating establishing entities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is not practical, we require reinforced regulations that pragmatically oversee the operations after the establishment. This may include assessment on whether or not their business complies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monitoring medical practices by institution and making public of the results. In conclusion, regula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institutions are not enough to strengthen the publicness of medical law system. To strengthen it, we must first reinforce regulations on medical practice in the form of self-regulation and enhance monitoring system of medical institutions.

      • 누에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및 기호도

        권용진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Silkworm. Silkworm steam extract bread was baked. Adding 0, 25, 50, 75 and 100% of Silkworm steam extract to wheat flour. The rheological properties, dough volume, bread volume, baking loss, bread color, bread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were tested to examine bread properties baked adding extracts of silkworm. The result are as follows : The maximum viscosity 1. By analyses result of general components, the Silkworm steam extract moisture content is 98.5%, crude protein is 0.7% ,crude fat is 0.1%, crude ash is 0.5%, Crude fiber is 0.1%, Ca is 1.7 ㎎, potassium is 302.6 ㎎, unsaturated patty acid 0.1%, PH is 9.8. The Silkworm steam extract loaf of bread chromaticity measurement result shows little differences as the ingredient contents increased stability time decreased. After the first fermentation, dough volume decreased and same tendency in bread volume. Lightness of the of the crumb decreased but redness and yellowness in creased. The chromaticity measurement result shows Silkworm steam extract added of bread L-value, b-value numerical value increased as the ingredient contents increased and a-value numerical value decreased as the ingredient contents increased. In addition, The texture measurement result shows that naked Silkworm steam extract of bread hardness and Adhesiveness have increased as the ingredient contents increased. The ir cohesiveness, Gumminess, Resilience, spinginess, and chewiness have also decreased as the in gredient contents in creased. The preference in vestigation result shows that naked 0, 25, 50, 75 and 100% of Silkworm steam extract naked of bread taste, flavor of the 50% group was higher, the firmness of the 100% group was higher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added groups were higher by about 50%. Through this test I was able to contribute to research the development of a new product by using Silkworm a by-product to produce an optimum recipe for loaves of bread. 누에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베이커리 제품에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자 5령 3일된 누에를 찔 때 발생되는 추출물을 25%, 50%, 75%, 100%로 달리 첨가하여 누에식빵을 제조하였다. 누에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발효 팽창력 및 완성된 식빵의 무게 및 부피 측정, 굽기 손실률, 색 도를 측정하고 물성검사와 기호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에 열수 추출물의 일반 성분분석 결과는 수분 98.5%, 조단백 0.7%, 조지방 0.1%, 조회분 0.5%로 나타났으며, 조섬유 0.1%, 칼슘 100 g/1.7㎎, 칼륨 100 g/302.6㎎, pH 9.8, 불포화지방산 0.1%였다. 둘째, 식빵의 부피는 대조군에서 1,980 mL로 나타났고, 누에 열수 추출 물 첨가량에 따른 식빵은 1,942, 1,960, 1,956, 1,949 mL로 감소하였으나 식 빵의 무게는 대조군에서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누에열수 추출물첨가 식빵의 색도 L값과 a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 록 감소하였고, b값은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다. 넷째, Texture에서 경도(Hardness)는 누에 열수 추출물 25% 첨가시 0.72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응집성(Cohesiveness)은 대조군에서 0.76으로 가 장 높게 나타났다. 점착성(Gumminess)은 대조군에서 3.74로 가장 높았으며 누에 열수 추출물 50% 첨가에서 1.3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복원성 (Resilience) 과 응집성, 점착성은 감소하는 것이 비슷하였다. 탄력성(Springiness)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씹힘성(Chewiness) 은 5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기호도 검사에서 평균 누에 열수 추출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식빵의 맛(taste)은 대조군이 2.59로 누에 열수 추출물의 첨가량 50%가 평균 4.86으로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75%에서는 다시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누에 열수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고소한 맛과 향 때문에 50% 이후부터 낮게 평가된 것으로 사료된 다. 향미(Flavor)에서는 50%가 4.05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첨가량 이 늘어날수록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누에의 특유의 향기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사료된다. 경도(Firmness)는 100%에서 4.68로 높게 나타났으며, 선행 연구에서 분말 형태나, 액상 추출물보다 누에 열수 추출물의 구조상 해면체형태의 부드러 움으로 인한 것이라 사료된다. 색(color)에 대한 평가는 4.55로 100%에서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는 누에 열수 추출 물을 50% 첨가한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누에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식빵 제조 가능성과 최적의 배합비를 확인하였고, 누에부산물을 이용한 제과산업의 기능성 제품연구 및 신제품 개발과 양잠농가 소득증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 Top-k 개인화된 페이지랭크 질의 처리 알고리듬

        권용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그래프 데이터의 지속적인 축적과 생성으로 인해 그래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 계산하여 새로운 데이터들을 빨리 결과에 반영하는 작업이 중요해지고 있다. 개인화된 페이지랭크는 북마크 혹은 출발 노드라 불리는 몇몇 주요 노드에 선호도를 부여하여 다른 노드들의 상대적 중요도 혹은 연관도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그래프 데이터를 이용한 대표적인 계산 방법 중 하나이다. 하지만 개인화된 페이지랭크를 계산하는 작업은 막대한 계산 비용을 초래한다. 많은 응용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혹은 일부의 출발 노드에 대한 개인화된 페이지랭크 값을 미리 계산하여 그 결과를 저장한 후, 필요할 때마다 그 결과를 읽어 들여 보여주는 방식을 이용한다. 하지만 이 방식은 대규모의 저장 공간이 필요하며, 새로운 데이터의 반영이 늦어지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검색 로그나 소셜 네트워크처럼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생성되는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방식은 올바른 계산 결과를 보여준다고 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화된 페이지랭크를 사용하는 응용들이 주로 상위 k개의 노드를 활용하는 점과 약간의 오차가 허용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주어진 출발 노드의 분포에 대하여 개인화된 페이지랭크 값을 구하는 대신 상위 k개의 개인화된 페이지랭크 값을 갖는 노드들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방법인 ProbScoring을 제시한다. 기존의 방법들이 선계산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앞서 살펴본 저장 공간의 문제, 새로운 데이터의 반영 문제 등이 발생한 반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질의가 발생하는 시점에 실시간으로 빠르게 계산하는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이 생기지 않는다. 실시간 계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계층화된 그래프의 개념을 도입하고, 계층화된 그래프와 개인화된 페이지랭크의 관계를 파악한다. 그리고 계층화된 그래프를 활용한 ProbScoring의 자세한 진행 과정을 설명한다. 실제 그래프 데이터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ProbScoring은 선계산 방식 없이도 질의가 발생한 시점에 기존의 방법들보다 효율적으로 상위 k개의 노드를 찾아주는 동시에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ProbScoring은 선계산 방식 없이도 질의가 발생한 시점에 실시간으로 상위 k의 개인화된 페이지랭크 값을 갖는 노드들을 찾아준다. In recent years, an efficient method of performing analyses and computations on graph networks, regarding newly created data, has been needed due to continuous growth of datasets. Personalized PageRank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computation methods for graphs. Personalized PageRank computes the relative importance or relevance with respect to a set of given nodes, called start nodes or bookmark. However, the online computation of Personalized PageRank on a massive size of datasets is infeasible due to its huge computational cost. So many applications have considered the way of precomputing Personalized PageRank for all or some nodes, keeping them in a secondary storage, and reading the results on demand. This method, though, has two problems; it requires an enormous size of storages and it is difficult to use new data to affect the results. For applications that cope with frequent updates to data such as search logs or social networks, the precomputation is not a suitable method. In this thesis, the two observations can be noticed. One is that applications using Personalized PageRank mainly need to find the top-k nodes with the largest values of Personalized PageRank. The other is that an erroneous detection of a small number of nodes in the top-k is allowable. With these observations, I propose ProbScoring, an online approximate method of finding the top-k nodes with the largest values of Personalized PageRank with respect to a distribution of start nodes, rather than computing the Personalized PageRank for each node. While the previous methods have faced the challenges of storages of keeping precomputation results and hardness of utilizing new data, ProbScoring is far from those issues since it computes top-k nodes quickly at query time. For online computation, I introduce the notion of layered graph and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layered graph and Personalized PageRank. And I explain the process of ProbScoring using the layered graph. The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at ProbScoring shows better efficiency and accuracy of finding top-k nodes than previous methods. In conclusion, ProbScoring is an online computation method of finding top-k nodes with the largest values of Personalized PageRank at query time without precompu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